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1/11 14:32:09
Name 판을흔들어라
File #1 독소.jpg (218.4 KB), Download : 50
출처 결정적하루
Subject [기타] 전쟁을 막기위해 상대에게 돈 물자 퍼주고 저자세로 나간 국가



고것은 위대한 스탈린 동지의 소련이었구여

독일 전차병들이 소련 우랄산맥 근처가서 훈련도 했었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DogSound-_-*
21/11/11 14:33
수정 아이콘
근데 그건 소련도 독일도 서로 윈윈 아니였나
일방적으로 준거 같지는 않은디
강문계
21/11/11 14:48
수정 아이콘
동유럽을 전쟁나기 직전까지 사이좋게 노나먹었죠
진정한 깐부인듯
라이언 덕후
21/11/11 14:38
수정 아이콘
이때 악으로 깡으로 영프소 삼각동맹이 일어났다면 나치는 계속 쑤구리고 앉았을까요? 궁금하네요
판을흔들어라
21/11/11 14:39
수정 아이콘
저는 영국이 독일과 강화조약 하는 미래도 궁금하더군요
재활용
21/11/11 15:04
수정 아이콘
덩케르크 영국군 30만 인질이 퍼즐의 마지막 조각이 아니었을까 생각이..
겨울삼각형
21/11/11 14:41
수정 아이콘
호이4를 구매하십시오!

전 어제도 파스타와 어울리는 바게트빵을 얻기위해 전쟁했습니다!
담배상품권
21/11/11 14:46
수정 아이콘
영프가 소련에게 신뢰를 주지 못한게 제1원인이긴한데, 나치가 쑤구리고 있진 않았을겁니다.
21/11/11 14:42
수정 아이콘
뭐 나치에게 수그리다 얻어맞은게 소련만 있는건 아니긴 했죠.
TWICE쯔위
21/11/11 14:46
수정 아이콘
독소전 발발전까지만 해도 소련의 위치가 절대 지금같진 않았으니깐요. 히틀러 눈치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긴 했죠
21/11/11 14:4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리 시대의 평화"라는 네빌 체임벌린의 말이 앞으로 인류 역사에 웃음거리로 남겠습니다만,
"Appeasement" 그러니까 우리나라말로 '유화책'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당시 외교에 대한 비판이 2차 대전의 발발을 복기하는 과정에서 현대외교학에서 출범했기에, 거꾸로 말하자면 그 이전에는 그런 개념도 없었고, 그런 외교들이 하나로 연쇄되어 파국을 맞을거라고 미처 생각하지도 못했습니다.

미래인이 과거를 보면서 선택지 고르기는 참 쉽지만, 당장 저는 오늘 점심도 힘들게 골랐는걸요 크크크.

