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10/15 22:16:06
Name 그때가언제라도
Subject [일반] 요즘 본 영화(스포)
1. 매트릭스

영화, 만화 그래도 많이 본 편인데 이제서야 보내요.

매트릭스 하면 총알 슬로우로 피하는 그 장면이 널리 알려졌을텐데

전 매트릭스가 배속x2,3,4,5배인 줄 알았습니다.


매트릭스는 통제로...모든 것...


2,3 평이 안좋아서 볼까 고민중이네요.

공각기동대에서 많이 오마주한 게 보이네요.




2. 공각기동대 1995

sac는 예전에 1쿨 좀 못보고 보다말았었습니다.

sac가 인형사를 만나지않았다면 if~ 군요.


뇌를 제외한 모든 몸의 부품을 기계로 대체할 수 있는 세계..

모든 걸 기계로 대체한다면 그건 그 사람이라 할 수 있는 건가...

주제가 심오하고 어렵네요.


공각기동대 - 매트릭스나 7인의 사무라이 - 황야의 무법자나

일본이 진짜 문화강국이긴하군요.





3. 보일링 포인트

영화 제목 끓는 점 과 같이 어느 레스토랑 크리스마스 날 직원들의 하루를 다룬 이야기입니다.

원 컨티뉴로 모든 장면이 연결됩니다.

1917 같은 건 중간에 촬영으로 속인다던데 이건 진짜 그래 찍었다는군요.

식당쪽 알바 한 번이라도 해봤으면 공감이 많이 갈 거 같습니다.

영국쪽은 모르겠는데 진짜 요식업쪽은 직원들 최저임금도 안주면서 쥐어짜는게 관행이던데...아무도 그 열악한 요식업 현장에 대해 의문을 안느낀다는 요식업자 한탄 영상을 예전에 본적이 있네요.

그 바쁜 와중에 여러 인간 군상을 다루는데 좋은 영화네요.

처음에는 미국 영화인줄 알았는데 돈 단위가 파운드더군요.




4. 차일드 인 타임

베네딕트 컴버배치 주연의 딸을 잃어버린 가정의 이야기입니다.

보통 이런 실종물(?)은 감성팔이가 심한데 그런게 없고

딸을 잃은 후의 이야기가 담담하게 나옵니다.

이동진 평론가 평 처럼 자식을 잃어버린 부모의 이야기라기보다는 상실한 유년성의 이야기...가 좀 맞는 거 같습니다.

주인공 친구 찰스 이야기를 왜 넣었나 싶었는데...


매트릭스, 공각기동대처럼 심오한 주제인 영화만 보다 잔잔한 영화 보니 좋더군요.

베네딕트도 영화 진짜 많이 출연하긴하네요.

고흐 영화 주연같던데...고흐랑 닮긴했더군요.




5. 피그

니콜라스 케이지 주연의 이번엔 돼지를 강탈당한 자연인의 이야기입니다.(크크)

차일드 인 타임과 조금 비슷하네요.

숲에서 송로버섯을 캐면서 살던 롭은 어느날 강도들한테 돼지를 뺏깁니다.

슬픔...상실에 대한 이야기인데

위의 베네딕트도 그렇고 니콜라스도 그렇고 대배우(?)들인데 이런 상업성이 별로 없는 영화도 찍는 거 보면

돈도 돈이지만 배우로서의 뭔가 만족 이런것도 찾는듯하네요.






매트릭스 같은 건 좀 각 잡고 봐야되서 부담이 되고...차일드 인 타임, 보일링 포인트, 피그 같은 영화들이 삶에 더 가깝기도 하고 잔잔하니 개인적으로 더 좋더군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valewalker
22/10/15 23:01
수정 아이콘
저는 매트릭스는 1편이랑 애니메트릭스 단편모음집이 제일 좋았습니다.
프로 약쟁이
22/10/16 15:19
수정 아이콘
영화는 편집의 예술이라던데, 보일링 포인트는 편집이 전혀 필요 없었겠죠? 흐흐
코로나 시국에 영화관에서 연극도 종종 상영했었는데, 배경이 움직이는 연극 보는 느낌 같았습니다.
내용은 보면서 상황이나 인물이 고구마가 많아서 보는 내내 좀 답답했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7027 [일반] OpenSSL, 초고위험도 취약점에 대한 패치 예고 [14] Regentag13539 22/10/31 13539 2
97026 [정치] 이상민 행안부장관 "이태원 참사, 과연 경찰·소방이 원인인지 의문" [156] 빼사스23202 22/10/31 23202 0
97025 [일반] 인도에서 보행자용 다리붕괴 참사…"최소 130명 사망" [16] Croove14913 22/10/31 14913 1
97024 [일반] 러시안 룰렛, 당신의 유산균을 골라봅시다 [77] 똥진국14063 22/10/31 14063 13
97023 [일반] 피로 쓰여진 한국의 안전 규칙 [52] 굄성18319 22/10/31 18319 18
97022 [정치] 사고가 나면 위로와 사고조사는 동시에 하는 것입니다. [103] Vacuum19006 22/10/31 19006 0
97020 [일반] 피로 쓰여지는 안전수칙 [62] 깐프19560 22/10/31 19560 29
97019 [정치] 자유게시판 정치글 대비 일반글 비중 조사 [122] Nacht16705 22/10/31 16705 0
97018 [일반] 상암 하늘공원에 다녀왔습니다. [4] 무한도전의삶12521 22/10/31 12521 20
97017 [정치] 행안부 장관, 이태원 참사에 “경찰 배치로 해결됐을 문제 아냐” [230] Crochen35678 22/10/30 35678 0
97016 [정치] 대통령실 이전에는 비용이 들고, 그에 따른 용산경찰서의 초과근무 [74] kurt20363 22/10/30 20363 0
97015 [일반] 안전에는 비용이 들고, 우리는 납부해야 합니다 [104] 상록일기23724 22/10/30 23724 89
97014 [정치] 교육부차관, 이태원 참사에 "중고생 촛불집회, 필요한 조치 취하라" [41] 크레토스22984 22/10/30 22984 0
97012 [정치] 목숨의 경중이 어디 있을까요...? [94] 쩜삼이17736 22/10/30 17736 0
97011 [일반] 정치글 관련 대국민투표 한번 합시다. [141] 피를마시는새17401 22/10/30 17401 74
97010 [일반] 국가애도기간 선포, 용산구 특별재난지역 선포 예정 등 [53] 동훈20839 22/10/30 20839 2
97009 [정치] 이번 참사는 참.. 여러 의미로 씁쓸하네요. [375] 제트버스터39318 22/10/30 39318 0
97007 [일반] 할로윈 이태원 사망자 149명, 부상 150명 [165] Leeka35591 22/10/30 35591 2
97006 [일반] [팝송] 바지 새 앨범 "Infinite Dream" [2] 김치찌개9538 22/10/30 9538 2
97004 [일반] [단독]10만명 몰린 이태원 ‘핼러윈 파티' 사망 153명 부상자 103명 [511] 카루오스66729 22/10/29 66729 1
97003 [일반] [성경이야기]아비멜렉의 시작과 끝 [11] BK_Zju14077 22/10/29 14077 11
97002 [일반] [스포]서부전선 이상없다가 다시 한번 돌아왔습니다 [4] abc초콜릿14003 22/10/29 14003 9
97001 [일반] <화양연화> - 당신과 내가 사랑했던 순간들.(스포) [6] aDayInTheLife9827 22/10/29 9827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