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9/10 09:02:09
Name 추천
File #1 Screenshot_20210910_090041_Samsung_Internet.jpg (410.8 KB), Download : 32
출처 https://www.dogdrip.net/346566239
Subject [기타] 게임업계 종사자가 생각하는 요즘 분위기


다른곳과 크게 다르지 않은 느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자몽
21/09/10 09:10
수정 아이콘
오딘 파트장은 저만한 인센티브 받을만하죠

타이밍이 좋았다고 하지만 멍꿀멍꿀을 잘 데려오는 것도 능력이니까요
MaillardReaction
21/09/10 09:12
수정 아이콘
수도권에 사람 몰리는게 단순한 탐욕이나 허영심이 아닌 건 확실하죠 직주근접이 삶의 질에 너무나도 중요하니..
리자몽
21/09/10 09:16
수정 아이콘
양질의 대학 + 양질의 일자리 연계가 매우 큽니다

그래서 수도 이전을 하고 싶으면 충분한 인센티브를 줘서 대학과 직장을 서울 밖으로 유도해야 하는데

그래도 안나갈려고 하죠
40년모솔탈출
21/09/10 10:12
수정 아이콘
대학 + 직장이 동시에 옮겨져야 하는데 이게 한두군데만 이동하면 이동한 곳만 도태될 뿐이죠...
아예 작정을 하고 XX 년에 동시에 모든 대학을 수도권 밖으로 이전하는 정도가 아니면 어려울겁니다.
리자몽
21/09/10 10:19
수정 아이콘
그래서 수도이전, 대학이나 직장 옮기기가 계속 실패했었죠

그런데 이대로 가면 기존에 서울에 정착한 사람들을 제외하곤 죄다 나가리될 판이라서 늦어도 5년 내에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봅니다

미국 등 땅 넓은 국가에서도 실리콘밸리 등에서 난리인데 한국처럼 땅 좁은 나라에서 한곳에만 집중하면 폐해가 너무 크죠
이른취침
21/09/10 11:45
수정 아이콘
그 반대 아닐까 싶기도하네요.
미국 같이 큰 나라도 한군데 집중하려는 경향이 큰데
우리같이 작은 나라는 몰빵해서 하나라도 제대로 키우는 게 낫지 않나 싶은...

재벌경제의 논리가 그거였고 지금까진 나름 성과있었다고 보긴 하는데...
리자몽
21/09/10 13: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미 서울은 전세계가 인정하는 세계 탑 10도시 안에 들어가는데 여기서 더 집중을 해야한다고요???

전에 제가 지방소멸 글 올렷지만 이대로 가도 서울/주요 수도권 뺴곤 멸망이고

서울/수도권 사람들이 지방 인프라, 국경 유지비용까지 세금으로 내야합니다

이미 충분히 발전할만큼 한 서울에는 이제 투자를 최소화하고 다른 거점도시를 키울 때라고 봅니다

그리고 재벌문화가 결국은 한국의 출산율 꼴지를 만든 주 원인 중 하나인데 계속 서울만 키운다는건 그냥 멸망하자는 소리와 똑같이 들립니다
21/09/10 13:45
수정 아이콘
지역균형 잘되있는 유럽조차 시골은 퇴보하고 도시권집중현상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4차산업 어쩌고하는 시대에 거기에 맞는 인재들이 대도시선호도는 더심해지는데 그런 얘긴 하등 설득력없죠
리자몽
21/09/10 13:52
수정 아이콘
그럼 한국 망하는거죠 뭐

서울만 남으면 한국이 돌아갈까요?

코로나 이전에 효율 효율 거리며 전세계 국가들이 분업 체제로 갔었는데

코로나 만나면서 제조업 다 뺀 선진국들은 사람 여럿 죽어났죠

효율이 전부가 아닙니다
이른취침
21/09/10 16:34
수정 아이콘
우리보다 더 작은 타이완도 버티는데 우리가 먼저 망할 이유까지는 아닐까 합니다.
인구도 감소하고 있고...
산밑의왕
21/09/10 09:13
수정 아이콘
회사가 서울 아니면 판교라 집 구하는데 선택지가 적긴 하죠..
21/09/10 09:14
수정 아이콘
크.. 니 인생에서 세금 최고로 많이 내는 경험 해보지 않을래.. 훅 들어오네요
저기 혹 하면 인생 훅 지나가겠지만..
이쥴레이
21/09/10 09:19
수정 아이콘
최근 게임업계 상위그룹 회사들 연봉이 작년과 올해 파격적으로 일괄 인상해서
그 여파로 개발비 역시 같이 뻥튀기가 되었습니다. 게임개발에 있어 인건비가 큰비중을 차지하니...

이전 100억으로 만드는 게임이라면 이제는 같은 인원 금액대비 150억이상 개발비가 드는데
문제는 매출이 생각보다 쉽게 늘어나지 않는다는거죠. 그만큼 회사던 개발팀 인력이던
매출에 대한 압박이 커지게 되죠.