흐흐 본문 영상을 보니까 결국 '포르투나', '운칠기삼'으로 결론을 맺는군요. 소련붕괴 이후 많은 기밀서류가 풀리고 있는데, 최신 학설이 반영되어서 소련군은 준비하면서 시간을 벌었고 후대의 승리자가 되는 혁신을 준비하는 중이었지만, 재편제 와중에 독소전쟁이 발발하며 초장에 많은 손실을 봤다라는 내용이군요. 재미있었습니다. 역시, 옳은 선택을 눈 먼 상태로 하는 것이 곧 역사군요.
라이언 덕후
21/11/11 14:55
수정 아이콘
사실 체임벌린의 행동이 영국 전체의 여론을 거스르는 막장 외교라거나 미래를 못본 외교였다면 독일이 폴란드 침공했을때 잘리거나 그후에 아예 자르고 다른 수상으로 독일에 선전포고 했을텐데 그것도 아니었죠...
21/11/11 15:18
수정 아이콘
그렇지요. 체임벌린의 하야 사유는 어디까지나 '노르웨이 침공에 대처하지 못했음'인데, 그 이유는 아이러니하게도 영국군도 노르웨이 침공을 계획 중인데 며칠 차이로 선수를 뺏겨서 였으니까요. 주어진 상황에서 최선을 다했지만, 그게 틀렸으니 책임을 진것이라고 보면, 체임벌린 자체가 재앙적인 인선이었거나라는 평가는 좀 박한 측면이 있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사람들이 잘못 아는 이유는 막연한 대중의 무지가 아니라 체임벌린의 정적이었고, 노르웨이 침공 이후 총리가 된 '미스터 갈리폴리' 처칠의 선전 때문이지만요 크크크크크크.
공인중개사
21/11/11 14:49
수정 아이콘
독소전쟁 개전 전날까지도 물자지원해줬다고 하죠..
Energy Poor
21/11/11 14:49
수정 아이콘
아돌프와 조셉
한국화약주식회사
21/11/11 15:02
수정 아이콘
사실 지금보면 왜 저래 싶다가도 영국과 프랑스는 1차대전을 겪은 청년들이 국가 지도층에 위치에 올라 있었죠. 그 지옥을 경험했으니 전쟁을 피하고 싶었고..
21/11/11 16:00
수정 아이콘
러시아는 1차세계대전때 나라가 두번 바뀌었죠
antidote
21/11/11 16:11
수정 아이콘
그것도 그거지만 체임벌린 때는 전시체제로 돌입할 준비가 안되어 있어서 시간만 좀 벌자 라는 마인드도 컸다고 압니다. 체임벌린의 스탠스가 웃음거리가 되긴 했지만 어쨌든 전쟁준비를 하긴 했어요. 영국이 제대로 준비도 안하고 전쟁에 적극 참전해봐야 본인들 손해만 커질게 뻔하니 섬나라라는 이점을 이용해서 관망하면서 준비한거에 가까울겁니다.
패스파인더
21/11/11 15:58
수정 아이콘
이게 참 각자의 입장에서 보면 그럴 듯하다는게... 불시에 기습당한 이유 지분에 그리스 침공도 있다고 하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9798 [서브컬쳐] 디즈니에서 라푼젤 만들 때 가장 힘들었던 장면 [10] VictoryFood12796 21/11/15 12796
439797 [유머] 현재 한국 사람들의 딜레마 [19] 파랑파랑14158 21/11/14 14158
439796 [유머] 종교 전쟁.jpg [13] KOS-MOS11442 21/11/14 11442
439795 [유머] 진짜 미친 개쌍남자 [15] KOS-MOS14464 21/11/14 14464
439794 [LOL] 영원한 리브샌박맨 서밋, 온플릭 [4] iwyh8669 21/11/14 8669
439793 [유머] [딥페이크] 목진화의 마이야히 [4] Croove11835 21/11/14 11835
439792 [서브컬쳐] 스파이더맨 3 추가 예고편 공개 확정 [22] roqur10210 21/11/14 10210
439791 [게임] 포켓몬으로 알아보는 세대차이 [19] 8573 21/11/14 8573
439790 [스타1] 이제동 근황.JPG [17] insane13897 21/11/14 13897
439789 [유머] 남자들은 살빼기 쉬워서 좋겠다 [24] 오곡물티슈13954 21/11/14 13954
439788 [기타] 층간소음 노래 - 14층의 여자 [3] 물맛이좋아요10353 21/11/14 10353
439787 [유머] 20대보다 50대가 더힘들다.jpg [8] 14028 21/11/14 14028
439786 [유머] 배달시켰는데 저팔계 됨.jpg [3] Starlord12431 21/11/14 12431
439785 [기타] 설현 따라해보는 신재은 [14] 묻고 더블로 가!14550 21/11/14 14550
439784 [유머] 에드워드 권이 승우아빠를 깊이 신뢰하는 이유.jpg [50] VictoryFood19243 21/11/14 19243
439783 [기타] 예쁜 사람은 수시로 받는다는 인스타 DM [54] 묻고 더블로 가!17362 21/11/14 17362
439782 [유머] 아파트를 가리기 위한 50m 나무를 심은 장릉 [21] 길갈12920 21/11/14 12920
439781 [LOL] kt 마이너갤 찌라시 [53] 아롱이다롱이11803 21/11/14 11803
439780 [유머] [장사의신]월매출 1.2억 나오는 6천원짜리 한식뷔페집 [64] Croove20545 21/11/14 20545
439779 [연예인] 아델이 음악중심에 출연하는게 놀랍지 않은 이유 [2] 아롱이다롱이11577 21/11/14 11577
439778 [유머] 최근 단톡방으로 돈 털어먹은 코인.jpg [39] 삭제됨16774 21/11/14 16774
439777 [게임] 현시각 베릴 [31] 류지나12093 21/11/14 12093
439776 [유머] 서울 한번도 안가봤는데 이렇게 생긴거 맞나요? [51] 파랑파랑15477 21/11/14 154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