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9/01 19:09:30
Name 하루빨리
출처 뭐랭하맨 유투브 채널
Link #2 https://youtube.com/shorts/u3RibfVvpV8?feature=share
Subject [유머] 461450글 관련) 기여는 제주어입니다.


여기서 긴가? 는 기여의 의문문 형태, 즉. 표준어로 치면 그래+니은가 가 붙은 그런가? 죠. 즉, 기여 = 그래. 긴가? = 그런가? 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옥동이
22/09/01 19:10
수정 아이콘
전라도 인줄
오곡물티슈
22/09/01 19:13
수정 아이콘
기-이? = 그래? 이거였던가... 가물가물하네
고란고란
22/09/01 19:17
수정 아이콘
충청도에서도 쓰는 말인데요...
하루빨리
22/09/01 19:21
수정 아이콘
정확히는 충청도 방언이 아니라 충청도에서도 남부, 옥천쪽에서 쓰이는 진짜 로컬한 단어입니다. 그래서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는 기여를 부사어로서의 경남 방언과 감탄사로서의 제주 방어으로만 취급해주고요. 충청도 방언이라고 소개하진 않습니다.

제주어랑 쓰임이 비슷한걸로 봐선 완전 옛 언어를 저 지역만 계속 써온거라 추측됩니다.

http://www.dy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6541
고란고란
22/09/01 19:22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충남 태안 친가 가면 대화할 때 맨날 듣는 말인데.... 링크해주신 내용과 쓰임이 일치합니다.
하루빨리
22/09/01 19:24
수정 아이콘
요즘은 방언 쓰는게 어색하지도 않고 오히러 장려하고 있으니까요. (특히나 제주어 같은 경우는 요즘은 초등학생들이 성인들보다 잘 구사하더군요. 학교에서 배워서요. 일부러 쓰진 않지만 제주어 써보라고 하면 잘합니다.)

더군다나 기여는 쓰기가 편하잖아요. 앞으로도 계속 쓰일 방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고란고란
22/09/01 19:26
수정 아이콘
이게 뭔가 별거 아닌걸 제가 계속 반박?하게 되는데... 제 친가는 태안 시내에서도 한참 들어가야 있는 깡촌입니다. 제 아버지 세대에게서만 들어봐서... 젊은 세대도 쓰는 줄은 전혀 몰랐어요.
우울한구름
22/09/01 21:20
수정 아이콘
서태안 쪽에서 옛날부터 많이 썼어요. 그쪽 출신입니다.
카르페디엠
22/09/01 19:53
수정 아이콘
서산쪽 출신인데 그냥 서태안쪽에서 옛날부터 완전 흔한말 맞아요.
맨날 긴가? 기여? 쓰다가 대학다니면서 놀림 당하던 기억도 선명함.
살려야한다
22/09/01 19:32
수정 아이콘
아산인데 많이 씁니다
Janzisuka
22/09/01 19:35
수정 아이콘
충남 홍성이 본적인데...저희 친가들 전부 쓰는..!!
Equalright
22/09/01 19:36
수정 아이콘
어 저 논산인데 엄청씁니다..
남부면 맞긴하네요
NT_rANDom
22/09/01 20:33
수정 아이콘
대전인데
q.기여?
a. 겨.
엄청쓰는데요
Foxwhite
22/09/01 20:47
수정 아이콘
저도 대전입니다. 겨는 많이 써요 크크크
Dear Again
22/09/01 19:22
수정 아이콘
긴가민가하네요
캐러거
22/09/01 19:23
수정 아이콘
충청도에서도 씁니다. 겨(기여) 아녀 참고로 해안쪽(충남 보령)입니다.
하루빨리
22/09/01 19:25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 달았듯이 원래 충청에선 완전 로컬한 단어입니다. 요즘 점점 쓰임새가 넓어지는거 같네요.
캐러거
22/09/01 19:29
수정 아이콘
충북에서도 남부지역에서만 쓰는 진짜 로컬한 말이라는거에 선뜻 그렇구나가 라고 하기엔
충청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다 쓰는 것 같아서 하는 말입니다.
외가 충청 보령, 홍성, 서천 이쪽도 다쓰고 천안 청주 등 북부 도시지역에서도 다 쓰는 말인데요
하루빨리
22/09/01 19:35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ko.dict.naver.com/#/search?query=기여

네이버 국어사전에서도 오픈사전에 등재되어 있고, 그럼에도 충남내륙 방언이라 콕 집어 적혀 있습니다.

위에 기사 기고문과 국어사전을 참고하면 아무리 제가 충청도 사람은 아니라지만 그래도 제 의견이 더 정확한거 같습니다만....

