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8 22:52:55
Name Aqours
File #1 1831d07142a44ea1b.jpeg (1.32 MB), Download : 64
출처 2차 루리웹
Subject [기타] 많은 국가들이 기초과학에 투자하는 이유




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2/09/08 22:54
수정 아이콘
맞는 말인데 그게 기초과학에 투자하는 이유는 아니죠
항정살
22/09/08 22:54
수정 아이콘
현대 과학 문명의 도약에 큰 주춧돌이 된 건 개인적으로 트렌지스터라의 발명이라고 생각합니다.
비온날흙비린내
22/09/08 23:49
수정 아이콘
저도 그렇게 생각해요. 컴퓨터와 인터넷이란 도구가 생기면서 수많은 다른 분야의 연구를 엄청나게 가속해버렸죠.
가나라
22/09/09 00:43
수정 아이콘
트랜지스터가 뭔가 궁금해서 나무위키를 찾아봤지만 전혀 1도 이해가 되지가 않고 와닿지 않네요 이게 뭔지
항정살
22/09/09 00:56
수정 아이콘
그냥 반도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니팅커벨여행
22/09/09 01:13
수정 아이콘
저는 패러데이의 전자기유도현상 발견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전기를 만들어야 그 이후의 것들이 나오죠
(유관 분야 종사자라 팔이 안으로 굽었...으흡..)
부산헹
22/09/08 22:57
수정 아이콘
전쟁으로 내가 먼저 조질려고 하는거 아니었어요?
기술적트레이더
22/09/08 23:01
수정 아이콘
화학이 더 갑 아닙니까?
서린언니
22/09/08 23:14
수정 아이콘
생물학 박사인 지인왈 질소합성비료가 진짜 대단한 발견이었다고...
고란고란
22/09/09 01:30
수정 아이콘
맞아요. 하버보슈의 질소 고정법. 이걸로 멜서스 트랩이 사라지고, 그 늘어난 인구가 다시 늘어난 화약에....
덴드로븀
22/09/08 23:04
수정 아이콘
팩트 : 한국 못삼(안삼)
크로스로드
22/09/08 23:20
수정 아이콘
한국 : 노벨상 없음
스노우
22/09/08 23:51
수정 아이콘
맞는 말이라고 하기 어려운 게 초기 이론에서 위처럼 실제 응용까지 가기에는 그 이론위에 엄청난 양의 공학연구가 더해져야 하죠. 본문 글처럼 보면 기초과학은 사실상 로또죠. 현 시점에선 그게 왜 연구되어야 하는 지 연구하는 당사자도 이해못하곤 하지만, 언젠가 누군가에게 이용되기만을 기다려야 하니... 기초과학을 해야 하는 이유는 사실상 딱히 없습니다. 미국도 기초 과학하는 교수들은 펀딩따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워서 말만 기초과학이지 실제로는 응용과학 하시는 분들이 많죠.
더스키블루
22/09/08 23:53
수정 아이콘
기초과학은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 어떤 것이 가능하고 어떤 것이 불가능한지 길을 알아내기 위한 탐사라고 생각합니다. 과학이 방향을 잡아주면, 공학이 그 길에서 유용한 것들을 찾아내고 실현하는 역할을 맡고 있구요. 물론 기초과학이 없어도 공학적 접근을 통해 이득을 얻을 수 있지만, 자칫 잘못하면 무한동력 같은 허깨비... 에 집착하게 되는 것이 아닌가...
더스키블루
22/09/08 23:56
수정 아이콘
기초과학으로 연구비 따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정말 과학적 의미만 적으면 아무도 관심을 가지지 않아요 ㅠㅠ 경제든 사회든 정치든 뭐든 그 어떤 응용가능성이라도 끌어모아서 명분에 붙여야지 관심이라도 받았었음. 대항해시대에 신항로 개척하려고 후원받던 항해자들의 마음이 이랬을까 싶...다가도 그냥 제가 대항해시대를 너무 많이 했나봅니다.
눈물고기
22/09/09 00:06
수정 아이콘
한국이라는 나라는 크기와 인구의 한계상 선택과 집중을 할 수 밖에 없는 나라라
기초과학보단 응용과학을 선택하고 집중했다고 보면 뭐 나쁜건 아닌거 같아요...

