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7/22 12:53:26
Name 우주전쟁
출처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229760g
Subject [기타] 가전은 LG(?)...
관련기사: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7229760g

ked202104200004.700x.0.jpg

LG가 올해 상반기에 글로벌 가전 최대 경쟁사인 미국 월풀을 큰 격차로 따돌리며 생활가전 부문 세계 1위에 올랐다고 합니다.

월풀 올해 2분기 실적: 매출 5조9700억원
LG 올해 2분기 실적: 매출 6조8000억원

영업이익은 2017년서부터 월풀을 앞질러 왔다고 하네요...

LG...그거슨 스마트폰만 빼면 다 잘 만드는 기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7/22 12:54
수정 아이콘
그래 잘 하던거나 잘 하자...
21/07/22 12:55
수정 아이콘
가전분야는 태클걸 사람이 없죠 크크
개맹이
21/07/22 12:55
수정 아이콘
이 더위에 냉장고 고장나서 주문했더니 3주이상 걸린다고 해서 좌절중이었는데 모든 물건이 미국으로 가는건가...
어서오고
21/07/22 12:58
수정 아이콘
가전이 영업이익이 잘 안나와서 그렇지 lg가 원래 1타였죠.
시니스터
21/07/22 13:06
수정 아이콘
엘전 살껄
21/07/22 21:42
수정 아이콘
지금 사셔도 됩니다
최근 몇달 동안엔 거의 안올랐습니다
덴드로븀
21/07/22 13:08
수정 아이콘
?? : 오 LG꺼 따라해야지
??: 오 삼성꺼 따라해야지

월풀 : 아이 XX 왜 바다건너 두회사가 내 나와바리에서 XX 이야 ㅜㅜ
iPhoneXX
21/07/22 13:11
수정 아이콘
국내는 삼성이 요새 더 잘팔린다던데 맞나요?
파란무테
21/07/22 13:13
수정 아이콘
사후 서비스가.. 좀 좋죠
21/07/22 13:15
수정 아이콘
개발괴발
21/07/22 13:15
수정 아이콘
이른바 백색가전이라 불리는, TV를 제외한 영역은 LG가 잘 팔았고
TV랑 백색가전을 합쳐서 매출을 보면 삼성이 우위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덴드로븀
21/07/22 13:17
수정 아이콘
http://news.bizwatch.co.kr/article/industry/2021/02/04/0019
삼성, 4년만에 LG전자 영업이익 추월 / LG전자, 영업이익률로만 삼성 앞서

이래저래 맨날 서로 치고박고 난리죠. 최근 2년 정도는 비스포크 파워로 삼성이 상당히 선전하는 느낌이구요.

삼성 비스포크 잘나가니까 바로 LG 가 배껴서 오브제 컬랙션 내놓고,
LG 쌍쌍바 에어컨도 드디어 삼성처럼 동그란 원형 + 무풍기능 넣어서 팔기 시작하고
찬공기
21/07/22 13:27
수정 아이콘
반대 아닌가요? 소위 프리미엄 가전 라인은 LG가 먼저 아니에요?
오브제는 2018년에, 비스포크가 그걸 따라해서 2019년에 낸 걸로 알고 있는데요.
GregoryHouse
21/07/22 13:32
수정 아이콘
lg 프리미엄 라인은 시그니쳐에요
(삼성은 쉐프컬렉션이 프리미엄라인인데 선후관계는 잘모르겠어요)
비스포크는 프리미엄 라인이라기보단 인테리어 중시형이고요
찬공기
21/07/22 13:44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새로 알아갑니다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1/07/22 13:37
수정 아이콘
오브제랑 오브제 컬랙션을 좀 다르게 봐야하는게 포인트입니다.

