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1/01 15:12:52
Name SAS Tony Parker
File #1 874aeac6e0c47c100a2aaa3aeef83c30.jpg (145.3 KB), Download : 99
File #2 d511965d502ea02e3ee99934c2cf6c18.png (614.3 KB), Download : 47
Link #1 https://videocardz.com/newz/geforce-rtx-4080-listed-at-1200-in-us-e1621-in-finland
Subject [일반] RTX 4080이 미국에서 1200달러, 핀란드에서 1621유로 등록




생략
뉴에그는 이제 PNY의 RTX 4080을 1200달러에 보여줌. 가장 빠르고 가장 나은 RTX 4080 모델은 아니나 적어도 미국의 MSRP에 4080이 있을 것임을 확인시켜줌

유럽에서 RTX 4080은 이미 영국에서 엔비디아 MSRP보다 약 180파운드 더 높은 1450파운드에 달하는 가격으로 보인적이 있음 Eurozone에서는 출시 시 비슷한 가격을 볼 수 있으며 가장 저렴한 모델은 MSRP보다 110유로 더  비쌈

유럽 전역에 지사를 두고 있는 대형 소매업체 Proshop은 이제 핀란드의 가격을 유로화로 표시함 핀란드의 공식 엔비디아 파트너이므로 가격은 초기 출시가 아닌 경우 MSRP보다 훨씬 높아서는 안됨

핀란드는 EU(24%)에서 VAT가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이므로 RTX 40 시리즈의 공식 가격은 대부분의 EU 국가보다 높습니다. RTX 4090의 경우 1,999유로이고 RTX 4080의 경우 1,509유로임

가장 저렴한 모델은 1620유로의 Inno3D RTX 4080 X3이며, 다른 모델인 ASUS ROG STRIX OC의 경우 1970유로에 판매됨. 이런 가격이라면 RTX 4090이 소매점에 재고가 없고 MSRP에도 없다는 점을 제외하고 50유로만 더 내면 RTX 4090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주장할 수 있음

엔비디아는 공식적으로 11월 16일에 RTX 4080 그래픽 카드를 출시하지만 리뷰가 더 빨리 게시될 것으로 예상해야함

1621유로= 227만 (부가세 거품 참고)
1200달러 = 169만

국내가 190만원대 예상합니다

요약 4080 더럽게 비싸다 90 하급이 나을수도.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1/01 15:17
수정 아이콘
못-사
괴물군
22/11/01 15:28
수정 아이콘
3090 ti 특가로 129만원인가 사서 만족하면서 사용중입니다.

40 시리즈는 여러 통수들이 있기도 하고 나이 들어가면서 새제품 굳이 빨리 영접하기 보다는 다 안정화 되고 세대가 바뀔때 쯤에

살살 바꾸는게 효율적인 거 같아서 먼가 커진거 만큼 가격대로 같이 커지는거 같아서 애고....
키비쳐
22/11/01 15:28
수정 아이콘
안돼 못 사 돌아가
소독용 에탄올
22/11/01 15:34
수정 아이콘
살 사람은 살 테니 그사람한테 확실히 받아가는 한국 전문서적 같은 가격책정이....
22/11/01 15:43
수정 아이콘
1200달러. 한화 170만 원이네요.
1080살 때 54만 원 주고 살 때도 비싸다고 생각했는데 그새 물가가 300% 넘게 올랐군요.
Lord Be Goja
22/11/01 16:00
수정 아이콘
카드잠기는 바람에 풀리기 기다리면서 눈독들이던 최하급 4090이 이소식나오고 하루만에10만원 떡상했습니다
SAS Tony Parker
22/11/01 16:04
수정 아이콘
엌크크크
카드는 어쩌다..
Lord Be Goja
22/11/01 16:11
수정 아이콘
닉네임을바꾸다
22/11/01 16:16
수정 아이콘
고민은 배송만 늦춘다는 진리를 잊으셨군요...
Lord Be Goja
22/11/01 16:11
수정 아이콘
SAS Tony Parker
22/11/01 16:20
수정 아이콘
으엌..
22/11/01 16:05
수정 아이콘
4070 4060은 출시하려면 한참 남았겠죠?
SAS Tony Parker
22/11/01 16:09
수정 아이콘
한참까진 아니고 30 다 털때쯤 되면 슬슬
다크 나이트
22/11/01 17:36
수정 아이콘
이거 3070 그냥 타야하나 40 세대 나오는거 기다려야 하나 되게 고민되네요. 뭐 하이엔드급 은 바라지도 않고 적당한 27인치 qhd 옵션 타협 정도로 넘어가고 싶은데...
Lord Be Goja
22/11/01 17:42
수정 아이콘
https://gigglehd.com/gg/bbs/13182456