요즘에야 이동수단 발달로 생활권도 넓어지고 해서 충남 방언이라고 충북에서 안들릴 리 없다고 보고요. 그렇다고 충청도 전체 방언이라고 하기엔 서울에서 기여 쓴다고 서울 방언이라고 하는 수준인거 아닌가 조심스럽게 이야기 해봅니다.
캐러거
22/09/01 19:45
수정 아이콘
아니 할아버지 할머니들 하시는 사투리들 들으면서 자랐는데 뭔 생활권이 넓어지고 말고가 있을까요.
그리고 지금 윗 댓글 쓰신분들만 해도 충청도 곳곳에서 사용한다고 경험을 말들 하시는데
네이티브들이 더 정확할까요 아니면 사전과 신문에서 본 것만으로 확신하는 글쓴 분께서 더 정확할까요.
하루빨리
22/09/01 19: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지금 댓글 쓰시는 분들 다 충남 이야기 하시지 충북이야긴 안하시거든요.

위에부터 충남 태안, 아산, 홍성, 논산, 보령 여기가 충남이지 충북 아니잖아요.
캐러거
22/09/01 19:50
수정 아이콘
충북 내륙의 옥천 지방서 로컬하게 쓰이는 말이라고 하셔서 생활권이 다른 충남 남부해안지역 북부해안지역도 통용되는 말이라고 반박드린겁니다.
하루빨리
22/09/01 19: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정확하게 '충청도에서도 남부, 옥천' 이렇게 적었잖아요. 충청도 남부와 옥천 지방에서 쓰인다고요. 근거는 기사 내용이고요. 왜 잘못 읽어놓으시고 제가 틀렸다고 자꾸 이야기 하시는지...

뭐 다시 기사 보니 충북 남부 지방이라고 적혀 있네요. 거기 옥천이 포함이고요. 이러면 캐러거님의 말씀도 맞네요.
캐러거
22/09/01 19:54
수정 아이콘
기사로 보여주신거는 충청도 남부지역에서 사용한다고 보내주신건데 아산,태안,홍성을 충청도를 전체로봤을 때 남부지방이라고 칭하진 않죠.
서로 생각하는 충청도 남부에 대한 인식이 달랐던 것 같네요.
댓글 확 따지듯이 달아서 미안합니다.
하루빨리
22/09/01 19: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캐러거 님// 제가 약간 충청도에 대한 이해가 떨어졌네요. 충청 남북도가 동서로 갈라졌단건 머리론 이해했었는데 그래도 글로 쓰니깐 진짜 남 북 지방이라 착각하며 적었습니다. 저도 죄송합니다.
Janzisuka
22/09/01 19:35
수정 아이콘
저희는 충남 홍성이 본적이라 친가들은 다 쓰는듯요
깻잎튀김
22/09/01 19:23
수정 아이콘
청주 후배 만나서 충청도 말 해보라 하면 그냥 튀어나오는게 기여였는데...
jjohny=쿠마
22/09/01 19:24
수정 아이콘
부모님 충남 천안/공주 출신이시고, 친척 모임 가면 자주 들었습니다.
김성수
22/09/01 19:25
수정 아이콘
기다 아니다의 그건가요? 그거라면 서울에서도 많이 들어 봤습니다.
하루빨리
22/09/01 19: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주도 사람이면 가장 흔하게 쓰는 방언이라서요. 젊은이들이 많이 쓰죠

아... 기다 아니다의 그건 아닙니다. 기여는 그래 라는 의미의 감탄사입니다.
장헌이도
22/09/01 19:39
수정 아이콘
어원적으로는 "기다 = 그 + 이다"이고 "기여 = 그 + 이여(감탄조사)"입니다. 제주 방언은 전라 방언과 유사한 부분이 많습니다. 윗분들 말씀으로는 충남 전역에서 쓰인다고 하니 아마 전라도를 중심으로 남북으로 퍼져나간 표현이 아닐까 싶네요.
김성수
22/09/01 20:19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흐흐
콘칩콘치즈
22/09/01 19:25
수정 아이콘
충남 예산 씁니다
삭삭삭삭삭
22/09/01 19:29
수정 아이콘
겨? - 부모님 세대가 많이 씀
기야? - 젊은 사람들이 많이 씀
사투리 거의 없다고 말하는 대전에서도 많이 쓰는 말입니다
한화거너스
22/09/01 20:03
수정 아이콘
대전 출신입니다. 어려서부터 입에 달고 살았고 온 친척 분들이 다 썼습니다.
하루빨리
22/09/01 20:04
수정 아이콘
다 좋은데 왜 제주도 지방 인증은 하나 없고 다 충청도 지방 인증인가요 ㅠ.ㅠ
포프의대모험
22/09/01 20:12
수정 아이콘
기여 <-> 아니여
전라도사투리인줄
김뮤즈
22/09/01 20:25
수정 아이콘
제주도는 약간 느낌이 달라요
기? 기수꽈? 기~ 이런식으로 쓰더라구요
시댁이 제주도인데 저는 기여 쓰는건 진짜 한번도 못들어봤고
남편은 기여 도 쓰긴 하는데 빈도가 떨어지긴 한대요
충청도쪽에서 기여 쓰는건 많이 들어봤습니다..
카페알파
22/09/01 20:40
수정 아이콘
청주에서는 들어봤는데, 충주/제천에서는 못 들어본 듯 하네요.
Dark Swarm
22/09/01 20:54
수정 아이콘
제 주위 경험으로 보기로는 청주 대전 쪽이 여~ 발음이 주로 쓰이고 충주는 유~발음을 주로 쓰죠. 제천이야 충청도라기엔 강원도 쪽 사투리가 더 강세인 지역이고
카페알파
22/09/02 00:05
수정 아이콘
굳이 이야기하자면 충주 쪽도 '~유' 는 잘 안 씁니다. 근처 시골 좀 들어가거나 아주 옛날 분이면 모를까...... 대신 '~여' 를 쓰기는 쓰는데 청주 쪽과는 좀 다르게 '~야' 가 들어갈 자리에 쓰죠. 물론 청주 쪽도 비슷하게 쓰이기도 합니다만 발음을 짧게 줄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네 거야? (표준어)
니 거여? (충주)
니껴? (청주)