오브제(2018) ≠ 비스포크(2019)
비스포크(2019) = 오브제 컬랙션(2020)
찬공기
21/07/22 13:44
수정 아이콘
넵 저도 다시 찾아보고 알았네요. 지적 감사합니다!
월급루팡의꿈
21/07/22 13:43
수정 아이콘
적어도 비스포크 냉장고는 보급라인입니다.
보급라인+이쁘고다양한색+다양한조합이 컨셉이구요..
그게 잘나가니까 삼성가전 전체에 비스포크 이름을 붙이면서 컨셉이 무너지는중이라는게 함정이지만요..
찬공기
21/07/22 13:46
수정 아이콘
다양한 색이 이쁜지는 잘 모르겠어요...
광고에 나오는 것 처럼 싹다 동일 브랜드로 밀면 색상들이 포인트가 되어 이쁘겠습니다만.
그마저도 집이 좀 많이 넓어야 느낌이 살 것 같은데.. 엄청 잘팔리나보네요..
월급루팡의꿈
21/07/22 13:57
수정 아이콘
[이쁘고] 다양한게 핵심입니다. 크크.. 색이 그냥 다양하면 어지럽기만 하죠.
그냥 총체적인 디자인을 잘 뽑았다고 보면 되구요. 그러다보니 다양한 색보다는 이쁜게 핵심이구나 하면서 다른 삼성 가전들도 비스포크 이름 달고 최대한 이쁘게 나오는 중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찬공기
21/07/22 13:31
수정 아이콘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01029/103695474/1
https://www.greened.kr/news/articleView.html?idxno=287811
그냥 오브제에서 더 나아간 오브제 컬렉션은 또 2020년에 나왔네요. 덴드로븀님 말씀이 맞는 듯 합니다!
서로 돌고돌면서 베끼고 치고박고 하나보군요..
섹무새
21/07/22 13:17
수정 아이콘
lg 살걸...
풀캠이니까사려요
21/07/22 13:19
수정 아이콘
삼성 가전 한국본부는 죽을 쓰고 있었는데 비스포크가 대박이 나면서 엄청 좋아졌죠.
엘지도 그래서 올해부터 오브제 밀면서 올해 초 오브제와 비스포크 가격이 말도 안되게 쌌었죠. 향후 5년간 이 가격을 볼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천우희
21/07/22 13:23
수정 아이콘
비스포크랑 오브제 다알아봤는데 가전은 Lg라고 생각하면서도 가격차이가 너무많이나서 비스포크로 정했네요 요번년도 초에는 할인많이해서 비슷했다고 하던데..
21/07/22 13:37
수정 아이콘
이번에 가전제품 - 냉장고, 식기세척기, 청소기, 스타일러, 세탁기, 건조기 - 을 lg오브제로 바꿨습니다.
그 직전에 200만원짜리 그래픽카드를 사고나서 가전제품에 눈을 돌려보니까 전부 그래픽카드보다도 저렴하더라구요. 크...
덴드로븀
21/07/22 13:39
수정 아이콘
손바닥2개만한게 200만원인데 내 키보다 더 큰게 200만원밖에 안한다고!? 개꿀! 크크
가나라
21/07/22 13:52
수정 아이콘
가전제품이 비싸다 싶을 땐 핸드폰, 그래픽카드 가격을 생각하면 됩니다. 핸드폰 가격이면 웬만한 가전제품 좋은거 사죠
양파폭탄
21/07/22 13:26
수정 아이콘
모바일은 싹 해고하고 새로 시작하는게 나은?
GregoryHouse
21/07/22 13:33
수정 아이콘
가전도 분야가 너무 달라서
이것저것 써본 후기로는
에어컨: 삼성
TV: 삼성
김냉: 위니아(딤채)
나머지: LG
라고 생각합니다
소이밀크러버
21/07/22 13:37
수정 아이콘
비스포크를 포함해서 삼성껄로 여러개 샀는데 가격 나름 싸고 디자인 일체감 좋고 만족스럽더군요.
21/07/22 13:37
수정 아이콘
최근에 대략 1천만원 이상 가전 세트를 샀는데,
동급으로 고르면 LG 오브제 세트가 삼성 비스포크 세트보다 가격이 몇백은 더 비쌉니다.

저는 개취로 오브제 세트로 다 샀는데(OLED TV와 삼성세탁기에 대한 불신이 커서..)
주변에 보면 OLED TV를 반드시 할 것이 아니라면 여차저차 비스포크 세트로 많이들 사시는 것 같았습니다.
이정재
21/07/22 13:39
수정 아이콘
마케팅의 달인
21/07/22 13:40
수정 아이콘
이게 가전시장만큼은 LG가 고급이고, 삼성이 가성비가 되는 경우가 좀 많아요. (.....)
양쪽에서 견적받아보면 전반적으로 삼성이 더 싼편이었습니다..