4090 사기 힘들어 죽겠네요

이게 다 4080때문입니다..
22/11/01 18:17
수정 아이콘
4080(이라쓰고 4070이라고읽는다) 따리가 무슨 3090 출시가랑 맞짱뜨게 생겼습니다 여러분

세대는 하나 발전했는데 가격은 두단계를 뛰어넘네
SAS Tony Parker
22/11/01 18:45
수정 아이콘
젠슨황: 또 속아주냐?
22/11/01 18:51
수정 아이콘
아이폰도 그렇고 오늘 사는게 제일 싸다
밥돌군
22/11/02 01:55
수정 아이콘
이가격이면 3080 채굴때 비싸게 팔던 가격하고 큰 차이 안나는 것 아닌가요? 황회장 그냥 쓰레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96 [정치] 오늘자 이태원 참사 뉴스들 입니다. [172] Croove26610 22/11/04 26610 0
97095 [정치] 삭제된 보도자료, 삭제된 기사 [1] kurt14670 22/11/04 14670 0
97094 [정치] 문체부,BBC 보도내용 수정 요청 [49] 크레토스20268 22/11/04 20268 0
97093 [정치] [뉴스타파]용산구청 참사 당일 핼러윈 무질서 이용해 구정홍보 준비했다 [45] 체크카드19023 22/11/04 19023 0
97092 [일반] 봉화 광산 사고는 오늘도 진행중입니다 [34] 똥진국12090 22/11/04 12090 13
97091 [정치] 윤석열 대통령, 이태원 참사에 대해 첫 사과, 그리고 천공 논란. [96] 빼사스22153 22/11/04 22153 0
97089 [일반] AMD, 999달러 RX 7900 XTX 및 899달러 RX 7900 XT 발표, 12월 13일 출시 [25] SAS Tony Parker 13536 22/11/04 13536 0
97088 [정치] [갤럽] 尹 긍정평가 29% [63] Croove19776 22/11/04 19776 0
97087 [일반] 울산 최대 재개발사업지 시공사선정이 유찰 되었습니다. [24] 10215581 22/11/04 15581 3
97086 [일반] 우유 '1리터 3000원' 시대 현실화…밀크플레이션 우려 [86] 톤업선크림15963 22/11/04 15963 1
97085 [일반] [바둑] 최정 9단의 이번 삼성화재배 4강 진출이 여류기사 최고 업적인 이유 [100] 물맛이좋아요20222 22/11/04 20222 28
97084 [일반] 큰거 왔다.. 3080ti -> 4090 첫 인상 (스왑) [48] Lord Be Goja19495 22/11/03 19495 20
97083 [일반] 전화번호부와 카카오톡 친구목록을 정리한 이야기 [8] 지대호15613 22/11/03 15613 13
97082 [정치] 박희영 용산구청장 이 사람 문제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네요 [92] 홍철24189 22/11/03 24189 0
97081 [일반] 엉덩이 종기(표피낭종) 수술후기 [51] 기사조련가22270 22/11/03 22270 18
97080 [정치] 천공 발언은 까면서 문재인 발언은 쉴드치는 분들이 계신 것 같은데 [61] 홍철21717 22/11/03 21717 0
97079 [일반]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트지회 투쟁승리 [39] lexicon17920 22/11/03 17920 15
97078 [정치] 윤석열부부 멘토 자처하는 천공, 이태원 참사에 “엄청난 기회” 막말 논란 [158] 삭제됨24138 22/11/03 24138 0
97077 [정치] 경북 봉화 아연광산 사고는 아직 진행중입니다.. [23] 유목민15639 22/11/03 15639 0
97076 [일반] [책소개] 셰일 혁명과 미국 없는 세계 - 파월의 FOMC 발언 즈음에 생각난 책 [30] 헤세드8313844 22/11/03 13844 7
97075 [정치] 대통령실과 참사가 일어난 골목과의 거리 1.5km [70] kurt22849 22/11/03 22849 0
97074 [일반] 앞으로는 전세계가 버블경제 터진 직후 일본처럼 될듯합니다 [59] 보리야밥먹자20672 22/11/03 20672 1
97073 [일반] 11월 FOMC 요약: 설레발 치지마라 [60] 김유라19034 22/11/03 19034 2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