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2/01/11 20:31:11
Name League of Legend
출처 해당유튜브
Subject [유머] 100년전 기술. 자동 연주


신기하고.. 보존상태(음질)도 좋은걸로 가져왔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설탕가루인형형
22/01/11 20:39
수정 아이콘
엄청나네요
뽀로뽀로미
22/01/11 20:42
수정 아이콘
진짜 바이올린이 꽂혀있다니 덜덜덜
퀀텀리프
22/01/11 20:45
수정 아이콘
큰 오르골임.
기계쪽 썩은물들이 만든 기계보면 감탄스럽죠.
22/01/11 20:45
수정 아이콘
와 이런거 너무 좋읍니다
22/01/11 20:48
수정 아이콘
20세기 초반 놀이공원 온 느낌
도롱롱롱롱롱이
22/01/11 20:50
수정 아이콘
와 피아노겠지 하고 들어왔다가 바이올린이었다니..
단비아빠
22/01/11 21:08
수정 아이콘
와 종이에 구멍뚫린걸 대체 어떻게 인식하는걸까요..?
100년전 기술이면 빛이나 전기로 인식하는건 불가능할텐데..
물리적으로 인식하기엔 종이가 너무 얇고...
22/01/11 21:13
수정 아이콘
짐작이지만 전기 접점(스위치) 사이에 구멍이 지나가면 전기가 통하고 종이가 지나가면 전기가 끊기는 원리가 아닐까요?
단비아빠
22/01/11 21: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그 생각 해봤는데 100년전 기술로 가능한걸까요..?
게다가 결국 전기신호로 입력을 받더라도
나머지 구동계가 전부 단순 기계면..
전기신호를 물리적인 움직임으로 바꾸는거 자체에도
상당한 제한이 있을 것 같단 말이죠...
저 시대에 무슨 스텝모터같은게 있을 것 같지도 않고..
대량의 솔레노이드라도 쓴걸까요...
비오는풍경
22/01/11 21:31
수정 아이콘
https://youtu.be/K6NgMNvK52A
천공 카드는 1800년대에도 사용된 유서 깊은 저장 장치입니다.
링크에 걸린 영상은 연주 장치는 아니고 직조기이지만 적어도 기계적으로 천공 카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답은 드릴 수 있을 거 같네요.
단비아빠
22/01/11 21: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 영상에서 구멍이 뚫린 종이가 조금만 두꺼웠어도 그러려니 했을겁니다...
문제는 종이가 너무 얇다는 것이죠.
저 종이 두께면 보여주신 방식처럼 물리적으로 인식하는건 당연히 불가능하고 (종이가 찢어지죠)
빛으로 인식하는 것 역시 빛이 투과해버릴 가능성도 높아보입니다.
1950년대 컴퓨터에 천공 카드로 프로그램 입력할 때도 저것보단 훨씬 두꺼운
보드지로 된 카드를 썼습니다.
자동 피아노라던가 다른 것들을 봐도 천공카드로 두꺼운 종이를 쓰거나
철판을 쓰거나 뭐 그렇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TnGI6Knw5Q&t=211s&ab_channel=AlexeyRom
솔직히 저 자동 바이올린 기계가 정말로 100년전 물건인지 좀 의심이 듭니다.
훨씬 더 최근의 물건이 아닌가 싶군요.
아니면 저게 종이가 아니라 의외로 아주 질기고 얇은 가죽? 이라던가..
뭐 그럴 가능성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봐도 종이인데...
마지막 가능성은... 저 종이로 된 악보가 소모품이라는거죠... 몇번 플레이하다가
종이 찢어지면 버리는...
츠라빈스카야
22/01/11 22:38
수정 아이콘
https://m.terms.naver.com/entry.naver?docId=6120608&cid=60476&categoryId=60476

저런 자동연주기는 공기압 방식으로 작동했다는군요.
구멍 뚫린 부분 지나갈 땐 공기가 통하니 내부 챔버가 바뀌는 형식으로...
1920년대에도 있었다고 하니 백 년 된 물건 맞네요.
자루스
22/01/11 21:14
수정 아이콘
나중에 프로그램도 구멍뚫어서.....
22/01/11 22:00
수정 아이콘
충분히 발전한 과학은 마술 어쩌구 저쩌구
jjohny=쿠마
22/01/11 22:06
수정 아이콘
컴퓨터가 없던 시대의 미디놀이네요. 멋집니다.
-안군-
22/01/11 22:14
수정 아이콘
요즈음이 오히려 전자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기계기술이 덜 부각되는 편이죠.
최근까지도 인정받는 기계기술이라면 크로노 시계 같은거...?
깻잎튀김
22/01/11 22:34
수정 아이콘
기계공학은 저에겐 충분히 판타지입니다 크크
22/01/11 22:50
수정 아이콘
우와 진짜 멋있네요. 스팀펑크 느낌도 나고
22/01/11 23:22
수정 아이콘
와....지금 봐도 멋진데,
당시는 오버 테크놀로지 수준이였을듯 후덜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5314 [유머] 엔씨소프트 슈퍼개미 사태 범인 밝혀졌습니다.news [46] 김유라10279 22/01/12 10279
445313 [기타] 국방기자가 쓴 기사 [6] 파랑파랑6970 22/01/12 6970
445312 [유머] 개발자의 사내연애팁.Dev [22] 8495 22/01/12 8495
445311 [LOL] ???:그거다 도브 그게 탑이다.JPG [8] insane6264 22/01/12 6264
445309 [유머] 초딩의 연애.Messenger [5] 5479 22/01/12 5479
445308 [LOL] 최고실력자의 포지션 [8] roqur5441 22/01/12 5441
445307 [유머] 진정한 위기가 찾아온 스타벅스 [25] 전자수도승9382 22/01/12 9382
445306 [기타] 진명여고 조롱 위문편지 강제X [76] 이호철11106 22/01/12 11106
445305 [LOL] 10년이 넘었지만 변하지 않는것 [20] 파랑파랑6875 22/01/12 6875
445304 [기타] 목동학원장 스웩 [46] 묻고 더블로 가!10244 22/01/12 10244
445303 [유머] 일본 골목의 특징 [43] 원펀치10119 22/01/12 10119
445302 [유머] 테트리스 초보와 고인물을 가르는 기준 [20] 원펀치8083 22/01/12 8083
445301 [기타] 1경 돌파 [19] 삭제됨7688 22/01/12 7688
445300 [LOL] 외모로는 LCK 미드라이너 1황포스.JPG [12] insane9495 22/01/12 9495
445299 [LOL] 탑으로 포변하고 자기모습을 되찾은 남자.jpg [5] insane7332 22/01/12 7332
445298 [유머] 인터넷 많이 하는 애들은 다 그래! [14] Rain#17985 22/01/12 7985
445297 [유머] 터키식 치킨집 [15] 파랑파랑8488 22/01/12 8488
445296 [유머] 강려크 [11] 미요아부지5556 22/01/12 5556
445295 [LOL] 결승전에서 역대급 명장면을 보여준 구락스타이거즈.mp4 [4] insane5035 22/01/12 5035
445293 [유머] 기억에 남는 미드의 장면 [7] League of Legend7235 22/01/12 7235
445292 [기타] 지나치게 미래를 본 LG의 CES [3] Lord Be Goja6566 22/01/12 6566
445291 [유머] 시청자들이 방송 졸리고 지루하다고 반응 안좋을때 해결법 [7] 원펀치7946 22/01/12 7946
445290 [유머] ppt에 동영상을 어떻게 넣나요?.jpg [12] 파랑파랑7408 22/01/12 74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