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5 14:02:24
Name wish buRn
File #1 50129b77ce9889b122f03f217b45ede4a17af457.jpeg (155.4 KB), Download : 46
출처 다음
Subject [기타] 2021년 순자산 커트라인 (수정됨)


집값이 떨어졌으니 내년엔 감소할까요?
공시지가아닌 실거래가로 반영됐다합니다

숨겨진 자산이 있을꺼란 이야기도 있는데,평균값엔 영향을 줘도 커트라인엔 영향없을 것 같습니다.
코인 몇억어치,현금 몇억어치를 숨겨둘 사람이 몇십만명이나 되진 못할 듯요.
있다더라도 어차피 최상위권층에 해당될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2/09/05 14:07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294949?sid=101
[지난해 상위 1% 가구, 순자산 최저기준 '29억2010만원'] 2022.04.07.

순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부채 등을 제외한 실제 자산을 의미합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가 34.6%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50대(25.3%), 70대(21.4%) 등의 순이었습니다.
상위 1% 가구의 총자산은 51억원, 평균 부채는 4억7000만원으로 부채 비율은 9.2%를 기록
상위 1% 가구는 금융자산 17.8%, 실물자산 82.2%를 보유 - 부동산의 경우 거주주택 30.6% / 비거주 48.1%
wish buRn
22/09/05 14:12
수정 아이콘
평균값이랑 커트라인이 20억차이나네요..
기술적트레이더
22/09/05 14:11
수정 아이콘
저게 현금 부동산 포함한 개념이죠?
생각보단 적은것 같은데요. 상위 10프로가 10억이라니
22/09/05 14:13
수정 아이콘
부채를 빼서....
CastorPollux
22/09/05 14:1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돈 많은 사람도 많고,돈 없는 사람도 많죠..
몽키매직
22/09/05 14:14
수정 아이콘
피지알 주 연령대인 30대 기준으로는 매우 큰 돈이지만,
50-60대 기준으로는 그냥 큰 돈 이라는 정도의 차이랄까요.
22/09/05 14:15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돈 많은 사람도 많고,돈 없는 사람도 많죠.. 2222
wish buRn
22/09/05 14:15
수정 아이콘
1.서울 아파트 자체가 상위자산.
2.영끌러는 탈락
썬업주세요
22/09/05 14:18
수정 아이콘
요새 영끌 후려치기가 있는데 언제 영끌인지가 제일 중요하죠..
소독용 에탄올
22/09/05 15:00
수정 아이콘
순자산이라 부채는 빠지는지라....
diamondprox
22/09/05 15:02
수정 아이콘
언제 영끌이던 부채가 있으면 순자산에 포함시킬 수 없어서 탈락은 사실이죠 크크
이혜리
22/09/05 15:15
수정 아이콘
15-17년 봄에 영끌해서 아파트 샀으면 대충 10% 진입이 됩니다.......
4-5억하던 아파트 지금 14억 하고 있어서..
22/09/05 14:17
수정 아이콘
나보다 많은 사람에만 주목해서 그렇지 실제 못 사는 사람은 많죠
비록 자산이 아니라 소득이긴 하지만 월급 평균 300도 안되네 어쩌고 하는 글에 공감댓글 주루룩 달리는 걸 보면
그분들이 자산은 넘치는데 소득만 적다고 그런 식으로 반응하진 않으실테니
22/09/05 14:53
수정 아이콘
집 살때 부채안깔고 사는경우 거의없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하죠
초현실
22/09/05 14:20
수정 아이콘
그럼 빚 없이 서울 집 자가로 가지고 있으면 상위 10프로 이내인거에요?? 너무 후한거 같은데 크크크
담배상품권
22/09/05 14:24
수정 아이콘
서울 집 자가가 아파트(신~15년 이내의 국평)면 후한게 아닙니다.
22/09/05 14:29
수정 아이콘
20년기준 총 가구수가 2천만 서울 아파트소유 가구수가 160만입니다. 후한게 아니죠. 그리고 전국 아파트 소유 가구수는 약 천만으로 아파트 자가만 소유해도 평균 이상입니다.
22/09/05 14:44
수정 아이콘
아파트만 집이 아니라서..
22/09/05 14:43
수정 아이콘
이걸 보니까 갑자기 김정주 상속세 관련 글이 생각나네요..
diamondprox
22/09/05 15:01
수정 아이콘
고작 4조 받고 뭐 먹고 살라는건지... 0.00001퍼센트(?)는 되야되는데 말이죠 크크
22/09/05 14:44
수정 아이콘
대기업 맞벌이의 경우 30대 중반이 넘으니 부부합산해서 대충 실수령 1000만원 이상은 벌더라고요. 회사가 꽤 좋으면 실수령으로 부부합산 1500만원까지 벌기도 하고. 그런 페이스로 40대를 맞이하면 순자산이 못해도 5억은 넘게 됩니다. 그리고 재테크에서 조금 성과를 거두었으면 40대 후반에는 자산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위 10%에 포함되는 계층이 되는거네요.
소독용 에탄올
22/09/05 15:04
수정 아이콘
대기업 종사자가 임노동자중 17% 정도라서 맞벌이면 임노동자중 상위 10%에 이미 들어있....
diamondprox
22/09/05 15:11
수정 아이콘
대기업 맞벌이라면 소득기준으로도 상위 10퍼센트는 거뜬하니까요.

