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8/25 16:43:20
Name 쎌라비
File #1 2001년영화.jpg (192.6 KB), Download : 47
File #2 자유부인.jpg (175.2 KB), Download : 39
출처 구글하고 유튭
Subject [기타] 20년전 영화






와 그로부터 20년전 영화



응??? 20년 사이에 무슨일이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1/08/25 16:45
수정 아이콘
뇌신님 아이엠삼 으로 놀림 당하던 시절이 기억나는군요...
21/08/25 18:02
수정 아이콘
바람의계곡 투멀티 쓰리팩으로부터 시작된 것이 삼체까지.... 그러고보니 파장이 어마어마했듼듯요.
valewalker
21/08/25 16:46
수정 아이콘
조폭들이 극장을 휘어잡던 시절
21/08/25 16:47
수정 아이콘
반지의 제왕 1편도 2001년이었죠
2021반드시합격
21/08/25 16:49
수정 아이콘
극장에서 발로그vs간달프 장면 보고
시쳇말로 지렸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게 20년 전이라니 ㅠㅠㅠㅠ
21/08/25 16:51
수정 아이콘
진짜 극장에서 나오면서 친구들이랑 2편 언제 나오냐고 했던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20년...
애기찌와
21/08/25 16:59
수정 아이콘
아 다른 이야기지만 저는 반지의 제왕이 총 세편으로 제작된다는 정보가 없이 영화관에 갔다가 아무래도 끝날 시간이 다되어가는데 반지는 언제 갔다 준다는거지...하고 갸우뚱 했었....
비슷한 상황을 경험한 영화로는 몇년 후지만 라스트 에어밴더가 있어요 이것도 이상하다 어디서 경험한 느낌인데 했는데..심지어 뒤 이야기가 영화로 나오지도 않았던거 같은..
21/08/25 17:02
수정 아이콘
저도 극장에서 보면서 이거 내용이면 1권 정도 밖에 안되는데 도대체 몇시간짜리 영화지? 하면서 보고 있었는데 급종료라 당황했었네요.
그때 반지전쟁이라고 3권짜리 판본으로 봤었는데 아무튼 영화 다보고 여기서 끝나네라고 생각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이 뒤가 진짜 재밌는 부분인데 재밌어 질때쯤 끝내다니 이게 무슨 짓이야라고 친구들이랑 막 흥분해서 날뛰었던...
군령술사
21/08/25 17:01
수정 아이콘
한국 영화계가 1999년 개봉한 쉬리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하더군요.
항정살
21/08/25 17:12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친구 이전과 이후로 나뉩니다. 조폭영화의 시작과 끝을 동시에 했거든요.
wish buRn
21/08/25 17:21
수정 아이콘
자본에서 어마어마하게 차이났죠.
쉬리가 정말 기념비적 영화..
구라리오
21/08/25 17:38
수정 아이콘
쉬리 이전 총격전은 그냥 뭐야 저게? 그냥 화약이네...크크크
쉬리에서 총격전 보고 정말 말 그대로 충격을 받았습니다.
저게 되네?! 한국에서?!
forangel
21/08/25 17:47
수정 아이콘
쉬리 이전엔 방화.. 라고 불리었죠. 방화에는 비하의 뜻이 좀 포함됐었구요.
80년대말부터 90년대 초중반까지 한동안 우리나라 영화는 성인물이나 방학시즌 어린이 대상 특촬?물이 대부분이었고
일반 극영화는 처참한 수준이었습니다.
매춘,애마부인,변강쇠,가루지기,산딸기 뭐 이런 삼류극장용,비디오용 영화들이나 우뢰매,영구류의 어린이 영화들이 흥행했었던..
국내극장가는 홍콩영화,헐리웃영화가 지배했고, 90년초중반 잠깐 프랑스영화가 유행하기도 했구요.

그러다 90년후반 imf즈음해서 대기업들이 영화판에 뛰어들면서 분위기가 바뀌기 시작했고 우리나라 영화도 볼만해졌네?
하던 순간 쉬리가 빵 터졌죠.
이후 영화판에 돈이 돌면서 엽기적인 그녀,친구,공공의적, jsa,조폭영화등등이.. 계속 흥행 이어나갔고.
전설의 2003년 살추,클래식,올드보이,장화홍련,실미도등이 나오면서 관객들이 국내영화 퀄리티를 인정하게 됩니다.

