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1/25 01:15:47
Name 파랑파랑
File #1 11111.jpeg (378.2 KB), Download : 66
출처 넷갤
Subject [유머] 넷플릭스 순위의 중요성.jpg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1/11/25 01:18
수정 아이콘
전 아직도 오징어게임이 나온 첫날 피지알 리뷰를 잊지 못합니다. 크크
Jean Coq de Raltigue
21/11/25 01:22
수정 아이콘
저도.. 크크크
부질없는닉네임
21/11/25 01:27
수정 아이콘
선발대로서 보고 굳이 리뷰까지 남기는 사람들의 취향과 대중의 취향은 괴리가 있다는 걸 깨닫게 되는 사건이었습니다
김치볶음밥전문가
21/11/25 01:31
수정 아이콘
진짜 너무 재밌게 보고 싱글벙글해서 자게 리뷰글 눌렀을 때 그 당혹스러움이 잊혀지지 않네요... 이사람들이 본 오징어게임이 내가본 그게 맞나? 싶을정도
상하이드래곤즈
21/11/25 02:20
수정 아이콘
저도 딱 이 느낌, 실제로 재미있었다고 댓글도 달았었죠
21/11/25 02:20
수정 아이콘
선발대는 비슷한 작품이나 더 하드한 덕내나는 작품에 경험이 있을 거라서... 일반적으로 처음 접하는 사람이랑 관점 차이가 클 거라고 봤습니다.
21/11/25 01:39
수정 아이콘
말씀듣고 지금 검색해서 보고왔네요 ;;;
호머심슨
21/11/25 03:1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오징어 아직 안봤지만
뭔가 익숙한 소재로 짜깁기느낌,기시감같은게
많이 느껴지면 개인적인 기준이 충분히
엄격해질수있죠.
보면서 자꾸 '다른 작품에서 차용한 익숙한
판을 짰으니 연출이라도 참신해야겠지?'
라는 식으로 다그치게 돼죠.
베요네타
21/11/25 03:21
수정 아이콘
엄청 유명해진 뒤에 봤는데,
나름 재미있기는 한데, 그 정도 인가? 하는 생각은 들더군요.
프리즌브레이크 시즌1이나 왕좌의 게임 중반 까지랑 비교했을 땐 많이 부족한 느낌?
어서오고
21/11/25 04: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그 첫날 리뷰 올린 사람인데 지금도 딱히 틀린말이라고는 생각이 안듭니다.

충무로에서 계속 표류했다고 들었는데 왜 그랬는지 알겠다 -> 넷플릭스 b급 감성으로 수백억 퍼주는 OTT시대 아니었으면 못만들어질 드라마맞음.

게임이 기본적인 틀만 있고 그마저도 게임에 집중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단순하다 -> 단순한게 통했다는 얘기도 있는데 복잡하게 만들라는 얘기가 아니라 간단한 변주조차 없는걸 지적한것.

VIP는 차라리 안넣는게 나았다 -> 이건 뭐...

조직의 정체라던가 개개인의 인생사에 집중한다. 근데 문제는 그게 크게 재미있지도 않다 -> 지금도 얘기 나오는 부분이고.

흥행에 있어 간과한 부분은 이런 B급 소재를 이정도 돈 들여서 그럴듯하게 만든 실사 영상화가 찾아보면 또 딱히 없다는 점, 넷플릭스라 접근성이 좋았다는 점이었는데 이걸 미리 알면 주식부자됐겠죠. 그래서 제가 흥행에 대해서는 일부러 얘길 안합니다.
21/11/25 09:45
수정 아이콘
저는 동감합니다.
개인적으로는 별로 재미 없었어요.
영양만점치킨
21/11/25 09:59
수정 아이콘
어제 다 봤는데 유명한걸 알고봐도 재미없었습니다.
21/11/25 08:53
수정 아이콘
저도 그거보고 음? 하다가
승리호랑 비교하는 댓글도 있길래 그거도 봤는데
전 승리호도 재밌더라구요 크크
싸구려신사
21/11/25 09:05
수정 아이콘
억 크크크 찾아보고 왔네요. 처참하더이다.
21/11/25 11:49
수정 아이콘
저도 별로라고 했는데 여전합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1/11/25 01:23
수정 아이콘
진짜 재밌는 건 오지어게임 같은 국뽕작들을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죠 크크
소믈리에
21/11/25 01:41
수정 아이콘
단순히 국뽕이나 순위를 떠나

원래 작품이든 뭐든 개인의 경험에 있어서

처한 상황이나 외부환경, 사전지식 등 여러가지가

다 영향을 끼치기 마련이죠

당연한 소리긴 합니다
씹빠정
21/11/25 02:07
수정 아이콘
느끼는게 다를순있는데 서로를 까는게 문제죠. 게임좋아하는사람들이 모인싸이트여도 취존은 힘든가봐요
파인애플빵
21/11/25 02:08
수정 아이콘
마이네임, 지옥 처음 올라오고 혹평 일색 이였지만 정작 넷플 순위는 높더군요 괴리가 상당했음
율리우스 카이사르
21/11/25 07:01
수정 아이콘
지옥은 그래도 혹평일색은 아니었던거 같은데….
21/11/25 03:38
수정 아이콘
문학비평론 연구하는 사람으로서, "평론도 과학입니다".

