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4/03 10:34:11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봉준호가 선택한 소설 [미키 7] (수정됨)
9781250275035.jpg?w=900

봉준호 감독이 로버트 패틴슨을 주연으로 해서 제작하고 있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는 차기작은 [미키 7]이라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을 쓴 에드워드 애쉬튼은 미국에서도 무명에 가까운 작가라고 합니다. 들리는 말로는 작가가 봉준호 감독에게 아직 출간되기 전의 작품을 건넸고 봉준호 감독이 원고를 읽어보고는 맘에 들어해서 영화제작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작품의 무엇이 봉준호 감독을 사로잡았을 지 궁금해서 저도 직접 작품을 읽어 보았습니다.

작품을 읽으면서 떠올리게 된 사람은 바로 [마션]의 작가 앤디 위어였습니다. 문체나 소설의 전개 방식 등이 앤디 위어의 스타일과 상당히 유사했습니다. 앤디 위어 특유의 유머러스한 그 분위기 역시 에드워드 애쉬튼의 이 작품에서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이 작가만의 필살기랄까, 뭔가 번뜩이는 영감 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일회용 종이컵처럼 한번 쓰고 나면 버리고 새로 찍어내는 복제인간이라는 소재도 그렇게까지 신선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제의식을 깊이 파고 들어가지도 못한 것 같습니다. 진정한 "인간성"이란 무엇인가라고 하는 문제를 그냥 이야기 전개를 위해 소비했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볼 때는 흔한 SF 소설이라고 느껴졌습니다. 믈론 아예 기본기가 부족한 망작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높이 평가를 받을 작품 역시 아닌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그러다 보니 과연 봉준호 감독은 이 작품에서 어떤 특별한 것을 포착해 낸 것인지 궁금해집니다. [설국열차]에서도 그랬듯이 봉 감독이 소설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영상화 하지는 않을 것이고 소재만 취한 후 자신의 스타일대로 각색해서 영화을 만들텐데 과연 영상으로 만들어진 [미키 7]은 소설과 또 얼마나 달라질 지 호기심이 동합니다. 봉 감독이 공략할 만한 지점은 충분히 있다고 보입니다. 확실히 소설보다는 영화가 더 기대가 되어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2/04/03 10:58
수정 아이콘
옥자나 설국열차를 생각하면 이것도 평작 정도 되지 않을까 마 그런 느낌이..
로메로
22/04/03 14:13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봉준호 감독이 영어를 아예 못하지는 않아도 원어민처럼 하진 못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원고를 받을때 번역을 해서 받는걸까요?
우주전쟁
22/04/03 14:36
수정 아이콘
말하는 건 조금 어려워도 독해는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요? 저도 뭐 읽었는데요...;;
기사조련가
22/04/04 11:12
수정 아이콘
독해는 쉬워요 특히 특정 장르를 좋아하면 그 장르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가 있거든요.
22/04/03 21:24
수정 아이콘
특별하고 번뜩이는것은 봉감독님이 추가해주면될것같습니다 크크
열혈둥이
22/04/04 08:44
수정 아이콘
그리고 그 특별하고 번뜩이는 연기는 송강호한테 [해줘]
나혼자만레벨업
22/04/04 00:32
수정 아이콘
연출 스타일이 해외 배우들의 느낌과 궁합이 잘 안맞으시는 거 같아서 살짝 걱정이네요.
55만루홈런
22/04/04 00:43
수정 아이콘
제작만 하는 줄 알았는데 연출까지 하는건가 보네요 솔직히 봉준호는 딱 기생충,마더처럼 한국 배우와 현대극? 찍는게 베스트라 보고 sf..는 괴물이 피크고 설국열차랑 옥자는 걍 소소했던거 보면 그래도 봉준호라 망까진 아니지만 절대 마더나 기생충급은 아닐것 같네요 크크 괴물급만 나와도 대박이긴 한데...

결론은 그래도 봉준호라 기대하지만 외국자본쓴 봉준호는 생각만큼 믿음은...
닉언급금지
22/04/04 13:21
수정 아이콘
이영도 씨 소설 중에 아들을 실수로 죽인 우주선의 선장이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죽이는 소설이 있었지요.
소재만 보고 딱 떠오른 소설은 이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21 [일반] 중국 네 이놈!!! [19] 이러다가는다죽어9908 22/04/14 9908 13
95420 [일반] [우크라이나 관련] 어? 그거 우리나라 비밀인데 어떻게 아셨죠? [61] 일신15090 22/04/14 15090 2
95419 [일반] [일상글] 게임을 못해도 괜찮아. 육아가 있으니까. [50] Hammuzzi9649 22/04/14 9649 67
95418 [일반] 버독.. 간지 그 자체의 이름 (feat 드래곤볼) 스포도 많아요 [26] seotaiji9648 22/04/14 9648 1
95416 [일반] 만나이의 진정한 정착은 얼마나 걸릴까? [110] 나따12155 22/04/13 12155 3
95415 [일반] 새벽녘의 어느 편의점 [15] 초모완10022 22/04/13 10022 40
95414 [일반]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 당황스러운 속편. [41] aDayInTheLife9711 22/04/13 9711 0
95413 [일반] 가깝고도 먼 나라 일본, 여행 가고 싶을때 보는 유튜브 채널 추천 [23] 랜슬롯13670 22/04/13 13670 3
95412 [일반] 파이브 스타 스토리 16권. 나가노 마모루 이 인간이 미쳤나 [14] 드라고나12975 22/04/12 12975 1
95411 [일반] 러시아 ICBM과 정의의 편이냐? 이익의 편이냐? [86] 깐부13500 22/04/12 13500 6
95410 [일반] 나는 소시오패스인가 [19] 나쁜부동산10935 22/04/12 10935 8
95409 [일반] 지갑을 분실하고 되찾은 이야기(1편) [86] Croove31687 22/04/11 31687 15
95408 [일반] [테크 히스토리] 기괴한 세탁기의 세계.. [56] Fig.1129610 22/04/11 129610 60
95406 [일반] 종교 개혁과 관련 시간순 정리. 영국국교회, 루터, 칼뱅, 로욜라. [7] 12년째도피중9304 22/04/11 9304 2
95405 [일반] 이때까지 모니터 선택기 및 참고기 [117] 마트과자14146 22/04/11 14146 8
95404 [일반] [성경이야기]이스라엘 땅 분배 2탄 - 청약의 피해자 [10] BK_Zju11562 22/04/10 11562 18
95402 [일반] 방바닥에서 맨손으로 검사키트 조립…작업장엔 개·고양이 [7] 찬공기13494 22/04/10 13494 1
95401 [일반] 4월 10일의 남부순환로 [16] giants8844 22/04/10 8844 14
95400 [일반] 어쩌면 내 인생에 마지막이 될지도 모르는 글 [62] 느조스21667 22/04/10 21667 6
95399 [일반] 『1917』에서 인상깊었던 장면들 [7] 라울리스타7522 22/04/10 7522 5
95398 [일반] 지갑 절도범이 잡혔습니다. [16] CoMbI COLa9720 22/04/10 9720 15
95397 [일반] 요즘 본 영화 감상(스포) [1] 그때가언제라도5232 22/04/10 5232 0
95396 [일반] 40년 트렌드라인을 뚫어버린 미국 10년물 [48] 기다리다13691 22/04/10 13691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