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1/23 23:38:27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936639373
Subject [일반] <올빼미> - 실화에 아슬한 픽션 한 스푼.(스포)

<올빼미>의 장르는 사극, 정확하게는 '팩션'이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역사적 사실에 픽션 한 스푼을 덜어 넣었다고 표현 가능한 팩션으로써, <올빼미>는 선을 잘 탔다고 생각이 드네요. 보통 이러한 장르들이 지나치게 소심하게 픽션을 집어넣거나, 혹은 너무 많이 넣어 역사 왜곡 논란을 일으켰다는 걸 생각해보면 적당한 수준에서 잘 배합한 것 같습니다. 이런 점은 <헌트> 내지 (톤은 매우 다르지만) <관상>이 떠오르는데요. 개인적으로 대체 역사물에 가까운 흐름이었던 <헌트> 보다는 <관상>에 가까운 느낌입니다.


<올빼미>의 주된 소재는 소현세자의 죽음과 이를 둘러싼 음모입니다. 유명한 음모론에 여기서 <올빼미>는 시각의 한계를 덧붙였습니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서 꽤 인상적인 장면들이 있긴 하지만 이게 아주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 느낌은 아니긴 해요. 그러니까 감각적인 묘사가 돋보이는 작품은 아닙니다. 대신 등 뒤, 혹은 의심이 자리잡는 공간이 굉장히 중요한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보기보다는 꽤 정적인 스릴러에요. '초반부가 지루하다'는 이야기도 이 점에서 비롯한다고 생각합니다.


영화를 보면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혹은 인상에 남았을 장면은 등 뒤에서 침을 놓는 장면일 겁니다. 누군가에게 등을 내주고 침을 놓게 한다는 것, 그리고 그게 어쩌면 생사를 가를 수 있는 행동이라는 점이 영화 내내 긴장감을 유지합니다. 생각해보면 모든 행동은 등 뒤에서, 혹은 가려진 채로 등장하니까요. 그 점에서 '내가 볼 수 있지만 남은 볼 수 없는 것', 혹은 '남은 볼 수 있지만 내가 볼 수 없는 것'을 그려내는 방식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다만 조금 아쉬운 부분은 물론 역사적 사실에 픽션을 넣은 것이지만, 결말부는 조금 더 담백해도 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픽션과 역사적 사실 사이에서 적당히 줄타기를 했지만, 약간의 사이다 엔딩을 위해 조금 선을 넘은 느낌이라고 해야할까요. 차근 차근 잘 쌓아올렸고 잘 터뜨렸지만 좀 과한 마무리가 아쉬웠습니다.


저에게 이 영화는 개인적으로 류준열 배우의 재발견이네요. 영화의 중반까지 독무대에 가까운 자리에 후반부에도 힘을 잃지 않는 존재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23 23:53
수정 아이콘
재밌게 봤습니다
마지막에 k-통쾌함 느낌이 났지만 전체적으로 무난하게 극장에서 즐길만한 영화가 아니었나싶네요
aDayInTheLife
22/11/23 23:53
수정 아이콘
네 사이다 엔딩이 조금 아쉽긴 했지만 괜찮은 작품이라고 생각해요.
뜨거운눈물
22/11/24 05:38
수정 아이콘
유투브에서 예고편 및 요약본 봤는데 오랜만에 보고싶은 영화가 나왔네요
유해진이 왕역할이라니 크크크
aDayInTheLife
22/11/24 06:04
수정 아이콘
유해진 배우의 왕은 무난했던거 같아요.
친구복이많은사람
22/11/24 10:23
수정 아이콘
초반부는 약간 지루? 심심하게 보다가 중반부터는 시간가는줄 모르고 봤습니다...쫄깃하더군요
마지막이 조금 아쉽긴했는데 오랜만에 사극영화 재밌게 봤습니다
aDayInTheLife
22/11/24 12:42
수정 아이콘
중간부터의 밀도가 좋더라구요.
22/11/24 11:35
수정 아이콘
저도 마지막이 조금 아쉬웠지만, 전체적으로는 재미있게 봤습니다.

추가로, 영화 전체를 관통하면서도 기억에 남을만한 대사가 하나쯤 있었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보고도 못 본 척~'은 너무 장황하고...
'제가 보았습니다'를 쳐주기에는 좀 약하고...

'내가 왕이 될 상인가' 같은 대사가 쉽게 나오는 건 아니겠죠.
aDayInTheLife
22/11/24 12:43
수정 아이콘
대사가 아주 찰지진 않더라구요. 이런 극에서는 대사의 맛이 중요한데 오히려 안들린 대사도 많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350 [일반] <그래비티> - (스포)두고 온 것과 붙잡아야 하는 것, 결국 모든 것은 중력의 문제. [26] aDayInTheLife9057 22/12/08 9057 5
97349 [일반] 나는 서울로 오고 싶지 않았어 [32] 토우15109 22/12/08 15109 19
97348 [일반] 예수천국 불신지옥은 성경적인가. [140] Taima18830 22/12/07 18830 15
97347 [정치] 독일서 쿠데타를 모의한 극우 및 전직 군 인사 집단 체포 [33] 아롱이다롱이18809 22/12/07 18809 0
97346 [일반] 자녀 대학 전공을 어떻게 선택하게 해야할까요? [116] 퀘이샤31302 22/12/07 31302 9
97345 [일반] 현금사용 선택권이 필요해진 시대 [101] 及時雨16026 22/12/07 16026 18
97344 [일반] 귀족의 품격 [51] lexicon17051 22/12/07 17051 22
97343 [일반] 글쓰기 버튼을 가볍게 [63] 아프로디지아12167 22/12/07 12167 44
97342 [정치] 유승민 경멸하지만 대선 최종경선 때 유승민 찍은 이유 [100] darkhero24251 22/12/07 24251 0
97341 [일반] 아, 일기 그렇게 쓰는거 아닌데 [26] Fig.111927 22/12/07 11927 21
97340 [일반] 책상 위에 미니 꽃밭과 딸기밭 만들기 [16] 가라한10614 22/12/06 10614 12
97339 [일반] 커뮤니티 분석 글들의 한계 [68] kien.19024 22/12/06 19024 24
97338 [일반] 고품격 배우들의 느와르 수리남 감상문 [14] 원장11153 22/12/06 11153 1
97337 [정치] 한덕수 김앤장 전관예우가 문제 되는 이유 [58] darkhero19886 22/12/06 19886 0
97336 [정치] 한국에 와서 고생이 많은 마이클샌델 [76] darkhero20014 22/12/06 20014 0
97335 [정치] 윤 대통령, 청와대 영빈관,상춘재 재활용 [86] 크레토스17954 22/12/06 17954 0
97334 [일반] 출산율 제고를 위한 공동직장어린이집 확충 [58] 퀘이샤15178 22/12/06 15178 38
97333 [일반] 노동권이 한국사회를 말아먹는 메커니즘(feat 출산율) [148] darkhero21008 22/12/06 21008 36
97332 [정치] 국정원 ‘신원조사’ 보안업무규정 시행규칙 개정 [117] SkyClouD17867 22/12/06 17867 0
97331 [일반] 지코의 새삥을 오케스트라로 만들어보았습니다. [2] 포졸작곡가9577 22/12/06 9577 6
97330 [일반] 아라가키 유이와 이시하라 사토미 [34] Valorant15443 22/12/06 15443 2
97329 [일반] '테라·루나 사태' 신현성 전 차이대표 영장 기각 [46] 타츠야19007 22/12/05 19007 0
97328 [일반] 건설현장에서의 노조 문제 [208] 퀘이샤26971 22/12/05 26971 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