이런 식으로요.
이탐화
22/09/01 20:44
수정 아이콘
충청도 북부에서 많이 씁니다..
락샤사
22/09/01 21:32
수정 아이콘
겨, 아녀 이거 태안은 확실히 씁니다 크크
우울한구름
22/09/01 21:44
수정 아이콘
이게 이렇게 반응이 오는게, 저게 저를 포함해 주변의 이쪽 출신들이 생각하는 충청도 사투리의 대표격이라서가 아닐까싶습니다. 충청도는 사투리가 거의 없는 곳이 많은데 저건 쓰거든요. 누가 충청도 사투리 물어봐도 제일 많이 언급하고요. 사실 다른건 아예 생각이 안 납니다. 그런데 충청도 사투리가 아니라고 하니 읭? 하게 되서요.
22/09/01 21:59
수정 아이콘
저도 왜 알고 있지 했는데 할아버지가 홍성 출신이시네요.
MyBloodyMary
22/09/01 22:28
수정 아이콘
제주어든 아니든 관계없이 충남 방언 맞습니다.
하루빨리
22/09/01 23:18
수정 아이콘
아니라고 한 적 없습니다.
22/09/01 23:20
수정 아이콘
충청도 사투리 아녀?
겨~ 매일 듣구 사는디 그걸 아니라구 하믄 되간?
12년째도피중
22/09/02 01:24
수정 아이콘
둘 다 쓰는데 용법이 좀 다른 것 뿐입니다. 한정짓지 말아요. 우리.
(제주사람. 천안 일대 군무원 아저씨들과 2년여 복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61794 [기타] 힌남노에 대비하는 제주도 모습 [16] 니시무라 호노카13288 22/09/05 13288
461793 [방송] 아프리카 원딜 3대장.JPG insane11135 22/09/05 11135
461792 [유머] 바람이 너무 세면 일어나는 일.. jpg [16] pzfusiler12441 22/09/05 12441
461791 [기타] pgr에 특화된 우리나라 최초의 SF소설 [8] 구마라습9459 22/09/05 9459
461790 [연예인] 이쯤 되면 스릴에 중독된 미친 사람 같아 보임 [20] 오곡물티슈14207 22/09/05 14207
461789 [기타] 피지알러가 직접 사봤을 것 같지 않은 제품 [20] 우주전쟁9164 22/09/05 9164
461788 [유머] 아니 차 뒤에서 박았는데 말이 됨? [24] 어서오고11667 22/09/05 11667
461787 [LOL] 롤 5레벨 명예 스킨 공개 [24] 반니스텔루이11790 22/09/05 11790
461786 [텍스트] 현대의 의식주.txt [4] VictoryFood9638 22/09/05 9638
461785 [서브컬쳐] 스포) 김전일 세계관 사이다 원탑.gif [27] 실제상황입니다16148 22/09/05 16148
461784 [유머] 네가 불륜을 한 사실을 알고있다 [16] 이호철11953 22/09/05 11953
461783 [유머] 이미 당첨된 복권을 살짝 긁어봄 [13] VictoryFood13218 22/09/05 13218
461782 [연예인] 배우 이동욱이 인터넷에서 조세호 손절한 이유.jpg [4] insane13740 22/09/05 13740
461781 [방송] 이혼전문변호사가본 최단기간 이혼 [16] 웃어른공격15821 22/09/05 15821
461780 [유머] 귀여운 미끼상품에 속지맙시다 [9] 레드빠돌이11040 22/09/05 11040
461779 [기타] 현직 공무원이 말하는 2030 자살.jpg [71] 니시무라 호노카16604 22/09/05 16604
461778 [기타] 의외로 빽다방에서 안되는 것 [27] 니시무라 호노카11701 22/09/05 11701
461777 [기타] 여자들 참고) 남자옷 가격대 [80] 니시무라 호노카14016 22/09/05 14016
461775 [동물&귀욤] 제주도 물폭탄, 물에 빠진 소 [19] 니시무라 호노카11298 22/09/05 11298
461774 [기타] 유소유 스님 [48] 니시무라 호노카13300 22/09/05 13300
461773 [방송] 이따끔 기자 근황 [10] Croove10532 22/09/05 10532
461772 [유머] 군복무일 하루 줄어듬 [8] 이호철8684 22/09/05 8684
461771 [기타] 우수한 치어리더 복귀 [17] 묻고 더블로 가!13631 22/09/05 136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