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3/01/29 11:48:51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998033083
Subject [일반] <현기증(1958)> - 매혹적 명작.

저는 예전 영화를 볼 때면, 솔직히 공부하는 마음으로 보곤 합니다. 그러니까, 항상 그래도 이걸 봐야지라는 마음으로 보고 흥미롭게 끝나는 패턴이 반복되는 편이죠. <블레이드 러너>가 그랬고, <위대한 독재자>가 그랬습니다. 그 외에도 '봐야겠다'고 마음먹은 오래된, 소위 명작이라 불리는 영화들은 대체로 그랬습니다.


그런 점에서 <현기증>은 조금 다른 맥락에 있었습니다. 그러니까, '영화 역사상 가장 유명한 영화'라는 측면이나, 혹은 제가 처음으로! 본 히치콕의 영화라는 측면에서 저는 일종의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면서도 독특하게도 별 다른 정보 없이 접한 영화이기도 했습니다. 보려고 마음 먹은 것 치고는 꽤 가벼운 마음으로 접했다고나 할까요.


그런 점에서 현기증은, 아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기증은 너무나도 매력적이고 혼란스러운 영화네요. 어떻게 표현해야할까요. 스릴러와 심리극, 혼란과 매혹이 합쳐진 이 영화는 너무나도 매력적이네요.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애니메이션과 시각효과까지 영화의 모든 것들이 매력적으로, 그리고 잘 짜여진 느낌이 드네요. 저 유명한 '트랙 아웃/줌 인' 기법을 제외하고서라도 색감, 구조 등등 많은 부분에서 화질 빼고 이 영화가 1958년 영화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감각적이고 매력적입니다.


이 영화는 상당히 많은 부분을 '심리극'에 할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매들린의 정신 상태에서 시작해서 주인공인 퍼거슨의 정신 상태로 옮겨가는 구조를 택하고 있고, 그 사이에 많은 이야기들을 끼워넣었습니다. 전에 히치콕이 폭탄과 포커 테이블의 이야기를 했다고 전해지는 데,(검색해보니 트뤼포와의 대담집이군요, 나무위키 '알프레드 히치콕' 문서 참조.) 그 일화에서 언급한 '서스펜스'를 만들어내는 히치콕의 방식이 잘 드러난 플롯 형태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러니까, 먼저 무언가를 깔아놓고, 그 상황이 언제 드러날지, 언제 폭로될지를 조절함으로써 영화를 더 밀도 있게 만드는 타이밍을 잘 알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언제나 느끼는 거지만, 어떤 영화들은 어느 시기에서도 그 빛을 잃지 않는 영화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연아
23/01/29 12:40
수정 아이콘
사실 현기증은 꽤나 중요한 측면에서 히치콕답지 않은 영화입니다.
그래서 더 재밌는 측면이 있죠

현기증 재밌으셨으면 오명 추천해봅니다
잉그리드버그만의 우아한 자태만으로도 볼 가치가 있는데
역시나 재밌으면서도 대단한 명작입니다
aDayInTheLife
23/01/29 12:56
수정 아이콘
저는 다음으로 <이창>과 <오명> 중에 고민 중이네요 흐흐흐
내꿈은세계정복
23/01/29 12:40
수정 아이콘
명감독으로 추앙받는 감독들 중 작품을 즐길 수 있는 문턱이 가장 낮은 게 히치콕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연아
23/01/29 12:44
수정 아이콘
히치콕이 현대 스릴러의 문법을 창시하고 거의 완성단계까지 갖다 놓으신 분이라
재밌는 작품들이 많죠 흐흐
aDayInTheLife
23/01/29 12:57
수정 아이콘
히치콕은 확실히 당대에도 ‘대중적’ 영화를 만들었던 분이라 그럴 수도 있겠다 싶긴 하네요.
호랑이기운
23/01/29 13:13
수정 아이콘
대중들에게 더 알려진 싸이코보다 현기증이 훨씬 좋긴했습니다 개인적으로
aDayInTheLife
23/01/29 13:18
수정 아이콘
싸이코도 봐야되는데요.. 흐흐
23/01/29 13:59
수정 아이콘
숱한 명감독들이 있지만 그래도 그분들 작품의 대다수는 그들이 속했던 시대적 배경이나 사조를 고찰하면 통시적 공시적 좌표를 파악해서 접근이 가능한데, 히치콕과 스탠리 큐브릭 두 감독은 정말 미래에서 온 시간여행자들 같습니다. 게다가 히치콕은 큐브릭처럼 과작도 아닌 왕성한 생산력까지 갖췄죠.
aDayInTheLife
23/01/29 14:09
수정 아이콘
큐브릭옹은 조금 더 열심히 일해주셨더라면ㅠㅠ
스마스마
23/01/29 14:22
수정 아이콘
TV에 대항하기 위한 초대작들이 넘실대던 시대의 감독이라,
유명세와는 별도로, 당대의 평가로는 ‘시덥지 않은 영화’나 만들어 내는 사람에 불과한 분이었죠.

누벨바그 시대의 총아들이 발견하고 추앙하지 않았더라면 더 늦게 재평가 받았을지도 모르는…

트뤼포와의 대담은 정말 재미나게 읽은 기억이 나요. 요새도 판매하는 책인지는 모르겠지만요.

