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8/19 08:07:08
Name 김치찌개
File #1 1.jpg (2.75 MB), Download : 61
출처 이종격투기
Subject [유머] 이지영 강사 에르메스백 안에 있는 명품들.jpg


이지영 강사 에르메스백 안에 있는 명품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호랑이기운
21/08/19 08:36
수정 아이콘
빠진번호 신경쓰임
조말론
21/08/19 08:48
수정 아이콘
인상이 왜 예전하고 달라진거같지..
파란무테
21/08/19 09:00
수정 아이콘
볼살이 조금 올랐어요
브라이언
21/08/19 16:10
수정 아이콘
이제 나이가 들어가는 모습이...
추리왕메추리
21/08/19 08:51
수정 아이콘
누구인가 싶어서 검색해보니 수능 강사군요.
해당 과목에서 1타라고 하니 많이 버는 사람일텐데 많이 버는 만큼 어떤 형태로든 많이 써주면 좋죠.
21/08/19 08:56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인강 및 학원 강사는 교육직이 아니라 서비스직이라고 생각하는데, 서비스직원에게 열광하는게 참 신기해요.
21/08/19 09:10
수정 아이콘
서비스직원에게 열광하는건 당연하죠. 연예인도 서비스직인데요.
21/08/19 09:10
수정 아이콘
말씀 듣고 보니 그러네요. 연예인 생각하니 이해가 딱 되네요.
고란고란
21/08/19 09:13
수정 아이콘
뭐, 따지고 보면 유튜버들도 마찬가지죠. 오히려 유명한 학원 강사는 가르치는 노하우에 있어서는 교사보다 더 뛰어날 수 있는 사람들인데 그들에게 성적 올리는 데 도움을 받았다면 고마워하고 좋아할 수 있다고 봅니다.
흑태자
21/08/19 09:30
수정 아이콘
말씀의 전제가 특이하네요. 오히려 교육직이라고 열광하는게 더 이상한거 같은데요?
교육직이 서비스직보다 하등 우월할게 없는 직업이고 신뢰도가 더 높을 것도 없을거 같은데요
돈많이 버는 서비스직원 보다 뭐 하나 나을게 없을거 같습니다만..
21/08/19 09:36
수정 아이콘
서비스직은 그 직무의 존재 이유 자체가 서비스를 제공하는거고, 그러니 서비스직이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는건 당연한건데 그게 왜 열광할 일인가 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윗 댓글에서 연예인 얘기를 보니 제 생각이 틀렸구나 싶었구요.
Navigator
21/08/19 09:42
수정 아이콘
못생긴 연예인도 나름 인기가 있는것처럼 다 열광할수 있는 포인트가 있는거죠
21/08/19 09:43
수정 아이콘
네 그래서 생각해보니 제 생각이 틀렸다구요.
Navigator
21/08/19 09:46
수정 아이콘
피지알 전통 아니겠습니까 줄줄이사탕... 저도 한번 해보고싶었습니다....
(이 밑으로 누군가 또 연예인 댓글 하나 달아줬으면............)
21/08/19 11:08
수정 아이콘
연예인
김연아
21/08/19 11:31
수정 아이콘
이 되어~~~
대문과드래곤
21/08/19 11:25
수정 아이콘
저는 학생때 저분 강의 들었었는데,, 열광할만 하더라구요. 물론 이 본문처럼 뭔가 셀럽처럼 되어버린 것은 왜그런지 잘 모르겠지만,,(뭐 돈 많고 성공해서 그런거긴 하겠죠.) 강의력은 그 돈과 인기를 얻을만 했습니다 크크
리자몽
21/08/19 09:01
수정 아이콘
돈 많으신 분이 플렉스 하고 그걸 유튜브에 올려서 또 돈을 버는 거군요

저분은 사업가라고 봐도 되겠네요
스카야
21/08/19 10:18
수정 아이콘
저 분 소득에 유튜브 정도면 그냥 자아실현정도죠
월몇천은 티도 안날겁니다..
82년생 김태균
21/08/19 09:10
수정 아이콘
브랜드 마크 떼면 하나도 안 예쁠 것 같은데....
가방, 지갑 디자인이 마음에 드는 게 아니라 그냥 브랜드가 마음에 드는 게 아닐지.
이재빠
21/08/19 09:26
수정 아이콘
브랜드가 이쁜겁니다. 크크크
리자몽
21/08/19 10:23
수정 아이콘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크크크

