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9/29 20:27:51
Name 말랑
Subject [일반] 수수께끼! 꽃피는 천하떡잎학교 리뷰(스포주의) (수정됨)
# 천하떡잎학교가 말하고자 하는 건 우정. 청춘. 교육, 인간성. 그것을 풀어나가기 위해 도입한 것은 추리극. 극의 완결을 위해 도입한 것은 스포츠. 그리고 여기에 가족애까지 살짝. 게다가 극장판이 반드시 동반하는 새로운 인물도 소개.

# 똑같이 추리를 주제로 하는 코난도 비슷하긴 한데, 어쨌든 등장인물이 굉장히 많습니다. 낙서왕국이 등장인물을 너무 안써먹어서 문제였다면, 천하떡잎학교는 사람을 다 써먹으려고 해서 문제랄까... 짱구는 못말려 극장판에서 전례없이 관계가 얽혀있는데 별로 좋아보이지 않습니다.

# 이 작품의 개인적 장점은 캐릭터입니다. 떡잎마을 방범대는 아주 만족스럽고 맹구는 이번작에서 급격히 말이 많아졌음에도 어색하지 않네요. 그동안 떡잎마을 방범대 최고작이던 폭풍을 부르는 정글이나 서부의 떡잎마을 방범대에서도 이뤄내지 못한 걸 해냈습니다. 맹구나 유리는 수시로 꿔다놓은 보릿자루행이었는데 이번에는 모두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습니다. 은질주나 유일등 반항기 구석애 캐릭터 조연치고 괜찮았습니다. 정말로 추리물로 보면 별로지만 짱구를 그렇게 보는 사람은 없겠죠. '짱구스러운' 전개라고 생각하면 뭔가 다 납득되는 정도였습니다. 아주 괜찮은 '짱구는 못말려'의 극장판이었습니다.

# 다만 이번에도 막판에 힘빠지는 것은 똑같네요. 어른제국처럼 짱구가 맨몸으로 질주하는 클라이막스를 택했습니다. 근데 여전히 뭔가 힘빠지는 결말인 것은 어쩔 수 없네요. 그리고 작품에서 짱구는 철수에게 절교선언을 받고도 앙금 하나 남아있지 않은 행동을 해왔던지라 철수의 편지나 마라톤을 하는 동기 같은 게 강하게 와닿지 않았습니다. 잃었던 걸 되찾아야 뭔가 극적일텐데 놓았던 적조차 없었으니...

# 디지털 작화 이후 짱구극장판이 다 그렇습니다만 이번 작도 주제의식을 너무 대놓고 드러냅니다. 은유가 하나도 없습니다. 제작진이 하고 싶은 대사를 작중 인물이 토시하나 안 틀리고 그대로 치는 이 스타일이 저는 아주 맘에 들지 않습니다. 애들 보는 만화라기엔 주제가 너무 무겁고 어렵고, 어른들이 즐겁게 보기엔 유치합니다.

# 제가 천하떡잎학교를 본 감상은 '너무 많은 걸 집어넣은 것 같다' 입니다. 그걸 다 보여주려니 은유가 하나도 없고, 짱구 부모님같은 캐릭터가 제작진의 확성기 노릇을 하게 되는 것 같아요. 하지만 캐릭터들이 놓여있는 상황, 그 상황을 풀어내는 전개는 괜찮았습니다. 실질적 승부는 났음에도 계속 달리기를 지속하는 짱구와 철수, 그리고 무승부를 외치는 그 상황도 나름 낭만이라면 낭만이겠지요.

# 만약에 옛날 극장판이었으면 학생들이 마라톤에서 아무도 응원하지 않고 그냥 지켜봤겠죠? 이런 생각하는 나도 늙은건가?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2/12/08 05:09
수정 아이콘
전반적으로 수작은 줄 수 있을거 같은데...
명작이라고 하기에도 수작과 명작 사이에도 주기는 좀 전 애매하더라구요.

