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10/29 00:10:17
Name 삭제됨
출처 https://aagag.com/issue/?idx=986401
Subject [유머] 과학을 연구하면 종교를 믿게 된다.txt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10/29 00:13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종교인이 매우 적은편이라 잘 체감이 안될 수 있는데, 서구권의 종교관은 우리 관념보다 훨씬 더 크죠.
저 수치면 진짜 엄청 낮은 수준 아닌가.. 그렇습니다
오곡물티슈
21/10/29 00:21
수정 아이콘
한국에서 역대급으로 종교를 믿지 않는 세대인 현 20대도 종교를 믿는 비율이 22퍼센트입니다.
거기에 비교하면 제일 높은 비율 14%인 수학자만 비교해도 무지무지무지 적은 비율이 인격신을 믿는거...
21/10/29 00:41
수정 아이콘
착하게 살면 복이온다
그것도 연구 결과 좀.
21/10/29 01:02
수정 아이콘
바이오쪽인데 학계에서 본 주변 사람 중에 교회 다니는 사람 딱 한명밖에 없었네요.
jjohny=쿠마
21/10/29 01:2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옛날에 재밌게 봤던 자료인데, 며칠 전에 올라와서 다시 한 번 들여다봤더니 좀 이상한 구석들이 보였습니다.
https://cdn.pgr21.com/humor/437837
jjohny=쿠마
21/10/29 01:32
수정 아이콘
1. 본문 표는 논문은 아니고 일종의 기사에 삽입된 표인데,
https://www.nature.com/articles/28478.pdf

표에 나오는 6개의 결과 중에 3개가 퍼센테이지 합계가 100을 넘습니다.

Belief in personal God 총합계
1914년 [101.4%] // 1933년 100% // 1998년 100%

Belief in human immortality 총합계
1914년 [104.3%] // 1933년 100% // 1998년 [107.9%]

1914년 자료는 중복응답을 받았어서 두 문항이 모두 퍼센테이지 합계가 100%를 넘었다고 볼 수 있고,
1993년 자료는 반대로 중복응답을 안 받았어서 두 문항이 모두 퍼센테이지 합계가 딱 100%라고 볼 수 있는데,
문제는 1998년 자료입니다. 1998년 자료는 그 기사를 작성한 사람들이 직접 조사한 내용이라고 하는데요,
1998년 자료는 1번 문항은 퍼센테이지 합계가 딱 100%이고, 2번 문항은 퍼센테이지 합계가 100%을 상당히 초과합니다. (107.9%)
- 중복응답을 안 받았다면 2번 문항 결과가 말이 안되고,
- 중복응답을 받았다면 1번 문항 결과가 이상하고(조사 규모로 봤을 때, 매우 소수라도 중복응답이 있었으면 소숫점으로라도 반영이 되었어야 합니다.
- 1번 문항은 중복 응답을 안 받고 2번 문항은 중복 응답을 받았다면 수치적으로는 말이 되긴 하는데, 그런 식으로 조사를 설계하는 건 또 이상하고요.

논문 원문에서 어떻게 데이터를 취급했는가를 구체적으로 보고 싶었는데, 저는 엑세스가 안돼서 더 구체적인 확인은 못했습니다.
(본문에 인용된 기사 말고, 기사 데이터의 근거가 된 1997년 논문 원문을 보고 싶었는데요, Larson & Witham 1997 논문인데 따로 엑세스 권한이 있어야 볼 수 있더라고요)
부친토로
21/10/29 08:53
수정 아이콘
https://drive.google.com/file/d/1LW4unxMje0cXor7R3ml6eEw-K0Bv0313/view?usp=sharing

필요하실까 하여 Larson & Witham 1997 논문 파일 공유해 드립니다
jjohny=쿠마
21/10/29 01:34
수정 아이콘
2. 설문조사 결과는 조사 대상자 못지 않게 설문조사 문항에 큰 영향을 받게 되죠.
검색해보니 1번 질문의 문항은 다음과 같았다는 것 같습니다. (1914년, 1933년, 1998년에 동일한 문항이 사용되었다는 것 같아요. 문항에 대한 구글번역을 함께 붙입니다)

1. I believe in a God in intellectual and effective communication with humankind, i.e. a God to whom one may pray in expectation of receiving an answer. By answer I mean more that the subjective, psychological effect of prayer.
(나는 인류와 지적이고 효과적으로 소통하는 하나님, 즉 응답을 기대하며 기도할 수 있는 하나님을 믿습니다. 응답이란 기도의 주관적이고 심리적인 효과를 의미합니다.)
2. I do not believe in a God as defined above.
(나는 위에 정의된 하나님을 믿지 않습니다.)
3. I have no definite belief regarding this question.
(나는 이 질문에 대해 확실한 확신이 없습니다.)

이 문항이 '인격신을 1. 믿는다 / 2. 불신한다 / 3. 의심한다'로 요약되는 건 좀 이상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저는 개인적으로 인격신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지만 그게 1번 같은 믿음은 아니어서요.

