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7/28 08:06:38
Name 이호철
File #1 1.png (90.2 KB), Download : 46
출처 하스스톤
Subject [게임] [하스스톤] 도적 전설


도적 카드를 내기 전까지 본인이 도적인 걸 숨기고 플레이 할 수 있습니다.
영웅 초상화와 영웅 능력이 모두 바뀐다는군요.
도적 카드를 내면 도적인게 들통난다고 합니다.

생각해보니 서로의 직업을 알고 시작하는 대회에선 절대 쓸 수 없는 카드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네~ 다음
21/07/28 08:33
수정 아이콘
아.

크크크크 개전인가요?
하루빨리
21/07/28 08:50
수정 아이콘
약간 다른게 개전은 게임 시작 시 발동되는 전함효과이고, 저건 지속효과죠. 그래서 개전 키워드가 붙지 않은거라 보심 됩니다.
머나먼조상
21/07/28 08:54
수정 아이콘
개전은 게임 시작때 카드 보여줘야하니까 개전이지만 개전이 아닌 뭔가를 추가했겠죠
순서가 개전하고 똑같으면 말체자르에서 이 카드 나오면 적용될지도 모릅니다 크크
티모대위
21/07/28 15:49
수정 아이콘
개전처럼 적용되지만 개전으로 뜨지 않는 그런카드로군요
21/07/28 09:09
수정 아이콘
시작 덱이 랜덤으로 결정되는 카드들이 대회 밴을 먹었던 걸 생각하면, 이 카드도 대회 밴이 될 가능성이 높아보이네요 크크
무지개송아지
21/07/28 09:22
수정 아이콘
딱히 사기라고 보기엔 애매하네요
일단 중립카드로만 초반을 풀어가야 한다는 건데..
21/07/28 09:36
수정 아이콘
의미가 있나 싶기도... ;;;
처음부터 메타덱을 짜는게 아닌이상에야 그냥 자기덱으로 플레이하는거고..
강력한 직업카드 두고 중립카드로만 초반을 풀어가다가 자기직업으로 기습하는게 얼마나 의미가있나 잘 모르겠네요..;;;
가능성탐구자
21/07/29 00:3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립 카드로 초반을 풀어갈 필요조차 없습니다. 상대 멀리건을 망치는 용도일 거예요.
상대 직업을 보고 템포를 유추해서 멀리건을 다르게 가져가잖아요. "상대가 냥꾼이든 사제든 나는 내 최선의 플레이를 한다" 이건 솔직히 하수죠.

물론 용도가 이렇다는 것 뿐 쓰진 않을 것 같습니다. 민물악어쉑
21/07/29 00:38
수정 아이콘
아니 뭐 이론적으로야 그런데.....
당신은 당신의 멀리건이 의도대로 풀려간적이 얼마나 되십니까... (....)
물론 핵심카드를 남기느냐 마느냐의 차이는 있겠지만 말이죠;; 멀리건 망했다고 돌리면 그까짓거... (...)
가능성탐구자
21/07/29 00:47
수정 아이콘
멀리건 전부 운빨 아닙니다. 적절한 카드 교체하는 게 바로 실력입니다.
게임 판수가 쌓일 수록 상대직업 별로 1턴에 들고가는 패는 수렴합니다.
21/07/29 00:51
수정 아이콘
매 판을 쌓아서 평균에 수렴하는것과, 당장 내가 패를 돌릴때 원하는 패가 나오는건 다른 문제라고 생각해서.. ;;;;;;;
아니 멀리건도 당연히 실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근데 동시에 운빨인것도 사실이죠.
원래 확률이란게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돌겜에서 1장짜리를 넣느냐 안넣느냐의 문제를 흔히 '서고 마지막에 들어있어서 있어봤자 못썼을 경우'로 보기도 하는데...
판수가 쌓이면 당연히 의미있지만, 당장 눈앞의 게임에서는 의미없는 운빨문제이기도 하니까요.