생각해보니 확실히 우리나라가 계층 사다리 운운하기에는 상위 소득계층의 상위 자산 계층으로의 진입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수월해보이긴 합니다?
뒹굴뒹굴
22/09/05 14:50
수정 아이콘
여기 댓글만 봐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눈이 높은지 알수 있죠.
10억이면 상위 10프로인데 낮아서 당황함 크크크크크
22/09/05 15:35
수정 아이콘
아파트 한채 있는 중산층.. 50억 상속 받는 일반인..
뭔가 기준이 많이 다른 경우가 있죠 크크
윤석열
22/09/05 15:11
수정 아이콘
0.1 정도 되면 돈으로 고통받는일은 없겠네요 30억정도 있어서 .5프로라도 아들 둘이서 아파트 한채씩해달라 그러면 남는것도 없을테니..
라울리스타
22/09/05 15:15
수정 아이콘
실거주 한 채 있는 중산층이 집값 상승기가 되면 호갱노노에 숫자는 잘 찍혀 좋겠지만 상대적으로는 최상위층과 간격만 더 벌어질 뿐이라고 봅니다. 더 좋은 자산을 들고있는 사람들의 자산은 더 폭등하기 때문이지요...게다가 우리나라처럼 집으로 돈벌어서 상위지역으로 뛴다...이런 개념이 강한 나라에선 상승기때 타이밍 못맞추면 상위지역 가는 건 더 요원해질 뿐입니다....
22/09/05 15:26
수정 아이콘
집값 뭐만하면 십몇억 이러는데 이야
김택진
22/09/05 15:34
수정 아이콘
한 가구는 몇 명인가요?
wish buRn
22/09/05 15:56
수정 아이콘
2.5명요? 총가구수 2100만이라네요
봄날엔
22/09/05 16:02
수정 아이콘
얼른 0.1% 가고 싶네요
wish buRn
22/09/05 16:35
수정 아이콘
1% 노려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376 [LOL] 이시각 현재 펨코 lol 커뮤를 떠들석하게 만들고있는 사안 [35] 아롱이다롱이13819 22/09/13 13819
462375 [기타] 디스크 환자들이 가장 싫어(?)하는 사람.. jpg [15] pzfusiler13652 22/09/13 13652
462374 [LOL] 신조어 많이아는 MZ 데프트.JPG [5] insane10190 22/09/13 10190
462373 [유머] 이정재가 얼마나 오래된 배우인지 실감나게하는 광고.jpg [28] 아수날12963 22/09/13 12963
462372 [기타] 강퀴 무기한 휴방 [15] 김티모11621 22/09/13 11621
462371 [음식] 숯불초보에게 고기굽는 법 공유하는 육식맨 [22] 삭제됨12863 22/09/13 12863
462370 [유머] 기립근운동으로 허리디스크를 예방해봅시다 [9] 메롱약오르징까꿍10771 22/09/13 10771
462369 [기타] 현대카드, 애플페이 1년간 독점…12만매 목표 [69] 슬로12614 22/09/13 12614
462367 [기타] 이제 좀 정신을 차린듯한 삼성전자 [35] Lord Be Goja13168 22/09/13 13168
462368 [유머] 미국에서 빠던 함부로 하지 말라는 이유 [6] 길갈11866 22/09/13 11866
462365 [게임] 롱워 제작진의 독립작품 '테라 인빅타' 출시일 트레일러 [8] 이호철8366 22/09/13 8366
462364 [유머] 박찬호 수리남 소감 [23] 이브이11441 22/09/13 11441
462363 [유머] 원룸으로 알아보는 세대차이 [31] EpicSide12493 22/09/13 12493
462362 [기타] 가성비는 안좋은데 맛있는지도 애매한 음식 [21] Lord Be Goja10349 22/09/13 10349
462361 [LOL] 수원FC. 데프트, 표식 임대 [2] SAS Tony Parker 6675 22/09/13 6675
462360 [게임] 넷플릭스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한국은 연기되었다고 하네요. [13] 타시터스킬고어9858 22/09/13 9858
462359 [기타]  가성비는 안좋은데 맛잇는 음식.jpg [55] insane13640 22/09/13 13640
462358 [유머] 진짜 '좋소'기업 [30] 길갈12779 22/09/13 12779
462357 [기타] 전국 코카콜라 이용자들에게 애도를 표합니다 [49] 묻고 더블로 가!14657 22/09/13 14657
462356 [기타] 데이트 어플 처음 해보는 기자.mp4 [30] insane12341 22/09/13 12341
462355 [동물&귀욤] 새가 쓰레기통을 뒤지지 못하게 하는 호주인의 지혜 [22] Lord Be Goja11707 22/09/13 11707
462354 [유머] 없는게 없는 무한도전 근황3.수리남ver [4] 두억시니9828 22/09/13 9828
462353 [LOL] 롤악귀 근황.jpg [15] insane8489 22/09/13 84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