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1/23 20:59:40
Name AKbizs
File #1 1e7ff70cd4582b83818496a501a1f0e4.png (348.6 KB), Download : 29
출처 펨코
Subject [유머] 광주아파트 붕괴사건 근황.jpg



그동안 시공이 문제였지 설계와 자재는 요즘시대에 가라로못한다는 의견이 꽤 있었는데 짜잔~

진짜 철근도 빼먹었거나 저품질제품썼을가능성도 아예없진않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01/23 21:01
수정 아이콘
일반 아파트 공사도 2등 낙찰아니고 최저가낙찰인가요?
돈테크만
22/01/23 21:21
수정 아이콘
저긴 재개발이라 조합에서 선정한거죠. 선정할때 몇개 업체가 참여했는지는 모르겠는데 제안서 보고 현산 선정한겁니다.
22/01/23 21:29
수정 아이콘
조합에서 선정한건 현대산업개발이고 그밑에 토목공사는 현산에서 따로 하청입찰받아서 선정하는거 아닌가요?
이르미르
22/01/23 21:46
수정 아이콘
이게 맞죠. 그리고 요새 기조가 최저가낙찰인데.. 여기서부터는 지인피셜인데 인건비도 못건지는 수준으로 입찰넣어야 겨우 낙찰받는 수준이라고 하더라고요..
22/01/23 22:25
수정 아이콘
그럼 저렇게 될수밖에 없겠네요 ㅜㅜ나쁜넘들
돈테크만
22/01/23 22:01
수정 아이콘
아 저는 시공사 선정 얘기하시는줄 알았네요~
정말 하청도 적당히 줘야지..이건 뭐 저렇게 안하면 수익 안나는 가격으로 하청을 주니...
EK포에버
22/01/24 09:49
수정 아이콘
지금도 있는지 모르겠는데..예전에 제 경험상 지자체가 사업계획 승인이나 착공허가 등을 할 때 [지역업체에 하도급 금액의 몇% 이상을 배정하라][권고]하는 경우를 본 적이 있습니다. 시공사 등록 협력업체 중 제일 일 잘하는 업체를 배제할 수 밖에 없는 경우도 있고, 지역 업체들끼리 결탁해서 나눠 먹는 경우도 있게되고..

그래서 있어야 하는게 감리인데..주택법에 일정 규모 이상의 주택공사 감리는 시공사가 지자체에 감리비를 낸 다음, 시공사가 아니라 지자체가 선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지역 또 감리업체가 선정되게 되고..생각보다 시공사가 감독하기 힘든 부분도 있어요. 물론 제도의 취지는 지역 경제를 살리고, 0원 감리에 의한 부실 감리를 막고, 시공사가 슈퍼갑질을 하는 것을 막아보지는 것이긴 합니다만..돈 있는 곳에 편법과 담합이 생기는 건...
葡萄美酒月光杯
22/01/23 21:02
수정 아이콘
가장 중요한건 저 단지만 그런건가 이건데..
22/01/23 21:04
수정 아이콘
막말로 지금 무너진 동은 철거하고 새로짓건 보수해서짓건 사방에서 두눈부릅뜨고 지켜볼꺼라 오히려 안심인데 문제는 이미 시공이 끝난 옆동이죠. 진짜 옆동에 입주해서 살사람들이 제일찝찝할껍니다
공인중개사
22/01/23 21:56
수정 아이콘
찝찝하긴 한데, 다르게 생각해보면 덕분에 저 아파트 다른 동들은 안전검사 제대로 받을겁니다..
피식인
22/01/23 21:04
수정 아이콘
저게 사실이면 저 콘크리트 납품 받아서 지은 아파트들 다 난리났네요.
22/01/23 21:07
수정 아이콘
다른 기사보니까 샘플 검사인데 샘플이 선 지정 통보였고 콘크리트 현장 검사도 현장 방문일이 선지정 이었다~ 라더군요...
다 엎고 업체 그룹 하나 날아가야 신경 쓰려나요.
22/01/23 21:10
수정 아이콘
이런 건축쪽 양심문제 해외는 어떤가 궁금해요.

저희 부모님이 예전에 시골 작은 땅에 뭐 올려보답시고 양아치들 꼬여서 5~6년 마음고생 쎄게 하셨던적이 있는데...
소규모 양아치들은 그렇다 치더라도 대기업에서 맡는 건축조차 저따구인데... 해외도 비슷하게 건축쪽 눈탱이치고 빼돌리고 그러나요?