'아니 이게 말이 되냐?'라고 비난하는 것에 평론가가나 학자가 낄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흥행 작품의 흥행을 설명하지 못한다면 그런 알량한 취향이야, 현상 세계의 현실을 설명하지 못하니 어떤 가치도 가지지 못하죠. 주워들은 말입니다, 헤.
21/11/25 10:38
수정 아이콘
대중의 취향과 작품성은 꼭 일치하는 영역이 아니니 작품성에 대해 평론하는 것의 가치는 흥행여부와는 별개로 볼 수도 있지 않나 싶슾셒슾니다
21/11/25 11:59
수정 아이콘
"이 작품이 이렇게 좋은 요소가 있는데 사람들이 안 본다" 정도면 괜찮지만, "이렇게 끔찍한 작품인데 사람들이 왜 보는지 이해가 안간다"라고 모 자칭 음식평론가 같은 방향에서 성공을 원하시는 분들도 계시니까요, 흐흐.
실제상황입니다
21/11/25 14: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근데 "이렇게 끔찍한 작품인데 사람들이 왜 보는지 이해가 안간다"는, 그걸 좋게 본 사람들만큼이나 많은 분들 사이에서 나오는 얘기라... 대표적으로 명량이나 7번방의 선물, 해운대 같은 것들이 있죠. 저는 뭐 이렇게도 저렇게도 평가해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렇게 전세계적으로 흥한 작품인데(국뽕 차는데) 끔찍한 작품이라고? 크크크" 이런 분위기도 있고, '시원하게 까고 싶은데 너무 흥해서 까기 좀 뭣하네' 이런 분위기도 있고... 좀 가관이에요.

"이렇게 끔찍한 작품인데 사람들이 왜 보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이런 맛서인 같은 놈!"이라는 분들도 카우보이 비밥 앞에서는 "그... 그건...!" 이러는 것도 우습구요(물론 farce님께서 그렇다는 건 아니고). 차라리 그냥 "구린 건 구린 거야" 이러시는 분들이 저는 훨씬 좋더라구요.
아라라기 코요미
21/11/25 07:31
수정 아이콘
전문가, 마니아가 될수록 대중이랑 멀어지니까 그러려니 합니다.
또 우리가 열광하는 건 그런 사람들의 작품이고요.
음란파괴왕
21/11/25 07:37
수정 아이콘
비밥도 미국내 1위찍으면서 비판이 많이 줄어들었죠. 순위라는 건 중요합니다. 크크.
21/11/25 07:59
수정 아이콘
오징어게임얘기도 당연히 나올건데, 저도 그냥 재미있으니까 1위지 하는 생각 정도로 끝내야지
1위했다고 무슨 숨겨진 미장센, 감독의 의도 등등 열심히 찾아서 반쯤 예술영화에 걸치려고 꿈보다 해몽하는건 진짜 별로에요 크크
파비노
21/11/25 08:13
수정 아이콘
강남스타일도 처음에는 그냥 싸이음악이었습니다. 그 전앨범인 라잇나우보다 못하다는 소리도 많았구요. 하지만 국내활동 끝날때쯤 미국에서 역수입되더니....그다음은 모두 알던대로 대흥행했죠
21/11/25 09:15
수정 아이콘
당시에 싸이+유건형이 유형하던 스타일을 바탕으로 비슷한 느낌의 노래를 여러개 써오고 있었어요.
강남스타일을 첨 듣고 그간의 노래들을 집대성했구나 이런 느낌으로 듣고 말았는데 갑자기..
더치커피
21/11/25 09:17
수정 아이콘
남들 다 재밌다는게 나한테는 재미없을 수도 있죠
전 딱 2화까지만 좋았습니다
21/11/25 09:48
수정 아이콘
어린왕자되긴 글렀어
The)UnderTaker
21/11/25 10:07
수정 아이콘
남들 재밌게 봤다는데 거기서 국뽕이니 뭐니 하면서 깎아내리는 사람들보단 차라리 국뽕하는게 훨 낫죠
21/11/25 10:16
수정 아이콘
오징어 게임 극초기의 평가는 사실 국뽕 이야기 나오던 시기는 아니지 않나 싶어요.
그냥 호불호가 갈린거라고 생각합니다.
21/11/25 11:21
수정 아이콘
문제는 국뽕하는 사람들이 국뽕 안하는 사람들을 공격하는게 더 빈번한듯 합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1/11/25 14: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재밌게 봤다는 분들 국뽕이니 뭐니 하면서 깎아내린 거라기보단... 최근, 넷플 작품들에 대한 평가가 흥행 성적을 비롯해서 그로부터 기인한 국뽕에 왔다갔다 하는 세태라는 거죠. 본 게시글 원문도 그런 취지로 작성된 글이겠구요.
우공이산(愚公移山)
21/11/25 10:54
수정 아이콘
어느 분야든 마찬가지에요. 대중성에 클릭하는 순간 매니아나 힙스터들은 염증을 느낍니다. 쇼미 초창기도 그랬고 스우파 안나온 댄서나 매니아들이 용어 하나가지고 유난 떠는것도 그렇고요. 장르적 정수와 대중성 둘 다 잡을 수도 있죠. 그게 어려우니까 웰메이드 소리가 나오는거고.
21/11/25 11:56
수정 아이콘
그때 네가티브하게 평가를 내렸던 사람이 지금은 태세전환해서 오징어게임 킹왕짱 하는것도 아닌데 무슨 상관이 있나 싶습니다.
저는 그때 별로라고 했던 평가가 지금도 동일하거든요.

