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2/11 00:07:33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952061831
Subject [일반]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 - 현실과 융합하는 판타지.(최대한 노스포)

<판의 미로>는 물론 마케팅의 문제도 있겠지만, 이야기를 따져봤을 때, 이거 흥행할 수 있나란 의문이 다시금 되돌아오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좋은 작품이고, 뛰어난 영화라는 점을 부인할 수 없지만, 말 그대로 현실과 판타지의 영역이 충돌하며 또 서로가 서로의 영역을 침범하는 작품이었거든요. 생각해보면 그렇습니다. 판타지를 표방하는 영화에서 현실과 가상의 세계는 보통 분리되거나 혹은 어반 판타지라는 방식으로 크게 변형되어 사용되곤 합니다. 그런 점에서 <판의 미로>는 두 세계가 충돌하고 갈등하는 작품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그렇기에 결말에 대해서 환각이냐 아니냐의 논쟁이 벌어질 수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에 비해 <기예르모 델토로의 피노키오>는 현실과 판타지의 경계선에서 두 세계관을 융합하는 모양새를 띄고 있습니다. 꽤 현실적인 배경과 꽤 현실적인 (혹은 실존인물인) 인물들을 데려다 놓고 <피노키오>를 요리한 모양새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무난하고, 좋지만, 어떤 점에서 조금은 아쉬움이라고 해야할까요. 부족함을 느꼈습니다. '기예르모 델 토로'라는 이름이 걸려있으면 여러분들은 어떤 걸 기대하시나요? 다채로운 크리쳐, 독특한 세계관, 약간은 음울한 성인용 동화와 같은 키워드가 떠오르실 겁니다. 그리고, 이 영화에서는 그러한 모습이 잘 드러나진 않습니다.


물론, 감독의 이름값에 비해 <헬보이>는 1, 2편 모두 좀 따뜻한 편의 영화였고, <퍼시픽림>은 열혈로봇물에 거대괴수물을 섞은 영화였죠. 충분히 다른 이야기, 다른 세계관을 그려낼 수 있는 감독이지만, 감독과 피노키오라는 소재를 가지고 예상한 것과는 조금 핀트가 어긋난 느낌을 지울 수 없습니다. 물론 중간 중간 이 감독이 여전하구나, 싶은 생각이 드는 장면도 있습니다만, 전반적인 분위기는 그렇게까지 음울한 성인용 동화라기보단 오히려 남녀노... 에 소는 조금은 더 나이가 들면 괜찮은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야기를 조금 더 요약해보자면, 결국 이건 어쩌다 탄생한 크리쳐가 세상과 주변 인물과 어떻게 관계 맺는 지에 대한 이야기라고 생각합니다. 이 메시지는 굉장히 보편적이고 외려 뻔하다. 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을 정도로 정석적으로 다루어져 있습니다. 결국 이 영화에 대해서는 몇 가지 포인트가 감상을 가를 것 같아요. 과연 '기예르모 델 토로'의 잔혹동화라는 문장에 대해서 얼마만큼을 기대하고 왔느냐, 그리고 상대적으로 탄탄하지만 조금은 산만할 수도, 뻔할 수도 있는 이 이야기에 대해서 얼마나 몰입할 수 있느냐가 영화에 대한 감상을 가를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영화를 꽤 좋게 봤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2/11 00:16
수정 아이콘
이름값에 비해 기괴하거나 음울한 느낌은 아니지만 나쁘지 않았다는 것일까요? 셰이프 오브 워터 같은 느낌이라면 좋겠네요.
aDayInTheLife
22/12/11 00:21
수정 아이콘
오히려 꽤 밝은 편일 거 같아요. 필모그래피가 워낙 좀 그래서… 셰이프 오브 워터보단 좀 아쉬운 대신 대중성이 높은 느낌이었습니다.
12년째도피중
22/12/11 02:35
수정 아이콘
판의 미로를 기대하고 보면 안된다는 이야기로군요. 그 점은 아쉽군요. 인생 영화 꼽으라 할 때 열손가락 안에 드는 작품인데.
aDayInTheLife
22/12/11 05:45
수정 아이콘
판의 미로보단 톤도, 방향성도 달라보여요.
22/12/11 17:4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판의 미로는 언더테일이나 원샷 같은 비디오 매체 이전의 '너는 알면서 거짓부렁을 믿어보고 싶었던 적이 없냐?'라고 관객을 다그치는 라소묭적인 메타픽션이라 좋았는데, 셰이프 오브 워터에서도 약간 보였던 그런 요소가 없는 퍼시픽 림 같은 대중대중적인 이야기라면 좀 나중에 보겠군요...

