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9/09 19:27:21
Name 쁘띠도원
File #1 1.jpg (71.0 KB), Download : 37
File #2 2.jpg (104.9 KB), Download : 25
출처 네이버뉴스
Subject [기타] 2021년 공인회계사 대학별 합격자 순위




고대 6년 연속 1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09 19:29
수정 아이콘
서울대가 엄청 늘었네요
진짜 문과 취업이 빡세긴 한듯
개인적으로 회계사 참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로
21/09/09 22:26
수정 아이콘
혹시 어떤 측면에서 그렇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봐도 좋을까요?
21/09/09 22:47
수정 아이콘
일단 법인 기준 왠만한 대기업이랑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연봉이 많이 올랐고 더 오를 예정이고(인력난 심화)
커리어 욕심있으면 파스에서 좀 구르다 ib나 pe쪽 두드려보기도 수월하고, 개업해서 자리 잘 잡으면 신선놀음 하면서 살수도 있고
아무래도 운신의 폭이 많이 넓죠. 물론 본인이 합격 후에도 많은 인풋을 쏟아 넣는다는 가정 하에
+ 학벌 괜찮고 얼굴 반반하면 전문직 타이틀로 연애시장 고티어
21/09/10 16:20
수정 아이콘
아 답변 감사합니다!
곰그릇
21/09/09 19:33
수정 아이콘
회계사가 몇년 전쯤부터 무슨 법이 바껴서 할 일이 많아지고 그 전보다 대우가 훨씬 좋아졌을거에요
21/09/09 22:33
수정 아이콘
그 많은 일들 하다가 죽을거 같...
비발디
21/09/09 19:34
수정 아이콘
의외로 숭실대가 바로 밑에 있네요. 문과계는 조금 약한 이미지인데..
한방에발할라
21/09/09 19:36
수정 아이콘
일단 회계사 공부의 가장 좋은 점은 설령 2차를 붙지 못해도 1차 합격할 정도로 빡세게 했으면 최상위 금공 제외하면 어느 공기업이든 틀어서 필기 시헙은 가뿐하게 때려 부술 수 있다는 거죠. 출구전략이 제일 확실함......
21/09/09 19:38
수정 아이콘
이거 리얼인게 1차 붙고 2차공부하기 싫다며 공기업 준비하던 동생이 도로공사를 그냥 뚫어버리더라고요
21/09/09 19:36
수정 아이콘
한양대가 네임밸류에 비해서 순위가 좀 낮은 느낌이네요
복합우루사
21/09/09 19:46
수정 아이콘
한양대는 전통적으로 공과대학이 멱살캐리 하는 곳 아니였나요?
21/09/09 19:50
수정 아이콘
경제 금융인가 거기 입결이 높다고 들었거든요 파이낸셜 금융이었나
티모대위
21/09/09 20:20
수정 아이콘
한양대가 원래 이런 고시계열에서 꽤나 성과가 좋다고 알고있는데 이번 회계사는 그렇지 않네요
반대로 말하면 중앙대 경희대가 정말 좋은 결과를 내고 있군요

이게 대학교의 지원이랑 꽤나 상관관계가 있다고 들었습니다. 고시생들에게 공부할 공간과 여러 지원을 하는 학교는 장기적으로 보면 성과가 나오더군요
21/09/09 22:37
수정 아이콘
응시생 차이가 많이 나서 그런 것 같습니다.
응시인원 대비 합격률이 제일 정확하겠지만, 경영학과 학생들이 가장 많은 것을 감안하면 경영학과 정원 대비 합격자 수로 계산하면 서성한/중경이 되긴 합니다.
https://orbi.kr/0002786986