최근 매출은 늘었으나 순익은 적어지는 회사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노동자 입장으로 봤을때 회사가 이익을 분배하는 올바른 길로 가고 있다고 볼수 있는데

이건 매출 상위권 찍었을때 이야기이고 비용 투자하는 만큼 리스크랑 이익 순익 구조가
앞으로 기업에서는 폭발적인 현금 쌓기는 안되죠. 오히려 적자폭이나 개발비 회수가 안되는 경우는
프로젝트가 이전보다 더 쉽게 접히거나 정리될수 있고 고용불안이 올수도 있습니다.
2~3년 정도안에 뭔가 또 대대적인 변화가 오지 않을까 하네요. 게임업계는..

그리고 본문에도 있지만 나이대가 확실하게 높아졌습니다. 이전에는 20대가 많았다면
지금은 30~40대 분들이 주요 인력구성이 되어가고 있는거 같습니다. 40대 되면 게임업계에서 버티기도
따라가기도 힘들다라고 10년전에는 정말 40대이상 혹은 50대도 보기 힘들었는데 지금은 꽤 비율이 높다고 느껴지네요.
저도 이전 40대 되면 다른거 할생각해야겠다 했는데 지금은 10년은 더 어떻게 다닐수 있을거 같다는 생각이 드는거 보니.. 흑흑..
구라리오
21/09/10 11:54
수정 아이콘
그 분들이 그대로 올라가서...
저도 와 이일 언제까지 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둘러보니 그 냥 그때 들어온 인력들이 그대로 계속 올라가고 있어서....
RapidSilver
21/09/10 09:20
수정 아이콘
한국은 땅이 좁다보니 미국 실리콘밸리 개발자들처럼 집값 못버텨서 차에서 생활하는 지경까지 가긴 힘글겠지만...
21/09/10 09:26
수정 아이콘
엔씨 인건비가 5000억에 육박하죠..
그래서 더욱 쥐어짜는 게임밖에 못만드는데. 사실 그렇게 똑같이 만들꺼면 왜 저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있는지도 의문이죠.
블소2도 김실장님 평이 똑같더라구요. 트릭스터m이랑.
리니지2에 스킨만 바뀐 게임인데 독특한 게임성도 없고 재미도 없다. 거기에 리니지2에 있는 편의기능도 안가져왔다.
장점은 조금싼 리니지2.
시니스터
21/09/10 09:32
수정 아이콘
조직이 한번 늘어나면 줄어들 수 없는 구조니...
21/09/10 09:36
수정 아이콘
20대 신입은 게임 연봉 짜고 일 많다는 소문땜에 안가죠.

올렸다 해도 다른 IT기업에 비해 짠편입니다. 한방보고 가는 업계라...
리자몽
21/09/10 10:20
수정 아이콘
요즘 20대들은 어떤 분야의 IT기업을 선호하나요?
21/09/10 10:46
수정 아이콘
네카라쿠배당토 라고 하죠.
네이버 카카오 라인 쿠팡 배민 당근 토스.
이게 아니라면 대박날 수 있는 스타트업 정도 아닐까요?
21/09/10 12:16
수정 아이콘
네카라쿠배가 대표적인데, 대충 직접 IT 서비스를 하는 회사들이라고 보면 됩니다.

아무래도 게임업계는 고용도 불안정하고 (스튜디오단위 부당해고가 잦습니다) 보상 수준도 낮아서 선호되지 않죠.
21/09/10 09:41
수정 아이콘
게임 업계 특징이 아니라 요즘 직장 특징에 가깝네요.
깡통로봇88호
21/09/10 10:35
수정 아이콘
1번 항목은 게임쪽이 아니라 프로그래밍 관련 분야 모두 심각한 상태입니다.
몸담고 있는 회사도 위에는 50대 그 밑에는 30대초반, 20대말입니다.
90년대 2000년대 IT붐으로 대학마다 프로그래밍 학과가 엄청 인기를 끌다가
그 이후 떡락해서 사람이 별로 없었던 영향을 받은듯 합니다.
21/09/10 10:45
수정 아이콘
개발자는 아니지만 유관부서로서
덕분에 사원-대리-과장이 되도 거의 막내급을 못 벗어나네요. ;;
10-20년전에는 30대 중반에 팀장 달고 30대 후반에 임원달고 그러는게 허다했는데,
30대 중후반 과장인데 거의 막내급입니다. 허허 ;;
리자몽
21/09/10 10:49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현 시대에서 20대들이 갈만하고 미래가 밝은 업종이 IT 쪽이라고 생각하는데

왜 20대들이 IT회사로 이직을 안할까요?

그리고 IT회사나 프로그래머로 안가는 20대들은 어디를 바라보는지 궁금하네요

공무원 공기업 올인일까요?
포도사과
21/09/10 10:54
수정 아이콘
It는 극과극이거등요.
네카라쿠베나 연관계열사
3n 밑으로 내려가면 슬슬 헬되는게 느껴집니다.