짱구라는 배경을 감안해도 추리극이 꽤 진지하게 간 거에 비해 좀 힘이 살짝 빠지기도 했고 영화애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명확한데 제 마음에 잘 와닿지 못했던거 같습니다.
마지막에서 각자 청춘이 뭔지 말하며 달리기를 하는 모습이 좋긴 한데 그게 저에게 청춘에 대한 감동을 느끼며 울린다기 보단 짱구가 달리는거에서 극의 끝을 향에 간다는 전개에 몰입하게 되더라구요.


사람들이 호평하는것만큼 뛰어난 작품이다라고 하면 전 글쎄라 대답하겠지만 그래도 수작은 맞다라고 평해주고 싶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6802 [일반] '우리 집'에서 산다는 것의 행복함 [83] 여수낮바다20590 22/10/06 20590 80
96801 [정치] 법원, 이준석 가처분 기각…정진석 비대위원장 직무집행 효력 인정(링크 수정) [243] 대법관26943 22/10/06 26943 0
96800 [일반] 드디어 애플페이가 11월 30일 (예정?) 에 상륙합니다. [100] Leeka17935 22/10/06 17935 2
96799 [정치] 결국 드론택시가 강남을 못가게 생겼습니다. [65] DownTeamisDown21743 22/10/06 21743 0
96798 [일반] 김정기 화백을 안지 오래되지 않았지만 이 분은 우리나라의 국보였다고 생각합니다. [29] 홍철19367 22/10/05 19367 6
96796 [일반] 김정기 작가 별세. [71] 앓아누워18626 22/10/05 18626 7
96795 [일반] <블레이드 러너> 후기 [45] aDayInTheLife13733 22/10/05 13733 6
96794 [정치] "尹몰랐던 '아나바다 뜻', 준비 자료에 있었다" [86] 베라히22536 22/10/05 22536 0
96793 [정치] 감사원 사무총장이 대통령실 수석이랑 문자를 하다 걸렸습니다. [84] 마빠이26268 22/10/05 26268 0
96792 [일반] 드디어 국내 통신망 문제에 대해 이슈화가 가속화되네요 [36] 가마성15959 22/10/05 15959 0
96791 [정치] 여가부 폐지 →복지부 산하 본부로…정부조직개편안 野에 보고 [81] 바둑아위험해17000 22/10/05 17000 0
96790 [정치] 김동길 명예교수 별세 [42] 츠라빈스카야15967 22/10/05 15967 0
96789 [정치] 윤대통령 전대변인 SNS "가르치려 드느냐’ 화내고 1시간 중 혼자 59분 얘기" [106] 빼사스25441 22/10/05 25441 0
96788 [정치] 여왕조문을 가지못한 이유.. [184] Darkmental27412 22/10/05 27412 0
96786 [일반] 강릉에서 미사일 오발 사고가 난 모양입니다. [46] 20076 22/10/05 20076 0
96785 [일반] [테크히스토리] 너의 마음을 Unlock / 자물쇠의 역사 [10] Fig.153197 22/10/05 53197 11
96784 [정치] 항공우주산업에 과감하게 투자하겠다고 약속했던 윤석열대통령 [140] 베라히26415 22/10/04 26415 0
96783 [정치] 만화 ‘윤석열차’ 논란에… 정부 “노골적 정치색, 엄중 경고” (문체부 공식 트윗 추가) [279] 밥도둑34525 22/10/04 34525 0
96782 [일반] 유튜브는 4K 스트리밍을 프리미엄 가입자로 제한하고, 더 많은 광고를 보여줄 수 있음 [59] SAS Tony Parker 18912 22/10/04 18912 3
96781 [정치] 윤석열 대통령실의 국방부 삥뜯기 [140] Dango24178 22/10/04 24178 0
96780 [일반] 내가 생각하는 사이비 종교의 정의 [35] 깐부12794 22/10/04 12794 2
96779 [일반] 우크라이나 군, 하르키우 주 수복완료 [96] 어강됴리19823 22/10/04 19823 4
96777 [일반] 왠지 낯설지 않은 올해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10] 우주전쟁16461 22/10/03 16461 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