저는 현기증도 좋아하지만,
원씬원컷으로(… 인양 편집한) 작업한 “로프”와
맥거핀이란 단어를 창시해낸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를 정말 재미있게 봤었네요 흐흐
aDayInTheLife
23/01/29 14:27
수정 아이콘
아쉽긴 합니다. 이런 분이 초 대작의 전권을 쥐고 찍는 거도 궁금은 하거든요. 물론 오밀조밀하게 잘 짜여진 영화로써 더 높은 평가를 받는 분이지만.
23/01/29 15:12
수정 아이콘
저는 스릴러를 좋아하진 않지만 예외로 히치콕의 작품들은 좋아하는데, 현기증도 그 중 하나입니다. 히치콕은 뭔가 음산한 스릴러를 매혹적으로 만드는 능력이 있어요. 이창도 그렇죠.
aDayInTheLife
23/01/29 15:31
수정 아이콘
저는 스릴러를 오히려 좋아하는 편이긴 한데 뭔가 ‘아 이게 원조의 맛이구나!’ 싶더라구요. 스릴러 장인의 손맛이 느껴지는 작품이었습니다
드랍쉽도 잡는 질럿
23/01/29 18:11
수정 아이콘
시대를 초월한 명작 중 하나죠.
다른 분야도 그렇지만 초창기에 기틀을 마련한 무언가를 보면 경탄스럽습니다.
aDayInTheLife
23/01/29 18:24
수정 아이콘
이런 작품은 후세에 아무 생각 없이 접하게 되면 뭐가 대단한지 되묻게 되는 경우도 많은데, 이 영화는 지금도 재밌더라구요.
오직니콜
23/01/29 21:50
수정 아이콘
중딩 방과후 시간에 영어선생님이 서스펜스에 대한 설명을 덧붙여서 보여준 영화가 새 였는데.
어떤 느낌인지 바로 이해되더군여 크크 그후로 새가 살짝 무서워진건 함정
aDayInTheLife
23/01/29 22:10
수정 아이콘
히치콕은 어마무시한 사람인거 같습니다.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896 [정치] 정의연의 회계부정과 1심 판결 벌금형 [293] 유미26288 23/02/11 26288 0
97895 [일반] WBC 일본 대표팀 분석 - 불펜투수 편 [20] 민머리요정31815 23/02/11 31815 15
97894 [일반] 성우 타카하시 리에와 함께 떠나는 이세계 여행(희망편) [13] 이그나티우스12125 23/02/11 12125 5
97893 [일반] 완결웹툰 추천 - 버그 : 스티그마 [23] lasd24114290 23/02/10 14290 9
97892 [정치] ‘곽상도 뇌물’ 무죄에… 중앙지검장, 반부패3부에 “2심 직접 챙겨라” [125] dbq12321587 23/02/10 21587 0
97891 [정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집행유예가 김건희 여사에게 유리한 이례적 판결인 이유 [21] 토루13262 23/02/10 13262 0
97890 [일반] 오늘 저녁 소소한 이야기 [17] 사랑해 Ji9434 23/02/10 9434 22
97889 [정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권오수 유죄…집행유예 [156] SkyClouD20666 23/02/10 20666 0
97888 [일반] WBC 일본 대표팀 분석 - 선발투수 편 2부 [17] 민머리요정31293 23/02/10 31293 17
97887 [일반] 미국 고용은 얼마나 충격적인 것일까?(feat. 마이클버리) [61] 민트초코우유22621 23/02/09 22621 23
97886 [일반] s23 실물 만져보고 구매한 썰 풉니다. [90] 챨스16010 23/02/09 16010 6
97884 [정치] '정의연 후원금 횡령 의혹' 윤미향 의원 벌금 1500만원 선고 [70] 하종화17410 23/02/09 17410 0
97883 [일반] 튀르키예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금 전달 [15] clover10665 23/02/09 10665 90
97882 [정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권오수 징역 2년,집유 3년,벌금 3억원 선고 [113] 하종화20411 23/02/09 20411 0
97881 [일반] 제65회 그래미 어워드 수상자 [16] 김치찌개12672 23/02/09 12672 3
97880 [정치] 병채 아버지 [80] 어강됴리20025 23/02/09 20025 0
97879 [일반] WBC 일본 대표팀 분석 - 선발투수 편 1부 [38] 민머리요정19596 23/02/09 19596 25
97878 [정치] 그래서 조국은 유죄 맞습니까?? [178] 환경미화25473 23/02/08 25473 0
97877 [정치] 내로남불 [62] 김홍기16091 23/02/08 16091 0
97876 [일반] 한국의 미래는 밝습니다. 어두운 전망 아래 숨겨진 힘. [52] 깐부13695 23/02/08 13695 1
97875 [정치] 이상민 탄핵안 가결·직무정지…헌정사 첫 국무위원 탄핵소추 [190] Davi4ever22825 23/02/08 22825 0
97874 [일반] [정보]유게에 돌아온 라이스버거 글을 보고.. [13] Ha.록11611 23/02/08 11611 2
97873 [정치] 곽상도, '아들 화천대유 퇴직금 50억' 뇌물 무죄 [425] SkyClouD30668 23/02/08 30668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