그러니까, 장기적 관점에서는 의미있을 수 있는데.. 당장 눈앞의 게임에서 그렇게까지 눈에보이는 이득이 있을까? 라는 의미입니다.
그 장기적 관점의 의미가, 서고1장을 소비할만큼이냐는거죠.
가능성탐구자
21/07/29 01:06
수정 아이콘
대충 계산해보니, 멀리건으로 내가 찾는 키카드를 가져갈 확률이 47%정도 되네요.(두 장 꽉꽉 기준)
이정도면 매판마다 상대 플레이에 영향을 끼치기에 충분하지 않나요?
(물론 그 영향력이 덱에 민물악어를 넣는 패널티를 상회하느냐 물으신다면 저도 놉!)
21/07/28 09:40
수정 아이콘
오래 안들키려고 도적카드 아끼기보단 그냥 상대멀리건 혼란주는정도로?
21/07/28 09:45
수정 아이콘
변신한 영웅 영능쓸수 있으면 1코 카드 줄이고 악마사냥꾼을 골라도 괜찮겠네요. 그런데 바꿀영웅 선택이 가능할런지...
노지선
21/07/28 10:19
수정 아이콘
오잉
21/07/28 12:03
수정 아이콘
초반에 중립카드로 플레이하면 빼박 아닙니까
21/07/28 12:38
수정 아이콘
온라인이라서 가능한 카드.. 오프라인에서 저러면 멱살잡힐지도..
Extremism
21/07/28 12:56
수정 아이콘
대회 밴은 안될겁니다. 그냥 안쓸 카드가 되죠... 클래스를 ???로하면 100% 도적인거 알테고. 애초에 직업 공개인데
그리고 지금 하스 정규메타가 그렇게까지 직업마다 카운터카드 잡고가야하는 카드보다 자기 덱 키카드 잡는 멀리건이 중요해서 의미가 너무...
기아레인저스
21/07/28 13:03
수정 아이콘
첨에 멀리건 정도에만 유효하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9371 [유머] 배달 왔으면 놓고 빨랑 꺼져.jpg [21] KOS-MOS12476 21/08/05 12476
429370 [유머] 만화니까 저런 머리스타일을 하는거지, 실제로 되겠음? [28] 나주꿀12422 21/08/05 12422
429369 [기타] 한국에서 탄생한 9가지 음식.jpg [37] 개맹이11979 21/08/05 11979
429368 [기타] 롯데리아 한우불고기버거 오늘만 5000원에 판매.JPG [33] insane12018 21/08/05 12018
429367 [기타] 골프할인 거부하자 물 끊고 불시 점검.JPG [17] insane11714 21/08/05 11714
429366 [유머]  김연경 해외 벤치신세 시절.gif [14] TWICE쯔위11875 21/08/05 11875
429365 [동물&귀욤] 아빠와 여행 다니는 모험가 냥이 [8] 흰긴수염돌고래7647 21/08/05 7647
429364 [기타] 강경책을 꺼내든 일본.gisa [26] KOS-MOS12203 21/08/05 12203
429363 [유머] 구조대원의 인생에서 가장 뜨거웠던 순간.jpg [16] 나의 연인12124 21/08/05 12124
429362 [유머] 4개월 후 대한민국.jpg [14] Rain#113056 21/08/05 13056
429361 [유머] 군필들만 이해하는 공포상황 [46] TWICE쯔위15043 21/08/05 15043
429360 [유머] 오늘 출시 되는 한국인의 버거.bugger [21] KOS-MOS13485 21/08/05 13485
429359 [유머] 대놓고 남의 아내를 탐하는 자 [14] 길갈15192 21/08/05 15192
429358 [유머] 오물 같은 식사를 비난하는.gisa [7] KOS-MOS11754 21/08/05 11754
429357 [서브컬쳐] 후방주의) 누나 나 죽어 [19] 쁘띠도원18894 21/08/05 18894
429356 [기타] 저 단골인데요...이제 안통한다 [41] 쁘띠도원14249 21/08/05 14249
429355 [기타] 아이맥스관에서 영화 볼때 제일 설레이는 순간.MP4 [20] insane12738 21/08/05 12738
429354 [스포츠] 스모 근황 [31] 쁘띠도원11305 21/08/05 11305
429352 [기타] 일본과 중국의 곱셈법 [46] 쁘띠도원12263 21/08/05 12263
429351 [유머] 대한미국놈 근황.twit [5] KOS-MOS9880 21/08/05 9880
429350 [유머] 상위1% 부자와 결혼한 스타.jpg [27] 김치찌개16307 21/08/05 16307
429349 [텍스트] 남초에서 이거 진짜냐고 잘 안믿는 연애 관련 팁.jpg [65] 김치찌개17464 21/08/04 17464
429348 [유머] BTS , 대한민국 역대 최고의 가수이다. VS 아니다~ 서태지, 조용필이다 [45] 김치찌개10968 21/08/04 1096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