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24 10:30:28
Name 숨고르기
File #1 FdVfYj7XoAEOGIX.jpg (170.0 KB), Download : 39
File #2 FdXUmzVXkAAHVKW.jpg (69.0 KB), Download : 23
출처 트위타
Subject [기타] 생각보다 전기를 많이 쓰는 작업





그거슨 바로 영화 촬영

블럭버스터 영화가 때깔 고운 이유는 조명빨인듯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9/24 10:38
수정 아이콘
저런거 밤에 주택가에 띄워서 민원 생긴 뉴스도 나오고 그러죠
Just do it
22/09/24 10:50
수정 아이콘
와 이런장비는 첨봤네요.
생각해보니 촬영시간 길어지면 햇빛때문에 원하는 광각이 안 잡힐 수 있겠군요
dogprofit
22/09/24 10:53
수정 아이콘
조명빨이죠.
대표적인게 상업지 촬영..
그 중에서도 아무나 못하는게 자동차 촬영이라고 들었습니다.
요즘은 뭐 그래픽으로 건드릴 소지라도 있는데 그런거 없던 시절 동원되는 조명과 중형급 카메라 장비들이 정말 후덜덜했었다죠.
22/09/24 11:39
수정 아이콘
뭐야 저런건 처음 보네요
약쟁이
22/09/24 11:41
수정 아이콘
후보정 작업으로는 조명 효과를 내기 힘든가요?
크레인과 조명 대여비 장난 아니겠네요.
지켜보고 있다
22/09/24 11:46
수정 아이콘
CG작업이 더 비싸겠죠..?
약쟁이
22/09/24 12:03
수정 아이콘
촬영 끝내고 하는 색감 조정 작업은
보통 흔히 CG라고 생각하는 작업관 다를 거 같고 비용도 훨씬 저렴하지 않을까요?
스위치 메이커
22/09/24 13:10
수정 아이콘
색감 보정은 다 하는데 일단 광원 자체를 추가하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정말 매우 어렵습니다.

자연스러운 광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사까지도 자연스러워야합니다. 문제는 CG로 자연스러운 반사까지 만들어내려면 아예 Full-CG를 하는 게 아니라면 매우 어렵습니다. 스파이더맨 영화처럼 아예 액션씬을 애니메이팅 처리 하지 않는 이상은 쉽지 않은데, 그러면 결과적으로 또 디테일이 떨어지는 부분이 생깁니다. 그래서 광원에 대한 것은 웬만해서는 현장에서 제대로 디렉팅을 잡아야 합니다. 안 그러면 보정이나 CG로 어찌 할 수 없는 부분이 생깁니다.

