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강제동원 문제 등 과거사에 직접 사과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대해 "사과를 한 번 더 받는 것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해당 관계자는 "기시다 총리와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도 역사
인식에 관한 역대 정부 담화를 계승한다고 했지 않나. 역대 담화 중에는 무라야마 담화부터 시작해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도 있다"며 "총체적 담화의 내용과 역사인식을 계승한다고 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한편 이날 회담 직후 기시다 총리가 윤 대통령에 한일 위안부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요청했다고 일본 교도통신이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에 대한 사실 여부를 확인해달라는 기자의 질문에 대통령실 관계자는 "오늘 논의 주제는 미래지향적으로 한일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부분 집중됐다"며 즉답을 피했다.
============================================
무엇을 얻은 것입니까? 이런 저자세로 일본에게 숙이고 둘어가는 이유가 뭔가요. 대통령실은 이미 뉴라이트계열 식민지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잠식당했나요.
역대 담화에는 독도영유권 주장 담화도 있고 역사 왜곡 담화도 있습니다. 그런 담화도 계승해도 좋다는 것인가요?
일본 교과서는 매해 극우들의 주장으로 역사가 왜곡되고 있습니다. 역대 최악의 친일정권입니다.
대체 뭘 하겠다는 건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