공대 정원이 많다보니, 한양대는 기술고시나 변리사 합격자가 많은 편이구요.
21/09/09 23:01
수정 아이콘
오 생각보다 쪽수가 훨씬 작았군요
응시인원대비가 궁금하긴한데 인서울경영이면 일단 찌르고 볼테니 뭐 크크
21/09/09 22:58
수정 아이콘
한양대는 정책학과, 행정학과 등 공직 쪽에 힘을 주는 느낌이었던 것 같아요!
21/09/09 23:06
수정 아이콘
그런가요 한법없앤걸 그쪽으로 몬건가
공직 썰도 그럴싸한게 한양대 공대원툴일때 총장인가 곤란한일 당했는데 그 학교 법조계 인맥이 후져서 해결하기 어려웠던적이 있었다고 하더라고요
그 이후로 한법을 다군에 잡아넣고 최대한 인재흡수하려고 했다는건 들었는데 크크
그 전통 유지하려한거면 맞을지도
wish buRn
21/09/09 20:07
수정 아이콘
지방대가 하나도 없다는게 슬프네요
이혜리
21/09/09 21:59
수정 아이콘
15위권만가도 외대 건대 동국대 홍대 정도나올 겁니다.
애초에 지방대는 도전자체도 많이 없고 합격해도 현실의벽, 빅펌입사어려움등으로 세무사쪽으로 가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21/09/09 23:00
수정 아이콘
맞아요. 주변 지거국 간 친구들 세무사 준비 많이 하더라구요!
꾸라사랑
21/09/09 22:05
수정 아이콘
똥 같은거 붙어봐야...
21/09/09 22:22
수정 아이콘
자학이신가요 크크크크
21/09/09 22:24
수정 아이콘
근데 서울대가 50~60명대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엄청 늘었네요... 서울대 지원자들이 많아졌다는건데 서울대생에게 회계사란 직업의 인식이 좋아진건지 아니면 서울대 출신의 문과도 취업이 힘들어진건지 모르겠지만요.
모나크모나크
21/09/09 23:21
수정 아이콘
저게 서울대가 늘은건가요? 그래도 고신데 당연히 서울대가 1등일 줄 알았어요...
21/09/09 23:45
수정 아이콘
회계사는 자격증이라 고시랑은 성격이 좀 달라요
21/09/10 08:06
수정 아이콘
사시 없어진 게 큽니다.
21/09/10 16:22
수정 아이콘
사시가 없어진 후 몇년간은 제가 말한 50~60명대로 기억하거든요. 음... 응시 인원이 늘어난 효과가 합격자 수를 증가시키는데 시차가 존재한다고 하면 사시 폐지도 영향이 없진 않겠네요.
21/09/09 22:49
수정 아이콘
한몫 보탰네요 뿌-듯 크크크
21/09/09 22:53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쁘띠도원
21/09/09 23:26
수정 아이콘
오 선생님 축하드립니다. 회계사아아아아아아아아아
21/09/10 08:00
수정 아이콘
부럽습니다.. 군인인데 전역하고 준비할라 합니다
축하드립니다 흐흐
콩탕망탕
21/09/10 13:35
수정 아이콘
회계사랑 세무사랑 많이 다른가요? 하는 일이나 난이도나 이런 차원에서..
21/09/10 16:25
수정 아이콘
회계법인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회계법인 택스파트내에서 일하는 회계사와 세무사간 차이는 전혀 없습니다. 다만, 회계사는 세무대리 업무 뿐만 아니라 감사라는 고유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구요. 회계사가 수행할 수 있는 업무의 범위가 좀 더 넓다고 보면 대략 맞을거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2854 [유머] 백신 접종시 주의사항.jpg [23] 파랑파랑12180 21/09/10 12180
432853 [서브컬쳐] 셋쇼마루놈 실패했나 [10] 번개크리퍼9322 21/09/10 9322
432852 [LOL] 이번 패치의 가장 큰 수혜자 [26] 다레니안9179 21/09/10 9179
432851 [기타] 부끄러워서 귀가 빨개진 박연경 아나운서 [15] 물맛이좋아요12327 21/09/10 12327
432850 [동물&귀욤] 구름타고 하늘 날기 [30] 흰긴수염돌고래8686 21/09/10 8686
432849 [동물&귀욤] 아빠 수염의 치명적인 매력 [7] 길갈8595 21/09/10 8595
432848 [유머] 택배 아저씨와 즐거운 시간.txt [7] KOS-MOS9825 21/09/10 9825
432847 [연예인] 클론 [14] 퍼블레인8253 21/09/10 8253
432846 [LOL] 어서 나에게 좋은 빌드를 갖다바쳐라 쵸비 [16] 묻고 더블로 가!10078 21/09/10 10078
432845 [기타] 요즘 논란중인 A21s 사준 아빠.. [132] pzfusiler14539 21/09/10 14539
432844 [기타] 갤럭시 플립근황 [36] 추천12849 21/09/10 12849
432843 [기타] 국가별 담배 한갑 가격 [46] 쎌라비11374 21/09/10 11374
432842 [기타] 몰라도 상관없는 라면 상식 10선 [17] 쎌라비9916 21/09/10 9916
432841 [기타] D.P 보직 폐지 [32] 쎌라비10789 21/09/10 10789
432840 [기타] 전차 VS 자연 [8] 그10번9998 21/09/10 9998
432839 [기타] 에픽게임즈 이번주 무료겜 덜덜덜 [31] 아지매10150 21/09/10 10150
432838 [유머] 동물 학대 논란.legend [22] KOS-MOS9232 21/09/10 9232
432837 [기타] 게임업계 종사자가 생각하는 요즘 분위기 [31] 추천9123 21/09/10 9123
432836 [서브컬쳐] 포켓몬)취향이 확실한 누나 [7] 추천6850 21/09/10 6850
432835 [서브컬쳐] 건담)의외로 맞는말만 하는 장교 [16] 추천8478 21/09/10 8478
432834 [기타] 죽었다 살아난 버튜버 썰로 알아보는 일본 코로나 [34] 우그펠리온14582 21/09/10 14582
432833 [유머] 아이스크림에 대한 쓸데없는.txt [17] KOS-MOS8698 21/09/10 8698
432832 [게임] 중국 게임규제 근황 [2] 카루오스7693 21/09/10 76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