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1/29 22:36:39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2.33 MB), Download : 39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기타] 2022년부터 달라지는 것.jpg


그렇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League of Legend
22/01/29 22:41
수정 아이콘
분리수거가 더 귀찮아지네요..
묵리이장
22/01/29 22:45
수정 아이콘
중소대기업 사장들은 나쁜 놈들이 왜케 많은거야!!!
마리아 호아키나
22/01/29 23:00
수정 아이콘
어린이보호구역 시속 30에서 20으로 낮아지는건가요? 20은 너무 느린데..
22/01/29 23:06
수정 아이콘
어린이보호구역 제한속도(30km/h)를 20km/h 이상 초과하는 경우(즉 시속 50km/h로 달리다가 적발된 경우)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
마리아 호아키나
22/01/30 00:27
수정 아이콘
본문의 문장이 조금 이상하네요. 말씀하신게 맞는것 같습니다.
22/01/29 23:03
수정 아이콘
근로기준법은 정확하지 않은 내용이 좀 있네요 육아휴직 부분도 틀린내용이고
대박났네
22/01/29 23:08
수정 아이콘
어휴 저 한심한 일회용컵 보증금
하얀 로냐프 강
22/01/29 23:19
수정 아이콘
재활용은 애지간히 해라...ㅠㅠ
22/01/29 23:29
수정 아이콘
1~21번까지 혜택보는게 하나도 없네요 크크
메타몽
22/01/29 23:51
수정 아이콘
실비보험은 대체...
Paranormal
22/01/30 00:06
수정 아이콘
어휴...
22/01/30 00:5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세금~ 살살 녹는다~
재활용좀 적당히하자 뭐 얼마나 인정받고싶어서 저러는건지 모르겟네
22/01/30 01:15
수정 아이콘
재활용하는게 뭐 그리어렵다고 세금 녹는다고 하시는지요??
비닐백이야 장볼때 장바구니가지고 가면되고 없으면 종량제봉투사면되는거고

플라스틱이야 좀번거롭더라도 재활용 잘하면되는거죠

마치 지구온난화가 거짓이라는 논리보는것 같습니다
22/01/30 01: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 2점),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키르히아이스
22/01/30 03:19
수정 아이콘
분리수거 정책이 꼬우면 안되는건가요?
절취선 따라 한번에 떨어지는걸 본적이 없고 기어이 칼을 써야 제거되는 라벨
분리 안하면 과태료 부터 때린다는게 꼬운데요
하나부터 열까지 배출하는 쪽에만 책임을 몰빵시키고
아몰라 니들이 알아서 해 라고하는게 꼬우면 지구온난화가 거짓이라는 논리가 됩니까?
닉네임을바꾸다
22/01/30 13:05
수정 아이콘
뭐 페트병 라벨은 보면 생수는 잘 떨어지는데(요즘은 무라벨도 나오느니 마느니 하지만요...) 유독 안떨어지는게 코카콜라하고 펩시...
헛스윙어
22/01/30 00:58
수정 아이콘
제가 사는곳에 비닐백 금지되었는데 죽겠어요 쇼핑할때마다...
피지알 안 합니다
22/01/30 01:41
수정 아이콘
페트병 그냥 라벨 다 없앴으면 좋겠네요. 그럼 뗄 필요도 없어질 텐데
만취백수
22/01/30 03:50
수정 아이콘
포장 재질 일원화나 수작업만으로 분해가능하게 좀 ㅠ.
22/01/30 01:45
수정 아이콘
장바구니야 챙겨가면되죠
이사 자주다닐거아니면 종량제봉투야 있으면 언제든지 쓰는거구요
플라스틱에 묻은거 있으면 씻어서 버리는건 설거지하면서 겸사겸사합니다
개인별 차이는 있지만 할수있는만큼의 재활용하는게 큰어려움은 아닐텐데요

본문에서 언급된 재활용 과태료는 패트병라벨제거 내용물비우기가 다인데그게 엄청나게 어려운 일도 아닐뿐더러
앞으로 그렇게 계속 해나가야 살수있는 상황에서
개지랄이라는 단어까지 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등산할때나 바닷가갈때 널려있는 수십년묵은 쓰레기들 보면 볼수록 지금이라도 더 강력하게 해야한다고 봅니다
22/01/30 04:59
수정 아이콘
분리수거된 쓰레기들 똑바로 처리하면 말이라도 안 나오지 싶습니다. 분리수거하면 뭐해요 가져가서 도로 합쳐놓는데.
22/01/30 02:29
수정 아이콘
다 괜찮은것같은데 반응 엄청 날서있네요...
Sousky Seagal
22/01/30 06:59
수정 아이콘
그러게요...
22/01/30 13:37
수정 아이콘
그니까요.. 제주변에서보면 꼭 저런 사람들이 책임은 안지고 권리만 찾더라구요
Openedge
22/01/30 02:52
수정 아이콘
코로나 시대라 배달은 늘고 박스와 플라스틱은 쌓이는데 분리수거 난이도가 올라가니 힘들긴 합니다.
더군다나 동네가 재활용은 주에 한번만 배출 가능해서 공간적인 문제도 크네요 ㅠㅠ
그냥 정부에서 재활용 업체에 보조금을 주고 재활용 일체를 그냥 수거해서 업체에서 라벨이나 분류나 그런거 직접 해줬으면 좋겠네요
자동인형
22/01/30 04:37
수정 아이콘
그 와중에 거지같은 배달용기는 또 못본척하네; 뒷돈이라도 들어오나?
문재인대통령
22/01/30 06:37
수정 아이콘
경험해,,,733 1 00238 88125 5125512
Navigator
22/01/30 06:41
수정 아이콘
10번 11번… 세금내기 너무 아까운데
22/01/30 07:23
수정 아이콘
dsr 규제 저거 엄청 빡센데……지난해 이사할 때 고생 많이 했습니다-_ㅜ
마도로스배
22/01/30 08:52
수정 아이콘
이정도가 귀찮으면 어떻게 살지
바람의바람
22/01/30 09:01
수정 아이콘
근데 제반시설은 다 마련하고 하는건가요?
저번에 뉴스보니까 아무리 사용자가 열심히 세척하고 분리해놔도
결국 제반시설 미비로 다 한번에 섞여서 무쓸모로 변한다고 하던데