괜히 할리우드 스튜디오에서도 불 같은 광원은 실사 배우가 위험 무릅쓰고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약쟁이
22/09/24 13:41
수정 아이콘
색감 조정하면서 빛 효과 내주면 되는 거 아냐란 단순한 생각만 하던 바보에게
자세한 가르침 고맙습니다.
22/09/24 13:11
수정 아이콘
일단 cg를 바를려고 해도 영화의 경우 빛의 기본값이 기록되있는 영상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조정하는거라
한마디로 원본이 구리면 cg 떡 칠을 해도 구립니다.
그게아니면 풀cg인대 이경우의 비용도 무시 못합니다. 그리고 현실적인 빛이 표현되지 않을 위험도 큽니다.
그리고 후 보정으로 조명 효과 내기가 어려운 이유는 현실의 빛은 무수한 반사를 통해서 우리눈에 들어옵니다.
단순히 한번 팅기는게아니라 사방을 다 튕겨다니다 들어오는거라 이를 컴퓨터로 재현할수록 과부하가 미친듯이 됩니다.
겨울왕국의 얼음 이팩트 터지며 노래하는 씬에서 1프레임에 몇일 걸렸다는게 이런 이유에서 생기는거라 볼 수 있습니다.
사실 cg에서도 라이팅 영역의 전문가가 따로 존재하는대 이분들은 그냥 현실 조명셋팅을 cg에서 한다보면 됩니다.
약쟁이
22/09/24 13:41
수정 아이콘
색감 조정하면서 빛 효과 내주면 되는 거 아냐란 단순한 생각만 하던 바보에게
자세한 가르침 고맙습니다.
블래스트 도저
22/09/24 11:55
수정 아이콘
그래도 요새 카메라 센서 성능이 워낙 좋아져서 자연광만으로 찍은 작품들도 있죠
디카프리오 주연의 레버넌트는 한 씬 빼고 전부 자연광으로 찍었다고 합니다
22/09/24 12:50
수정 아이콘
곰도 자연곰인가요? 사람 잘 찢던데 궁금합니다.
레버넌트 보고서야
곰은 사람을 찢어, 를 실감했던 기억이 나네요.
22/09/24 19:13
수정 아이콘
그 영화는 배경이 설원이라 눈이 반사판 노릇을 했을 것 같네요
아즈가브
22/09/24 11:56
수정 아이콘
뭔가 사진들이 현실감이 사라지면서 미니어처 처럼 보이네요.
R.Oswalt
22/09/24 12:04
수정 아이콘
저희 옆이 미개통 도로 옆이여서 촬영 자주 했었는데, 야구장에나 있을 법한 라이트를 몇 개씩 세워놓는지...
다람쥐룰루
22/09/24 12:16
수정 아이콘
저거 다 발전기 돌려서 하는거라 기름 많이 먹을텐데요
메타몽
22/09/24 13:37
수정 아이콘
와 조명 많이 쓰는건 알았는데 저정도의 조명을 쓰는건 몰랐네요
Jedi Woon
22/09/24 13:50
수정 아이콘
군대가기 전 잠시 보조스탭 알바 한 적 있는데, 촬영 현장에서 생각보다 많은 조명이 필요하단 걸 경험했습니다.
일반 가정집 형광등으로 촬영하면 생각보다 어둡더라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3384 [기타] "'배라'만 먹어요"…녹아내리는 빙과 시장 [42] VictoryFood12800 22/09/26 12800
463383 [유머] 익숙한 플롯인데 뭔가 이상한 만화 [6] 인민 프로듀서7697 22/09/26 7697
463382 [기타] 편의점 반반족발 사건 근황 [22] 톰슨가젤연탄구이13217 22/09/26 13217
463381 [유머] 남자친구한테 속옷을 던져보았다.gif [7] 실제상황입니다10834 22/09/26 10834
463380 [유머] 포켓몬빵 초 비 상!!!! [19] 카루오스9759 22/09/26 9759
463379 [유머] 사장 입장에서 빨리 짤라야 하는 알바 [2] 소믈리에10103 22/09/26 10103
463378 [유머] 미얀마에서 한국을 부르는 호칭 [16] 소믈리에10375 22/09/26 10375
463377 [스포츠] 나랑 직접 만나서도 그런말 할 수 있겠어요? [8] 인민 프로듀서8935 22/09/26 8935
463376 [게임] 한국게임의 희망 도깨비 근황 [24] 삭제됨10305 22/09/26 10305
463375 [기타] 코스닥 52주 신저가를 아라보자 [10] 니시무라 호노카12362 22/09/26 12362
463374 [방송] 능력이 되면 해외로 나가야하는 이유.twt [6] 명탐정코난10154 22/09/26 10154
463373 [기타] 의외로 일본에서 인지도가 있다는 음료 [15] Lord Be Goja12758 22/09/26 12758
463372 [유머] 최근 난리난 초등학교 여교사.jpg [19] 굿럭감사12830 22/09/26 12830
463371 [유머] 아이폰 교통카드 사용.gif [6] Leeka10311 22/09/26 10311
463370 [게임] 이제는 역사와 전통을 자랑해도 되는 [3] 김티모12204 22/09/26 12204
463369 [유머] 좋은 사람이라고 착각하기 쉬운 사람.jpg [59] 삭제됨15687 22/09/26 15687
463368 [LOL] 이 시간 롤 상황 [25] 단맛9418 22/09/26 9418
463367 [게임] 해외 게임 웹진에서 한국 게등위를 유심히 살펴보는 이유.jpg [9] 캬라10540 22/09/26 10540
463366 [서브컬쳐] 요즘 1부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이라는 J류 [25] Lord Be Goja10515 22/09/26 10515
463365 [기타] 거리에서 버스킹했더니 시민 반응 [6] Just do it10547 22/09/26 10547
463364 [기타] (주식) 보그다노프, 놈들의 장이 끝났습니다. [12] 길갈9032 22/09/26 9032
463363 [기타] 옛날 신촌 모습... [33] 우주전쟁11447 22/09/26 11447
463362 [기타] 19년전 사진으로 157억 횡재 [22] 비타에듀16648 22/09/26 166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