영화를 이야기할때 왜 쉬리 이전과 이후로 나뉘냐하면 이즈음 대기업이 뛰어들면서 기존의 영화제작,배급시스템을
무너트린게 큽니다. 쉬리가 흥행하면서 대기업 자본이 더 많이 투입될 계기가 마련됐고 ,cgv같은 멀티플렉스들이
성장하는 계기가 됐기 때문이죠.
티모대위
21/08/25 18:07
수정 아이콘
쉬리가 '와 한국영화도 이런걸 보여줄수있네?' 라는 인식을 줘서
쉬리 자체의 성적뿐만 아니라 한국영화에 몰리는 돈과 인재의 규모를 차원이 다르게 높였다는 이야기가 많더라고요
아웅이
21/08/25 19:15
수정 아이콘
키싱구라미가 어쩌구 저쩌구..
겨울삼각형
21/08/25 17:09
수정 아이콘
스타워즈 에피소드1 (자자빙크스) 개봉한게 1999년이지요.
BERSERK_KHAN
21/08/25 17:36
수정 아이콘
그게 99년이었군요... 저는 왜 01년으로 알고 있었지.... 덜덜;;
21/08/25 17: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영화산업적으로는 '쉬리(1999)'
영화감성적으로는 '접속(1997)'이 분기점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둘다 한석규.
21/08/25 17:39
수정 아이콘
헐 1977년…
21/08/25 18:00
수정 아이콘
급하게 쓰고 다시 일하러 가느라...크크
죄송
Bronx Bombers
21/08/25 17:42
수정 아이콘
1997년......
재활용
21/08/25 17:37
수정 아이콘
크크크 자유부인 나올 적에는 할리우드 영화들도 야시시한 장면들 많이 나오고 그랬죠. CG가 나오면서 에로티시즘을 대체하고 블록버스터 개념이 자리잡은 것 같네요.
설탕가루인형
21/08/25 18:55
수정 아이콘
전 반지의 제왕 잘 몰랐는데 형이 보자고 해서 갔을 뿐이고....
역시 형 말만 잘 들으면 자다가도 떡이 떨어진다는 걸 다시 한 번 깨달았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1630 [게임] 숨겨진 다크소울 3 최강 생물 [7] roqur8239 21/08/29 8239
431629 [유머] 현재 고시엔 결승 상황 [21] 여기12600 21/08/29 12600
431628 [기타] 신천지 전국최대규모 서울야고보지파 [29] 나주꿀13064 21/08/29 13064
431627 [유머] 딸에게 권력의 힘을 맛보여주는 아버지 [11] 이호철12380 21/08/29 12380
431626 [유머] 테슬라, 차량 침수 시 탈출기능 신기술 적용.mp4 [14] TWICE쯔위12044 21/08/29 12044
431625 [게임] 펄어비스 게임 도깨비속의 한국 모습 [11] TWICE쯔위9698 21/08/29 9698
431624 [유머] 테슬라 사이버트럭 근황.jpg [23] 삭제됨11853 21/08/29 11853
431623 [기타] 일본에서 논란이 된 초등 수학문제 [70] 쁘띠도원11492 21/08/29 11492
431622 [LOL] 신기했던 고스트의 교전 움직임 [167] 묻고 더블로 가!14544 21/08/29 14544
431621 [유머]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에서 제일 불쌍한 사람. [17] 삭제됨9947 21/08/29 9947
431620 [동물&귀욤] 백수의 왕의 흉포한 이빨 [5] 길갈7403 21/08/29 7403
431619 [기타] 9월1일 개통하는 도로 [17] 쁘띠도원12963 21/08/29 12963
431618 [유머] 남편이 펨코하는데 어떡해? [77] KOS-MOS14852 21/08/29 14852
431617 [LOL] 담원기아 3211 [8] Leeka8854 21/08/29 8854
431616 [게임] PS5 신형 원가절감 현황 [28] 쁘띠도원14273 21/08/29 14273
431615 [기타] 이제는 옛말이 되어버린 일요일 코스 [33] 닉넴길이제한8자12317 21/08/29 12317
431614 [기타] 조선시대 알콜중독자의 일화 [11] 쁘띠도원11373 21/08/29 11373
431613 [유머] 이미 사용중인 닉네임입니다 [6] 파랑파랑9694 21/08/29 9694
431612 [LOL] 결승전 4세트 딜량 [32] 따라큐10120 21/08/29 10120
431611 [동물&귀욤] 동물 사진 작가 특징 [13] 길갈8942 21/08/29 8942
431610 [유머] 선릉역 오토바이 사고 재발 방지책 [51] TWICE쯔위15243 21/08/29 15243
431609 [유머] 100만 회의 삶을 산 너.manhwa [13] KOS-MOS11447 21/08/29 11447
431608 [유머] 중국의 흔한 개통식.gif [11] TWICE쯔위11555 21/08/29 1155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