항상 작품과 감독을 논해서 눈높이 맞춰 적어주시는 리뷰 감사하며 보고있습니다
aDayInTheLife
22/12/11 18:19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흐흐흐흐 기예르모 델 토로만큼 판타지와 현실의 간극을 괴롭힌 감독이 있을까 싶습니다. 다만 이번 이야기는 영화가 그러한 간극을 직접적으로 파고드는 영화는 아닌 것 같아요. 좋게 봤지만 지금의 호평 세례까진 아닌 느낌이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468 [일반] 개인적으로 챙겨보는 네이버 웹툰들 [125] 자급률21537 22/12/19 21537 7
97466 [일반] 한 아이의 아빠가될것같습니다. [117] 삭제됨11120 22/12/19 11120 85
97464 [일반] 소아과 의사부족에 대한 개인적인 예측.. [150] lexial20077 22/12/19 20077 13
97463 [일반] 저자 사인회 망한 작가의 소설을 읽어봤습니다... [9] 우주전쟁14524 22/12/18 14524 8
97461 [일반] 12월 FOMC 요약: 파월의 자신감에 확신과 혼란이 가득했던 연설 [25] 김유라17531 22/12/18 17531 29
97460 [일반] (스포) 사이버펑크: 엣지러너 - 간만에 애니 보고 눈물 흘린 후기 [8] 마스터충달11482 22/12/18 11482 15
97459 [일반] [스포] 아바타2와 블랙팬서2의 닮은 점 [34] norrell11960 22/12/18 11960 3
97458 [일반] [팝송] 메간 트레이너 새 앨범 "Takin' It Back" [5] 김치찌개9707 22/12/18 9707 1
97457 [일반] [더러움 주의/뻘글 주의] 겨울철 나를 괴롭히는 것 [9] TAEYEON10246 22/12/17 10246 7
97456 [일반] 설강화와 헌트의 비교 [132] meson16932 22/12/17 16932 7
97455 [일반] 한일관계는 특수한 관계일까? [110] 헤일로13751 22/12/17 13751 4
97454 [일반] [무스포] 아바타 물의 길 - 기술적인 면에 집중한 간단한 리뷰 [27] NSpire CX II10719 22/12/17 10719 2
97453 [일반] 교회 4년 다니고 후기 [117] 드러나다17956 22/12/17 17956 36
97452 [일반] 펜타닐 백신 개발 [43] 당신은누구십니까18493 22/12/17 18493 7
97451 [일반] [번역]KAI FA-50을 서유럽에 판촉하고 싶은 에어버스. [9] 가라한16322 22/12/17 16322 8
97449 [일반] [테크] EU의 USB-C 규제에 이은 배터리 규제 [29] 타츠야15816 22/12/17 15816 2
97448 [일반] 훌륭한 해적 / 영원한것은 없다 [7] 레드빠돌이9473 22/12/16 9473 4
97447 [일반] 망하라고 녹음한 노래가 유일한 히트곡... [17] 우주전쟁18572 22/12/16 18572 13
97445 [일반] 강한 부정은 강한 긍정 [30] kien.14616 22/12/16 14616 5
97443 [일반] 인터넷에서 오용되는 법률용어 몇 가지 [54] 23년 탈퇴예정13971 22/12/16 13971 7
97442 [일반] [부동산] '집값 고점' 작년에 무주택자 103만명 집 샀다 [204] 김건희24134 22/12/16 24134 3
97441 [일반] 일본 1인당 GDP, 올해 대만·내년 한국에 추월당해 [87] 톤업선크림18079 22/12/16 18079 1
97439 [일반] 대전의 107년 역사 유성호텔도 철거된다고 합니다.. [57] 시나브로19703 22/12/15 19703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