최근에 아르테미스 계획도 참여하고, 핵융합 연구에서도 상당히 인정받는걸 보면...
사나아
22/09/09 00:50
수정 아이콘
기초과학이랑 관계는 없지만 기초과학 하는 사람 입장으로써(?)
출산율이나 수도권 집중화도 어떻게 보면 선택과 집중 같기도..
22/09/09 00:22
수정 아이콘
물리-화학

두개중에 테크 갈리면 뭐 부터 탈깝쇼?
몽키.D.루피
22/09/09 00:52
수정 아이콘
Cern의 거대한 입자 가속기처럼 정말 쓸데없어보이고 비싼 실험기구를 어떻게 만들 생각을 했을까 싶은데 한편으로는 이런 상상을 해봤네요. 나중에 우주에 가속기를 만들수 있다면 행성 중력과 둘레를 이용해서 입자를 충돌시키고 그 영향으로 어느정도 지속되다가 소멸되는 작은 블랙홀이 만들어지고 그 블랙홀로 들어가서 반대편으로 빠져나오면 성간 이동이 가능해지게되는.. 추상적인 수학적 탐구와 세상의 기본원리를 파악하려는 순수한 호기심, sf적인 상상력, 그리고 그걸 구현하는 공학자들의 도전의식 등이 합쳐져서 우리가 사용하는 최첨단 제품들이 나온다고 봅니다.
페이몬
22/09/09 15:53
수정 아이콘
와 슈타인즈게이트 아시는구나
퀀텀리프
22/09/09 03:10
수정 아이콘
국책 연구소가 1년에 4~5조의 연구비를 쓴다던데 연구는 하는데 상용화 안되는 게 너무 많다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510 [유머] 물고기로 국을 끓이면? [24] 안초비9696 22/09/15 9696
462509 [연예인] 9월27일 미팅에 기대중인 주호민님.. [46] Lord Be Goja14810 22/09/15 14810
462508 [기타] 추석에 찍은 서울 하늘 [17] League of Legend11188 22/09/15 11188
462507 [유머] 벤츠 가로주차 참교육 근황의 근황 [4] 메롱약오르징까꿍11374 22/09/15 11374
462506 [유머] 넷플릭스 드라마 수리남 처음부터 비현실적인 설정.jpg [28] 캬라13111 22/09/15 13111
462505 [게임] 어지간해선 주인공 연임을 안 시켰던 게임 시리즈 [31] 길갈10443 22/09/15 10443
462504 [기타] 버지의 아이폰 14 & 14 프로 리뷰 [45] 비온날흙비린내9950 22/09/15 9950
462503 [유머] 로또 1등 당첨 시 행동요령 [38] Pika4812835 22/09/15 12835
462501 [방송] 스포) 워킹데드 오랜만에 보는 사람이 놀라는 이유 [28] 어서오고9586 22/09/15 9586
462500 [기타] [단독]애플, 韓 이용약관에 '애플페이' 추가 [37] 어서오고10906 22/09/15 10906
462499 [유머] 요즘 누가 골프장에 골프치러 감? [67] 레드빠돌이14904 22/09/15 14904
462498 [유머] 요즘 초등학교 청소 근황.. jpg [61] pzfusiler15003 22/09/15 15003
462497 [기타] 흑인 인어공주가 문제가 되는 이유 [93] kurt11835 22/09/15 11835
462496 [기타] 최근 4년간 세계영화흥행 [11] Lord Be Goja8761 22/09/15 8761
462494 [기타] 가발 + 여장 남자의 여탕 출입.. 50분이나 머물러.. [12] League of Legend11815 22/09/15 11815
462493 [유머] 블라인드 대문호가 은퇴하며 남긴 글 [18] 인증됨11465 22/09/15 11465
462492 [유머] 살인 범죄 범죄자와 피해자의 관계 [16] Pika4811324 22/09/15 11324
462491 [기타] 후방)대만의 양로원 이벤트 [13] 니시무라 호노카12536 22/09/15 12536
462490 [동물&귀욤] 누군가 매일 수시로 도어락 비번을 누름 [16] 한화생명우승하자10935 22/09/15 10935
462489 [기타] (주식) 어제 미장 분위기 요약 [27] 길갈11558 22/09/15 11558
462488 [기타] 구글이 공개한 요즘 AI 대화수준 [41] 니시무라 호노카11432 22/09/15 11432
462487 [유머] 23년간 실업급여를 받은 사람 [88] Leeka15030 22/09/15 15030
462486 [기타] 블룸버그가 분석한 한국의 저출산 원인 [19] 니시무라 호노카12303 22/09/15 1230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