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5 14:02:24
Name wish buRn
File #1 50129b77ce9889b122f03f217b45ede4a17af457.jpeg (155.4 KB), Download : 45
출처 다음
Subject [기타] 2021년 순자산 커트라인 (수정됨)


집값이 떨어졌으니 내년엔 감소할까요?
공시지가아닌 실거래가로 반영됐다합니다

숨겨진 자산이 있을꺼란 이야기도 있는데,평균값엔 영향을 줘도 커트라인엔 영향없을 것 같습니다.
코인 몇억어치,현금 몇억어치를 숨겨둘 사람이 몇십만명이나 되진 못할 듯요.
있다더라도 어차피 최상위권층에 해당될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덴드로븀
22/09/05 14:07
수정 아이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37/0000294949?sid=101
[지난해 상위 1% 가구, 순자산 최저기준 '29억2010만원'] 2022.04.07.

순자산은 전체 자산에서 부채 등을 제외한 실제 자산을 의미합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가 34.6%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어 50대(25.3%), 70대(21.4%) 등의 순이었습니다.
상위 1% 가구의 총자산은 51억원, 평균 부채는 4억7000만원으로 부채 비율은 9.2%를 기록
상위 1% 가구는 금융자산 17.8%, 실물자산 82.2%를 보유 - 부동산의 경우 거주주택 30.6% / 비거주 48.1%
wish buRn
22/09/05 14:12
수정 아이콘
평균값이랑 커트라인이 20억차이나네요..
기술적트레이더
22/09/05 14:11
수정 아이콘
저게 현금 부동산 포함한 개념이죠?
생각보단 적은것 같은데요. 상위 10프로가 10억이라니
22/09/05 14:13
수정 아이콘
부채를 빼서....
CastorPollux
22/09/05 14:13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돈 많은 사람도 많고,돈 없는 사람도 많죠..
몽키매직
22/09/05 14:14
수정 아이콘
피지알 주 연령대인 30대 기준으로는 매우 큰 돈이지만,
50-60대 기준으로는 그냥 큰 돈 이라는 정도의 차이랄까요.
22/09/05 14:15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돈 많은 사람도 많고,돈 없는 사람도 많죠.. 2222
wish buRn
22/09/05 14:15
수정 아이콘
1.서울 아파트 자체가 상위자산.
2.영끌러는 탈락
썬업주세요
22/09/05 14:18
수정 아이콘
요새 영끌 후려치기가 있는데 언제 영끌인지가 제일 중요하죠..
소독용 에탄올
22/09/05 15:00
수정 아이콘
순자산이라 부채는 빠지는지라....
diamondprox
22/09/05 15:02
수정 아이콘
언제 영끌이던 부채가 있으면 순자산에 포함시킬 수 없어서 탈락은 사실이죠 크크
이혜리
22/09/05 15:15
수정 아이콘
15-17년 봄에 영끌해서 아파트 샀으면 대충 10% 진입이 됩니다.......
4-5억하던 아파트 지금 14억 하고 있어서..
22/09/05 14:17
수정 아이콘
나보다 많은 사람에만 주목해서 그렇지 실제 못 사는 사람은 많죠
비록 자산이 아니라 소득이긴 하지만 월급 평균 300도 안되네 어쩌고 하는 글에 공감댓글 주루룩 달리는 걸 보면
그분들이 자산은 넘치는데 소득만 적다고 그런 식으로 반응하진 않으실테니
22/09/05 14:53
수정 아이콘
집 살때 부채안깔고 사는경우 거의없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하죠
초현실
22/09/05 14:20
수정 아이콘
그럼 빚 없이 서울 집 자가로 가지고 있으면 상위 10프로 이내인거에요?? 너무 후한거 같은데 크크크
담배상품권
22/09/05 14:24
수정 아이콘
서울 집 자가가 아파트(신~15년 이내의 국평)면 후한게 아닙니다.
22/09/05 14:29
수정 아이콘
20년기준 총 가구수가 2천만 서울 아파트소유 가구수가 160만입니다. 후한게 아니죠. 그리고 전국 아파트 소유 가구수는 약 천만으로 아파트 자가만 소유해도 평균 이상입니다.
22/09/05 14:44
수정 아이콘
아파트만 집이 아니라서..
22/09/05 14:43
수정 아이콘
이걸 보니까 갑자기 김정주 상속세 관련 글이 생각나네요..
diamondprox
22/09/05 15:01
수정 아이콘
고작 4조 받고 뭐 먹고 살라는건지... 0.00001퍼센트(?)는 되야되는데 말이죠 크크
22/09/05 14:44
수정 아이콘
대기업 맞벌이의 경우 30대 중반이 넘으니 부부합산해서 대충 실수령 1000만원 이상은 벌더라고요. 회사가 꽤 좋으면 실수령으로 부부합산 1500만원까지 벌기도 하고. 그런 페이스로 40대를 맞이하면 순자산이 못해도 5억은 넘게 됩니다. 그리고 재테크에서 조금 성과를 거두었으면 40대 후반에는 자산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위 10%에 포함되는 계층이 되는거네요.
소독용 에탄올
22/09/05 15:04
수정 아이콘
대기업 종사자가 임노동자중 17% 정도라서 맞벌이면 임노동자중 상위 10%에 이미 들어있....
diamondprox
22/09/05 15:11
수정 아이콘
대기업 맞벌이라면 소득기준으로도 상위 10퍼센트는 거뜬하니까요.