이 부분도, 더 자세한 감상은 논문 원문을 찾아봐야 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일단 접근이 쉽지 않은 것 같아서 여기까지...
스카이
21/10/29 08:43
수정 아이콘
쿠마님의 믿음은 어떤건가요? 응답을 바라지 않으신다는건지, 제가 비종교인이라 다양한 믿음의 방식을 몰라 궁금합니다.
jjohny=쿠마
21/10/29 01:38
수정 아이콘
3. 과거에 과학과 종교가 서로 뒷받침하는 관계로 그려지던 시대도 지났고,
그에 대한 반동으로 서로 반목하는 관계로 그려지던 시대도 지나서,
그냥 아예 별개의 영역이라고 보면 충분한 시대에 왔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걸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하고 아직도 '과학 못잃어' 하는 개신교 쪽에 근본적/지속적인 책임이 있기는 하지만서도...
가능성탐구자
21/10/29 01:40
수정 아이콘
개발자들 보다 절실하게 신을 찾는 사람을 본 적이 있는가
jjohny=쿠마
21/10/29 01:44
수정 아이콘
4. 지난 번 글에서 얘기하려다가 까먹은 것을 추가로 얘기하자면,

목사들이 하는 그런 말에 동의는 안하지만, 그런 말이 나오는 데에는 나름의 원인이 있습니다.
그건 바로, [과학을 연구하다보니 하나님을 믿게 되었다고 간증하는 과학자들]이 실제로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도, 자기 분야에서 나름의 커리어를 인정받는 사람들 중에도 그런 사람들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 그 분은 그러셨나보다 하는 정도의 감상을 가지고 있고요,)
목사들은 그렇게 들은 걸 읊는 거죠.

다만, 과학을 연구하다보니 하나님을 믿게 되는 사람들도 있지만 반대로 믿음이 사라지는 사람들도 있고(오히려 이쪽 확률이 더 높고),
위에 말한 것처럼 과학과 종교를 별개의 영역으로 보아도 된다는 점을 간과하고(또는 의도적으로 가리고) 말하는 거죠.
21/10/29 01:58
수정 아이콘
?!?! 왜 여기서 논문을 쓰시나요?!?!
교수님이 시키신 것이라면 댓글 중에 대괄호 빨간 글 처리나 괄호 소감을 넣어주세요
21/10/29 06:27
수정 아이콘
목회자들이 선동을 위해서 적극적 거짓말을 했다는거 보다, 무지에 의한 발언이었다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기는 하네요. 다만 신도들에게 큰 영향력이 있는 사람이 유리한 사례만 취사선택해서 무지한 상태로 있는다는 것이 쉬이 납득되지는 않네요. 비지니스 혹은 meme 적인 측면으로 보자면 그러지 않고서는 종교가 성장하기 어려울테고, 자연스런 문화적 진화의 방향이리라 생각됩니다. 그런데 종교가 그렇게 유리한 케이스들을 취사선택하고 틀림을 인정하지 않으며 내부에서 교정이 힘들다고 한다면, 제게는 종교지도자들의 발언에 귀를 기울이기가 힘들어 지는군요.
개좋은빛살구
21/10/29 08:14
수정 아이콘
신을 믿지 않는데....
개발하다보면 신을 찾게 되더라구요...?
그런데 다음날되면 신은 없어!
21/10/29 08:53
수정 아이콘
신이 있는지 없는지는 모르겠는데 내편이 아닌건 확실하죠.
아, 딱히 공공의 이익을 원하는게 아닌것도 확실한듯.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8376 [기타] 어제자 이태원 컨셉러 [16] 물맛이좋아요14175 21/10/31 14175
438375 [동물&귀욤] 천하에 나쁜새 [2] 인간흑인대머리남캐8166 21/10/31 8166
438374 [LOL] FPX 루머 [53] 이브이10857 21/10/31 10857
438373 [LOL] 담원기아 유니폼 샵 특이점; [8] 이교도약제사10363 21/10/31 10363
438372 [LOL] "월즈에서 담원을 탈락시킨 유일한 팀" [18] Silver Scrapes9508 21/10/31 9508
438371 [서브컬쳐] 일본 애니메이션 산업 동향 [30] 아케이드10955 21/10/31 10955
438370 [LOL] 6번의 롤드컵 마지막 순간에서 모든 세트 스코어를 달성한 페이커 [10] 반니스텔루이8207 21/10/31 8207
438369 [유머] 난 진짜 취업걱정 1도 안됨..jpg [2] 파랑파랑13179 21/10/31 13179
438368 [유머] 할로윈을 여친과 함께 보낸 일본인.jpg [2] 오징어게임11882 21/10/31 11882
438367 [LOL] 비역슨이 tsm 을 떠나는 이유 [11] 아롱이다롱이8201 21/10/31 8201
438366 [유머] 여배우화장 전후 [2] 메롱약오르징까꿍11868 21/10/31 11868
438365 [유머] 중국, 대만 통일 후 통치구상 공개… “생활방식·사유재산 침해 없다” [40] TWICE쯔위12235 21/10/31 12235
438364 [서브컬쳐] 이번 슈로대 30에서 부대명으로 짓기 적절한 이름(스포?) [11] GUNDAM EXIA6060 21/10/31 6060
438363 [기타] 커뮤니티에서 많이 보이는 유형.txt [34] 렌야11351 21/10/31 11351
438362 [유머] 실존하는 어벤저스.....?(with taiwan) [18] EpicSide8222 21/10/31 8222
438361 [LOL] 4강까지 베릴 챔프폭 [26] 이브이8843 21/10/31 8843
438360 [유머] 롯데리아도 따라갑니다 [10] 이정재9832 21/10/31 9832
438359 [기타] 양상추 빠진 맥도날드 스낵랩 [6] 닭강정8625 21/10/31 8625
438358 [LOL] 부대찌개 먹는 울프.JPG [7] insane8247 21/10/31 8247
438357 [LOL] 울프 : 4강 지면 바로 비행기타고 한국 가냐고요? 글쎄요 나는 모르겠는데.. [3] insane8212 21/10/31 8212
438356 [LOL] 우는 고스트 잔뜩화난 쇼메 아무생각없는 캐니언 신난 칸 늦은 베릴 [10] insane7878 21/10/31 7878
438355 [유머] 사내연애하는 분들이 말하는 사내연애의 장점 [3] 나스닥11317 21/10/31 11317
438354 [LOL] 미리보는 결승이야! [5] Lord Be Goja8448 21/10/31 84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