근데 개인적으로 만져보는 입장에서는 LG쪽이 좀더 실용적으로 잘만들었다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특히 삼성 비스포크 시리즈 같은건 뭐랄까, 디자인에 더 힘을 주었다는 느낌? (...)
서지훈'카리스
21/07/22 13:42
수정 아이콘
삼성이 세계에서 점유율 더 높은 걸로 알고 있는데요 한경자료라서 거릅니다
찬공기
21/07/22 13:49
수정 아이콘
기사만 봐선 그냥 데이터 나열 같은데... 한경이 삼성/LG의 라이벌리와 관련해 어떤 문제가 있나요? 잘 몰라서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김티모
21/07/22 13:50
수정 아이콘
제가 엘지 선호하고 어머니가 삼성 선호하셔서 양쪽회사 백색가전을 비슷한 카테고리 제품을 여럿 사서 넣었는데...
삼성제품이 이쁘긴 훨씬 이쁩니다. 문제는 삼성 백색가전은 결함이라고 하긴 애매하고 문제없다고 하긴 짜증나는 단점들이 곳곳에 숨어있습니다. 뭐 제 경험일 뿐이긴 하지만요.

문이 안 닫히는 냉장고라던지... 무풍기능 이후 송풍을 돌려도 내부가 제대로 건조가 안되서 1시즌 쓰면 곰팡이가 꽉 차는 에어컨이라던지...
이라세오날
21/07/22 13:52
수정 아이콘
이사하면서 가전 고르는데 LG가 미묘하게 동급에서 10% 정도 비쌉니다.
삼성이 LG 가격에서 약간 빠지게 책정했는지, LG가 삼성 가격에 이 정도 프리미엄은 커버할 수 있다면서 책정했는지 모르겠지만
결과적으로 LG로 다 사긴 했는데 가격 차이가 좀 더 났으면 모르겠다 싶더군요.
로피탈
21/07/22 13:57
수정 아이콘
그래도 가전은 LG죠
21/07/22 13:57
수정 아이콘
모터달린건 삼성 사는거 아니라는 어르신들의 말씀을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써보고 뼈저리게 느꼈습니다.지금 집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시스템 에어컨도 삼성껀데 스트레스 만땅..
지금만나러갑니다
21/07/22 14:08
수정 아이콘
에어컨은 비교불가 삼성우위 입니다. 무풍 나온뒤로 성능, 판매율, 선호도 모든 영역에서 상위호환입니다.
블리츠크랭크
21/07/22 14:24
수정 아이콘
모터를 빼버려서...?
21/07/22 14:40
수정 아이콘
무풍은 안써봐서 모르겠지만 기존 방식의 벽걸이/시스템은 하나같이 삼성이 가장 별로였습니다. 이사오기전 집에 달려있던 벽걸이 에어컨은 신품이 선풍기 수준으로 찬바람 나오길래 AS 기사 불렀더니 한숨 푹푹 쉬며 자기네들 에어컨 원래 그렇고 정상이라 해줄 수 있는게 없다고 미안하단말까지 하며 돌아가던데요. LG까지 갈것도 없이 캐리어/하이얼 에어컨보다 못했습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21/07/22 16:03
수정 아이콘
찬바람이 싫으시면 더더욱 무풍이 1옵션이죠.
21/07/22 16:18
수정 아이콘
말을 잘못 썼는데, 찬바람이 힘있게 나오질 않아 선풍기처럼 에어컨 앞에만 시원한 수준이라 AS를 부른겁니다. 틀어놔도 시원해지질 않으니.. 현재 집에 달려있는 시스템 에어컨도 똑같은 문제가 있어서 20평 커버 가능한 모델이 그 아래만 시원한 수준입니다.
인스네어리버
21/07/22 14:16
수정 아이콘
같은 모터달린 LG건조기도 말 많았죠..
태바리
21/07/22 16:38
수정 아이콘
그말을 신봉하는 마눌님 덕분에 엘지 통동이세탁기와 건조기를 샀는데
둘다 먼지거름 이슈로 세탁기는 몇년동안 고생시키다가 결국 거름망 있는 세탁조로 통채로 갈고
건조기는 A/S센터 입고하여 업그레이드 하는데 열흘정도 걸리는 등 이슈가 컷습니다.
그러고도 작년 냉장고를 또 엘지를 선택하더군요.
유사장
21/07/22 14:05
수정 아이콘
에어컨 냉장고 핸드폰 삼성
세탁기 건조기 노트북 공기청정기 스타일러 lg
티비랑 모니터 청소기(다이슨 포함) 걍 싼거
이렇게 선호하네요
리로이 스미스
21/07/22 14:24
수정 아이콘
야구도 못함.
Albert Camus
21/07/22 14:54
수정 아이콘
여기만 해도 댓글 엄청 갈리네여 크크