어느정도는 칠수있다 치는데 진짜 답도없이 쳐대는놈들 봤더니 참...
22/01/23 21:10
수정 아이콘
이 문제는 정말 주기적으로 불거지는 것 같네요.
그것도 꼭 사건 하나 터져야 그때서야.
22/01/23 21:11
수정 아이콘
지역 건설업계 전체의 문제일 가능성이 크죠 사실...
파랑파랑
22/01/23 21:11
수정 아이콘
모든게 문제구만
김유라
22/01/23 21:14
수정 아이콘
중간에 모래 섞어쓰는건 말이 안되고 애초에 발주낼 때부터 그냥 저가품 쓰는건 가능하다는 의견이 꽤 있었는데... 그게 사실이었군요.
22/01/23 21:15
수정 아이콘
22/01/23 21:15
수정 아이콘
삼풍에서부터 전혀 나아진게 없네요
사업드래군
22/01/23 22:54
수정 아이콘
삼풍같은 초대형 사고를 내고도 회장이 받은 처벌이 고작 7년 6개월이었죠.
역시 수많은 사망자와 피해자를 낸 가습기 살균제 증거인멸을 한 대표는 고작 2년 6개월이었고요.
진짜 한 번 걸리면 다시는 햇빛을 볼 수 없고, 1원 한 푼 남지 않게 해야 하는데 이 정도 처벌에 뭐가 무서워서 고칠 생각을 하겠습니까.
바람생산공장
22/01/23 21:33
수정 아이콘
요즘이 특히 더할거에요.
공사 전에 원청과 하청간에 계약 다 끝내놓고, 받을 돈 다 정해놓고 들어가는건데...
계약 시점하고 요즘하고 원자재값 차이가 어마어마하죠.
퀀텀리프
22/01/23 21:35
수정 아이콘
YS때 해마다 대형사고 터져서 대국민사과하고 폭망했는데..
다음 정권이 혹시..
박근혜
22/01/23 22:16
수정 아이콘
YS열 정권때..?
22/01/23 21:36
수정 아이콘
건설중에 무너진게 다행인 수준...
망디망디
22/01/23 21:44
수정 아이콘
감리?
아케이드
22/01/23 22:04
수정 아이콘
솔직히 말해서 믿고 싶지 않네요 억측이길 바래봅니다
카바라스
22/01/23 22:04
수정 아이콘
가라 겁나 많습니다. 공시체 빼돌리기 횡행하구요.
기술적트레이더
22/01/23 23:11
수정 아이콘
아파트들 전수 조사들어가서 부동산가격 폭락?
이러면 너무 나가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6755 [유머] [주식] 이제 바닥이 다가오는건가요? [26] 김유라11313 22/01/24 11313
446754 [유머] 고은이 노벨 문학상을 타지 못하는 이유 [47] 원펀치11479 22/01/24 11479
446753 [유머] 친구가 건조기 돌리고 나온 물을 마셔요 [14] 파랑파랑9524 22/01/24 9524
446752 [LOL] 이게 롤이야 건즈야? [23] ELESIS8289 22/01/24 8289
446751 [유머] 하나뿐인 딸의 생일선물을 사준 아빠 [9] 파랑파랑9361 22/01/24 9361
446750 [유머] 인생은 이 남자처럼.jpg [36] 삭제됨12800 22/01/24 12800
446749 [기타] 전기차보다 빨리 발전한다는 바이오기술 [45] Lord Be Goja10112 22/01/24 10112
446748 [기타]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황.jpg [42] 렌야12475 22/01/24 12475
446747 [기타] 러시아 주가 상황 [9] 껌정8685 22/01/24 8685
446746 [게임] 고전게임의 과학승리.jpg [11] valewalker8134 22/01/24 8134
446745 [유머] 남편이 산 컴퓨터 가격 좀 알려주세요.jpg [17] 오징어게임11310 22/01/24 11310
446744 [유머] 요즘 애들은 모르는 운동기구 [15] 오징어게임9726 22/01/24 9726
446743 [유머] 곰표 콜라보 신상.jpg [30] KOS-MOS15716 22/01/24 15716
446742 [유머] 밥 강도.jpg [6] 파랑파랑9032 22/01/24 9032
446741 [유머] 의외로 하렘에 엄격한 이고깽 용사 만화 [6] 우그펠리온6936 22/01/24 6936
446740 [서브컬쳐] 울트라맨 설명하는.manhwa [14] KOS-MOS5789 22/01/24 5789
446739 [유머] 요즘 파스타국 인터넷 밈.jpg [7] 캬라11083 22/01/24 11083
446738 [유머] "아니, 저건 물의 정령왕 이프리트!!" [11] 파랑파랑8341 22/01/24 8341
446737 [유머] 당신은 죽었습니다. 이제 당신은 마지막으로 플레이한 게임 속에서 환생합니다. [152] 오징어게임9649 22/01/24 9649
446736 [기타] 스튜어디스 누나와 운명처럼 만난 썰.mp4 [4] insane10691 22/01/24 10691
446735 [유머] 북유럽 신화의 반전. [11] 캬라7319 22/01/24 7319
446734 [LOL] 최근 LEC에서 보여준 역대급 연출 [15] EpicSide5586 22/01/24 5586
446733 [유머] 응~~ 폭락 더해봐~~ [8] 파랑파랑9495 22/01/24 949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