연봉도 워라벨도 박살난 경우가 흔하니까요
리자몽
21/09/10 10:56
수정 아이콘
전에 SI업계로는 절대 가지말라는 얘기는 들었는데 꼭 거기가 아니더라도 중간 레벨 밑으로 가면

일반인이 상상하는 워라벨 챙기면서 일하는 회사는커녕 제조업 중소기업 이상으로 대우, 워라벨, 연봉이 박한가 보네요 @_@...
앓아누워
21/09/10 10:54
수정 아이콘
20대가 적은 이유는... 대부분 군대 갔다가 대학 졸업하고 디밸롭해서 포폴 만들고 하면 20대 후반 ~ 30대 초반이 되어있기 때문이죠...허허;
MaillardReaction
21/09/10 11:01
수정 아이콘
+ 취업시장이 얼어붙어서 다들 뭔가를 더 준비하고 들어가다보니 20대가 구조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는 거 같아요
avatar2004
21/09/10 12:02
수정 아이콘
20대가 적은 이유는 회사에서 20대를 안뽑기 때문이죠. 이게 공채 이런게 다 없어지고 필요하면 팀에서 수시 채용해서 그런건데요. 솔직히 저희도 요즘 계속 면접보는데 20대 학부 졸업하고 경력 조금 있는 친구는 아에 안뽑습니다. 뽑아봐야 도움안되고 가르쳐 키우는게 귀찮아서요. 그냥 내가 일더하고 말자 분위기.

. 뽑아서 바로 일시킬수 있는 친구 아니면 그냥 안뽑는게 요즘 분위기...물론 그런 친구가 지원많이 하는건 아닌데 그럼 그냥 뽑지말자 분위기. 요즘 회사분위기는 가르쳐 키워서 일시키자 이런 분위기가 아에 없는거 같음

다들 경력원하는데 그 경력은 어디서 쌓냐는 얘기가 딱 맞아요.
리자몽
21/09/10 13:14
수정 아이콘
신입 키우는걸 꺼려하다보니 신입을 안뽑고, 신입은 배울데가 없어서 한국 IT회사에 취업안하고

무한 악순환에 접어든거 같으니 이런 분위기가 유지되면 10년 내에 한국 IT업계 위기가 올 가능성이 높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2913 [게임] Tales of ARISE 주제가 [1] 라쇼6285 21/09/10 6285
432912 [게임] 스파2 사기캐 가일 리뷰 [15] Croove10198 21/09/10 10198
432911 [서브컬쳐] 오타쿠 소리 듣지 않는 애니 모음.jpg [31] KOS-MOS8943 21/09/10 8943
432910 [게임] 젤다야숨 레이트레이싱 영상 [7] 아케이드7834 21/09/10 7834
432909 [연예인] 일반인 작명 센스 덜덜 [4] 유리과자10438 21/09/10 10438
432908 [유머] 당신은 새벽 3시에 햄버거가 먹고 싶어집니다. [1] Farce8985 21/09/10 8985
432907 [유머] 수학유우머 [4] 종이컵7987 21/09/10 7987
432906 [유머] ??? : 한국아 솔직히 말해봐 [43] 마스터충달13963 21/09/10 13963
432905 [기타] 수험생을 위한 학과선택 길잡이 [61] 개맹이10181 21/09/10 10181
432904 [기타] 상어를 한방에 조져버리는 다이버 나이프.gif [29] 캬라12060 21/09/10 12060
432903 [게임] 스타워즈 게임 리메이크 소식 [10] 전직마법사7657 21/09/10 7657
432902 [기타] 롯데리아 X WOW콜라보 [25] 톰슨가젤연탄구이11892 21/09/10 11892
432901 [유머] 리밸런싱의 중요성-인버스와 레버리지에 반반투자한다면 [16] 비타에듀7854 21/09/10 7854
432900 [기타] 여기가 공무원의 도시입니까? [7] 뜨거운눈물11330 21/09/10 11330
432899 [유머] 이와중에 내년 여성부 예산.jpg [34] 파랑파랑12478 21/09/10 12478
432898 [유머] 크리스토퍼 놀란, 제작사와 신작에 대해 나눈 대화 유출 [9] BTS10844 21/09/10 10844
432897 [유머] 게임에 과금하는 사람 특 [15] 파랑파랑8450 21/09/10 8450
432896 [유머] 생일때 어떤 케이크를 줄까? [3] Starlord6989 21/09/10 6989
432895 [LOL] 얼굴만 보면 키 작을거 같았는데 의외로 키가 큰 선수.jpg [24] insane10984 21/09/10 10984
432894 [유머] 아기와 어린이의 차이점 묘사.perfect [23] 삭제됨10961 21/09/10 10961
432893 [유머] 크리스토퍼 놀란 신작 소문 [32] 비와이10074 21/09/10 10074
432892 [서브컬쳐] 매트릭스: 리저렉션 공식 예고편 [17] 카루오스7282 21/09/10 7282
432891 [기타] 설빙 콜라보 신메뉴 [16] 번개크리퍼10573 21/09/10 1057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