제반시설은 아직이지만 언제가 될 지 모를 그 날을 위해 사용자만 닥달하는건가요?
상식적으로 제반시설 마련 다 해놓고 사용자 계도기간 거치고 적용하는게 맞는거 같은데
22/01/30 11:42
수정 아이콘
이 정도는 도시에 엄청나게 모여 사는 대가로 최소한이라고 봅니다.
더치커피
22/01/30 11:52
수정 아이콘
건보료, 장기요양보험료를 각각 월급의 6.99%, 12.27% 뗀다는 건가요?
그리고 2천만원 이상 초과수익에 추가 건보료 부과? 여기서 2천만원은 월급 기준인가요 아니면 연봉 기준인가요?
다리기
22/01/30 12:33
수정 아이콘
당연히 연봉 기준이라고 생각하고 엄청 광범위하게 뜯어가는구나 했는데
생각해보니 근로자 대부분에게 추가 징수하는 건 아닐테니 월급 기준이 아닐까 싶네요.
지네와꼬마
22/01/30 12:56
수정 아이콘
건보료는 사업주 근로자 반반씩 부담합니다.
장기요양보험료도 반반씩 부담합니다. 다만, 이는 월급 대비 비율이 아니라 건보료 대비 비율입니다.
더치커피
22/01/30 13:15
수정 아이콘
그럼 월급 대비 장기요양보험료는
6.99% * 12.27% * 1/2(반은 사용자 부담) = 0.4288%라고 생각하면 되겠네요
댓글 감사드립니다~
두둥등장
22/01/30 13:57
수정 아이콘
요즘 음료수는 거의 다 잘떼지던데요 재잘을 바꿨는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7423 [LOL] 버프먹고 선 넘어버린 멜모서스 쉴드량 [20] League of Legend10182 22/02/02 10182
447422 [유머] 수상한 도장을 한 차량의 결말 [12] 세력11600 22/02/02 11600
447421 [유머] 요즘 눈 올 때 그 기자님 안 보이는.eu [4] KOS-MOS8738 22/02/02 8738
447420 [유머] 부산대 무시하는 친척하고 싸웠다.. [11] KOS-MOS11076 22/02/02 11076
447419 [유머] 노마스크 속에서 혼자 마스크를 쓰는 [7] KOS-MOS8405 22/02/02 8405
447417 [스타1] 홍진호님은 잘 계신가요? [22] 라파엘11534 22/02/02 11534
447416 [유머] 유희왕 세계의 수술법 [8] 달은다시차오른다6852 22/02/02 6852
447415 [유머] 요즘 피자도 미국에서 직수입하나 보네요 [16] 아즈가브11592 22/02/02 11592
447414 [유머] 아빠와 어린 딸의 극한에 달한 고백 게임 (어린이 시청 제한) [6] 협곡떠난아빠9770 22/02/02 9770
447413 [유머] 정상수 근황.jpg [8] TWICE쯔위11489 22/02/02 11489
447412 [연예인] 남녀로 편가르고 편파판정 논란이 있었지만 사랑받던 프로그램 [5] 오곡물티슈11901 22/02/02 11901
447411 [유머] 맥북에 윈도우 깔거면 맥북 왜 써.jpg [6] 삭제됨9389 22/02/02 9389
447410 [유머] 화목한 명절의 피해자 [2] 길갈8648 22/02/02 8648
447409 [연예인] 여전히 아재감성 충만한 이민정 [1] 묻고 더블로 가!9570 22/02/02 9570
447408 [유머] 일본 유사과학 근황 [26] TWICE쯔위12157 22/02/02 12157
447407 [유머] 소련여자의 깨우침.jpg [17] TWICE쯔위14287 22/02/02 14287
447406 [게임] poe 레딧발 스타터 빌드 고르는법 [21] 이히리기우구추8011 22/02/02 8011
447405 [LOL] lck 뽈쟁이툰 18화 올라왔네요. [17] 카루오스7273 22/02/02 7273
447404 [유머] 베트남에게 참패한 중국축구팬 반응.gif [21] TWICE쯔위11261 22/02/02 11261
447403 [유머] K-하청 조기교육 [7] Rain#18717 22/02/02 8717
447402 [유머] 대단하다고 느낀 직장인 유형.jpg [43] 핑크솔져14368 22/02/02 14368
447401 [게임] (약후/길티기어계층)시대가 흘러도 변하지 않는 것 [2] roqur7868 22/02/02 7868
447400 [유머] 순간이동 마술 [22] 카루오스8371 22/02/02 83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