생각해보니 확실히 우리나라가 계층 사다리 운운하기에는 상위 소득계층의 상위 자산 계층으로의 진입이 다른 나라에 비해서는 수월해보이긴 합니다?
뒹굴뒹굴
22/09/05 14:50
수정 아이콘
여기 댓글만 봐도 우리나라 사람들이 얼마나 눈이 높은지 알수 있죠.
10억이면 상위 10프로인데 낮아서 당황함 크크크크크
22/09/05 15:35
수정 아이콘
아파트 한채 있는 중산층.. 50억 상속 받는 일반인..
뭔가 기준이 많이 다른 경우가 있죠 크크
윤석열
22/09/05 15:11
수정 아이콘
0.1 정도 되면 돈으로 고통받는일은 없겠네요 30억정도 있어서 .5프로라도 아들 둘이서 아파트 한채씩해달라 그러면 남는것도 없을테니..
라울리스타
22/09/05 15:15
수정 아이콘
실거주 한 채 있는 중산층이 집값 상승기가 되면 호갱노노에 숫자는 잘 찍혀 좋겠지만 상대적으로는 최상위층과 간격만 더 벌어질 뿐이라고 봅니다. 더 좋은 자산을 들고있는 사람들의 자산은 더 폭등하기 때문이지요...게다가 우리나라처럼 집으로 돈벌어서 상위지역으로 뛴다...이런 개념이 강한 나라에선 상승기때 타이밍 못맞추면 상위지역 가는 건 더 요원해질 뿐입니다....
22/09/05 15:26
수정 아이콘
집값 뭐만하면 십몇억 이러는데 이야
김택진
22/09/05 15:34
수정 아이콘
한 가구는 몇 명인가요?
wish buRn
22/09/05 15:56
수정 아이콘
2.5명요? 총가구수 2100만이라네요
봄날엔
22/09/05 16:02
수정 아이콘
얼른 0.1% 가고 싶네요
wish buRn
22/09/05 16:35
수정 아이콘
1% 노려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2272 [기타] 속보)국밥 패배 [18] 퍼블레인12777 22/09/12 12777
462271 [유머] 후쿠시마 우럭들 근황 [16] 공사랑13070 22/09/12 13070
462270 [서브컬쳐] 출장 듀얼리스트 [4] 좌종당6903 22/09/12 6903
462269 [LOL] 앰비션이 현역시절 큐베만 유기했다는건 아주 큰 오해다.jpg [11] insane9413 22/09/12 9413
462268 [유머] 남자친구의 출소 선물을 고민하는 [19] 퍼블레인11583 22/09/12 11583
462267 [유머] 미국 전기차 유저의 장거리 운전 DIY. [20] 캬라11806 22/09/12 11806
462266 [유머] 한국인들의 천연 물질 사랑.jpg [20] 캬라12999 22/09/12 12999
462264 [유머] 동국대생들이 즐겨먹는다는 음식.. jpg [22] pzfusiler12027 22/09/12 12027
462263 [LOL] 롤드컵 21세 원딜 법칙이 유지된다면? [9] Leeka7240 22/09/12 7240
462262 [유머] '벌'에게 여왕의 작고를 알린 왕실 양봉사 [9] League of Legend11895 22/09/12 11895
462261 [기타] AI가 그린 짱구 등장인물들 [21] 아비치9397 22/09/12 9397
462260 [기타] AI그림으로 윤동주 시 읽기 [10] 아비치9545 22/09/12 9545
462259 [LOL] 더샤이 한국 온 듯, 도인비 "edg가 젠지 상대로 상성상 해볼만하다고봄" [16] 아롱이다롱이9082 22/09/12 9082
462258 [서브컬쳐] 애니메이션 나중에 몰아보면 좋은점.jpg [10] 오우거7519 22/09/12 7519
462257 [LOL] 티원이 가지고 있는 또 다른 롤드컵 기록 [6] Leeka7033 22/09/12 7033
462255 [유머] 과외 구하는 패기넘치는 n수생 [20] 소믈리에9696 22/09/12 9696
462253 [서브컬쳐] AI가 그린 해리포터 여캐들 [8] 소믈리에8427 22/09/12 8427
462252 [유머] 영화 트루먼쇼의 충격적인 반전(스포주의) [9] 소믈리에9119 22/09/12 9119
462251 [유머] 아이고 풋인 회장님 도네 정말 감사합니다~ [19] 겨울삼각형9574 22/09/12 9574
462250 [서브컬쳐] 서구권에서 선정한 만화 평점 랭킹 [31] 아케이드10946 22/09/12 10946
462249 [유머] 유희왕 파워인플레 체감.jpg [4] 김유라7693 22/09/12 7693
462248 [서브컬쳐] AI가 그린 슬레이어즈 리나 인버스의 주문 [15] 라쇼11545 22/09/12 11545
462247 [유머] 미래를 대비한 세계 3대 저장소 [13] 길갈10085 22/09/12 1008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