내가 별로라고 했다 해서 다른 사람이 재미있어 하지 않을 이유가 없고,
엄청나게 유명해졌다고 해서 내가 내렸던 평가가 재평가 받을 이유가 전혀 없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41194 [유머] 리얼 야스 머신 [17] KOS-MOS10336 21/11/26 10336
441193 [동물&귀욤]  아이스크림의 위력.jpg [3] Aqours7303 21/11/26 7303
441192 [유머] 싱글벙글 패드립촌 [9] 파랑파랑9204 21/11/26 9204
441191 [연예인] 15년만에 다시 모인 영화 타짜 멤버들.jpg [27] insane12228 21/11/26 12228
441190 [기타] 드라마 '오징어 게임'과 '지옥'이 촬영된 촬영 장소.jpg [21] insane10743 21/11/26 10743
441189 [유머] 만신에 버금가는 대사력.manwha [31] 파랑파랑10601 21/11/26 10601
441188 [유머] 한순간에 여시언니가 된 작가 [6] 파랑파랑9788 21/11/26 9788
441187 [기타] 지금 하늘. [5] 진산월(陳山月)7430 21/11/26 7430
441186 [유머] 외롭다고 느껴질 때 휴대폰과 모니터를 꺼보세요 [9] 파랑파랑8842 21/11/26 8842
441185 [기타] 한국 만화잡지 소년 챔프 근황.jpg [34] 고쿠10847 21/11/26 10847
441184 [게임] 스타크래프트보다 더 심한 고인물 게임 근황.jpg [41] insane14131 21/11/26 14131
441183 [LOL] ??? : 솔직히 진짜 페이커 버스받은건 울프지 [9] Leeka9859 21/11/26 9859
441181 [기타] 운동중독 만성 장애 부른다.JPG [35] insane11505 21/11/26 11505
441180 [서브컬쳐] [비밥] 엄청난 실사화 싱크로율 [12] 이호철7943 21/11/26 7943
441179 [게임] 에픽게임즈 이번주 무료게임 + 다음주 무료게임.jpg [11] insane7915 21/11/26 7915
441178 [동물&귀욤]  지능캐.?! [6] Lord Be Goja11464 21/11/26 11464
441177 [유머] 그때 그 시절 오프라인 스팀.jpg [28] 파랑파랑11635 21/11/26 11635
441176 [유머] 지금 우리 [24] KOS-MOS10017 21/11/26 10017
441175 [기타] 중국인을 어리둥절하게 만든 영화 [54] 파랑파랑14319 21/11/26 14319
441174 [유머] [스압] 쉽게 살빼는데 성공하는 4단계 [36] 인간흑인대머리남캐11705 21/11/26 11705
441173 [유머] 의외로 지능과 관련 있는 것 [16] KOS-MOS10363 21/11/26 10363
441172 [유머] 오징어 게임 절망편.jpg [4] KOS-MOS9777 21/11/26 9777
441171 [유머] 신부 친구 논란.jpg [58] KOS-MOS14801 21/11/26 1480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