전 반반무많이로 각제품별 맘에드는거 샀습니다

삼성: 에어컨 티비 냉장고 청소기
엘지: 식세기 건조기 세탁기
네이버후드
21/07/22 16:16
수정 아이콘
오브제 콜렉션 너무 예쁨
메디락스
21/07/22 16:30
수정 아이콘
근데 에어컨이 언제 이렇게 삼성이 앞서나가죠? 원래 에어컨은 엘지가 대세였는데...
지니팅커벨여행
21/07/22 18:07
수정 아이콘
저도 엘지를 좀 더 선호하긴 한데 그 이유 중 하나가 국산이 많기 때문이죠.
삼성은 대부분 베트남 등 해외에서 만들지만 LG는 국내 생산이 많습니다.
삼성이 더 싼 이유는 아마 이 차이에서 나올 거예요.
10여 년 전에는 삼성이 미세하게 더 비싼 것 같았는데 어느새 역전했나 봅니다.
몰라요
21/07/22 20:11
수정 아이콘
가전 살려고 견적받아보고 있는데요...
삼성이 색상이 다양하고 체감가격이 더 저렴합니다.
근데.. 왠지 LG가 사고 싶네요 크크크

동일품목으로 견적받으면
LG결제금액 1800에 체감가 1400이라면
삼성은 결제가 2000에 체감가 1200정도 되더라고요.
매출액 높이려고 그러는건가.....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가격이 올라가네요..살거 있으시면 빨리사세요
ANTETOKOUNMPO
21/07/23 00:48
수정 아이콘
백색가전에서는 엘지가 넘사벽이라 삼성이 비스포크로 컬러풀하게 만든게 아닐까 뭐 그리 생각하고 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28942 [기타] 싸우면 질 듯 [15] 묻고 더블로 가!10677 21/07/29 10677
428940 [유머] 군대 냄새의 상상과 현실.jpg [52] 동굴곰16780 21/07/29 16780
428939 [기타] 밤이되면 기어나와 짝짓기하는 커플 [16] 추천14483 21/07/29 14483
428938 [유머] 의외로 한국인들이 잘 모르는 일본식 표현.gov [16] 유리한12735 21/07/29 12735
428937 [서브컬쳐] (인방)무신사피팅모델엄준식 [21] 추천11803 21/07/29 11803
428936 [서브컬쳐] 한국어 연습하는 좀비컨셉 버튜버 [4] 라쇼10018 21/07/29 10018
428935 [스포츠] 컬투쇼 김태균 대타 김태균.jpg [18] insane11454 21/07/29 11454
428934 [유머] 의외로 추우면 실내에서 연습한다는 양궁 [20] 길갈12960 21/07/29 12960
428933 [유머] 앉고 싶고 서고 싶고 눕고 싶다 [4] 짜잔9217 21/07/29 9217
428932 [서브컬쳐] 이번 업데이트에 수정된 마야노 탑건 [5] Zephiris8818 21/07/29 8818
428931 [기타] 어이~ 나랑 속도 대결 한번 해볼까? [30] 묻고 더블로 가!11638 21/07/29 11638
428930 [동물&귀욤] 드물게 톰이 제리에게 승리한 에피소드.gif [3] 동굴곰8664 21/07/29 8664
428929 [방송] 요즘 잼민이들에게 인기인 노래 [10] 자리끼13873 21/07/29 13873
428928 [유머] 놀이기구를 타다가 갈매기와 부딪힌 소녀 [11] 손금불산입11593 21/07/29 11593
428927 [기타] 충격과 공포의 2040년도 중국해군 전력표 [61] 크레토스15308 21/07/29 15308
428926 [기타] 일본 사형수의 마지막 1시간 [49] 쎌라비16569 21/07/29 16569
428925 [기타] 현역 시피유 순수 1기가클럭 실력도르.. [34] Lord Be Goja11381 21/07/29 11381
428924 [유머]  분실지갑 주워서 사례금 요구로 딜하는 사람 [18] Aqours12406 21/07/29 12406
428923 [기타] 요즘 대구 날씨 근황 [38] 쎌라비14064 21/07/29 14064
428921 [기타] 이말년 킹받게 하는 침착맨 딸.jpg [13] insane12831 21/07/29 12831
428920 [기타] 국제화 [20] 퀀텀리프11081 21/07/29 11081
428919 [기타] 볼 때마다 어이없어서 웃긴 만화 [24] 묻고 더블로 가!11766 21/07/29 11766
428918 [기타] 개종의 이유 [7] 판을흔들어라9597 21/07/29 959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