못생긴 제품에 에르메스 / 샤넬 / 구찌 마크만 박으면 사람들이 알아서 예쁘다고 해주고

예쁘게 잘 만든 제품에 아무런 마크가 없으면 쳐다보지도 않는게 현실이지요
마리오30년
21/08/19 09:24
수정 아이콘
캡쳐가 그래서 그런가 뭔가 급 노화한 느낌이 나네요
리자몽
21/08/19 11:42
수정 아이콘
학원 강사분들의 살인적인 스케쥴을 보면 노화가 안올 수가 없습니다 @_@

저분들은 젊음과 시간을 갈아서 돈을 버는 분들이니까요
해질녁주세요
21/08/19 10:22
수정 아이콘
번호가 두개 필요하면 폰 한개에 투넘버 쓸 수 있는데 폰이 두개인 건 왜 그런걸까요?
21/08/19 11:35
수정 아이콘
1. 어떤 번호에 온건지 일일이 확인하면 그게 더 귀찮고 저분들한테는 시간 낭비고
2. 그렇게 신경쓸 필요없이 폰 두개 쓸 재력이 되니까
일겁니다.
리자몽
21/08/19 11:43
수정 아이콘
투 폰 쓰는게 정신건강에 편리합니다

저도 일하면서 개인번호가 업무번호처럼되니 전화만 오면 짜증나는 경우도 많은데 저분은 저보다 스트레스가 심하겠죠
21/08/19 12:42
수정 아이콘
으 가방 별론데 브랜드값인가
서지훈'카리스
21/08/19 13:29
수정 아이콘
가방 진짜 안 예쁘긴 하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1238 [방송] 양동근 근황 [3] 스테비아12257 21/08/25 12257
431237 [유머] 인간을 이해하지 못하는 생물...jpg [26] 추천11643 21/08/25 11643
431236 [유머] 게이특징... [11] 추천9366 21/08/25 9366
431235 [게임] 사냥의 극에 달한 자 [2] 이호철7004 21/08/25 7004
431233 [기타] 국민연금 근황 [30] 길갈14059 21/08/25 14059
431232 [게임] 크래프톤 눈마새 컨셉아트 [15] 이호철9425 21/08/25 9425
431231 [유머] 먹는자 vs 먹이는자(히밥 vs 승우아빠) [4] Croove8521 21/08/25 8521
431230 [유머] 교통 신호등 가격은 얼마일까? [10] VictoryFood12965 21/08/25 12965
431229 [유머] 아이폰 쓰던 공명의 함정 [11] 취준공룡죠르디11753 21/08/25 11753
431228 [유머] 이 두개중 더 재밌게 본 영화는?.jpg [33] 김치찌개10981 21/08/25 10981
431227 [기타] 읽어도 이해 안되는 아파트의 동호수 네이밍 [16] 쁘띠도원11588 21/08/25 11588
431226 [유머] 타이레놀을 꼭 한통만 사야 하는 이유는? [16] 파랑파랑11930 21/08/25 11930
431225 [연예인] 요즘 세대가 이해하기 어려울 것 같은 한국영화 [51] Davi4ever13877 21/08/25 13877
431224 [연예인] 톰 크루즈 근황 [21] 쁘띠도원11684 21/08/25 11684
431223 [유머] 진짜 개 쎌 것 같은.jjal [2] KOS-MOS10109 21/08/25 10109
431221 [스포츠] 벌써 한 달 지남 [6] 쁘띠도원8549 21/08/25 8549
431220 [기타] '코어 운동' 반드시 필요한 이유.jpg [6] 김치찌개12684 21/08/25 12684
431219 [유머] 검과 활에 대한 스탯 오해 [36] KOS-MOS9845 21/08/25 9845
431218 [유머] 전투화로 알아보는 아재력.jpg [42] 김치찌개10606 21/08/25 10606
431215 [유머] 옛날 사람들이 카톡 대신에 쓰던 거.jpg [26] 김치찌개10646 21/08/25 10646
431214 [유머] 알바 사장이 꼰대다 vs 알바생이 문제다 [48] 김치찌개11215 21/08/25 11215
431213 [유머] 아프간 협력자들이 맞닥뜨릴 첫 관문 [9] 훈수둘팔자8784 21/08/25 8784
431212 [LOL] 영원히 고통받는 코돈빈 [6] YNH6949 21/08/25 69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