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4/03 10:34:11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봉준호가 선택한 소설 [미키 7] (수정됨)
9781250275035.jpg?w=900

봉준호 감독이 로버트 패틴슨을 주연으로 해서 제작하고 있다고 해서 화제가 되고 있는 차기작은 [미키 7]이라는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작품을 쓴 에드워드 애쉬튼은 미국에서도 무명에 가까운 작가라고 합니다. 들리는 말로는 작가가 봉준호 감독에게 아직 출간되기 전의 작품을 건넸고 봉준호 감독이 원고를 읽어보고는 맘에 들어해서 영화제작으로 이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 작품의 무엇이 봉준호 감독을 사로잡았을 지 궁금해서 저도 직접 작품을 읽어 보았습니다.

작품을 읽으면서 떠올리게 된 사람은 바로 [마션]의 작가 앤디 위어였습니다. 문체나 소설의 전개 방식 등이 앤디 위어의 스타일과 상당히 유사했습니다. 앤디 위어 특유의 유머러스한 그 분위기 역시 에드워드 애쉬튼의 이 작품에서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이 작가만의 필살기랄까, 뭔가 번뜩이는 영감 같은 것은 없었습니다. 일회용 종이컵처럼 한번 쓰고 나면 버리고 새로 찍어내는 복제인간이라는 소재도 그렇게까지 신선하다고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제의식을 깊이 파고 들어가지도 못한 것 같습니다. 진정한 "인간성"이란 무엇인가라고 하는 문제를 그냥 이야기 전개를 위해 소비했다고 생각합니다. 결론적으로 제가 볼 때는 흔한 SF 소설이라고 느껴졌습니다. 믈론 아예 기본기가 부족한 망작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높이 평가를 받을 작품 역시 아닌 것 같다는 느낌입니다.

그러다 보니 과연 봉준호 감독은 이 작품에서 어떤 특별한 것을 포착해 낸 것인지 궁금해집니다. [설국열차]에서도 그랬듯이 봉 감독이 소설의 내용을 그대로 따라가면서 영상화 하지는 않을 것이고 소재만 취한 후 자신의 스타일대로 각색해서 영화을 만들텐데 과연 영상으로 만들어진 [미키 7]은 소설과 또 얼마나 달라질 지 호기심이 동합니다. 봉 감독이 공략할 만한 지점은 충분히 있다고 보입니다. 확실히 소설보다는 영화가 더 기대가 되어지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실제상황입니다
22/04/03 10:58
수정 아이콘
옥자나 설국열차를 생각하면 이것도 평작 정도 되지 않을까 마 그런 느낌이..
로메로
22/04/03 14:13
수정 아이콘
궁금한게 봉준호 감독이 영어를 아예 못하지는 않아도 원어민처럼 하진 못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원고를 받을때 번역을 해서 받는걸까요?
우주전쟁
22/04/03 14:36
수정 아이콘
말하는 건 조금 어려워도 독해는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요? 저도 뭐 읽었는데요...;;
기사조련가
22/04/04 11:12
수정 아이콘
독해는 쉬워요 특히 특정 장르를 좋아하면 그 장르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가 있거든요.
22/04/03 21:24
수정 아이콘
특별하고 번뜩이는것은 봉감독님이 추가해주면될것같습니다 크크
열혈둥이
22/04/04 08:44
수정 아이콘
그리고 그 특별하고 번뜩이는 연기는 송강호한테 [해줘]
나혼자만레벨업
22/04/04 00:32
수정 아이콘
연출 스타일이 해외 배우들의 느낌과 궁합이 잘 안맞으시는 거 같아서 살짝 걱정이네요.
55만루홈런
22/04/04 00:43
수정 아이콘
제작만 하는 줄 알았는데 연출까지 하는건가 보네요 솔직히 봉준호는 딱 기생충,마더처럼 한국 배우와 현대극? 찍는게 베스트라 보고 sf..는 괴물이 피크고 설국열차랑 옥자는 걍 소소했던거 보면 그래도 봉준호라 망까진 아니지만 절대 마더나 기생충급은 아닐것 같네요 크크 괴물급만 나와도 대박이긴 한데...

결론은 그래도 봉준호라 기대하지만 외국자본쓴 봉준호는 생각만큼 믿음은...
닉언급금지
22/04/04 13:21
수정 아이콘
이영도 씨 소설 중에 아들을 실수로 죽인 우주선의 선장이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죽이는 소설이 있었지요.
소재만 보고 딱 떠오른 소설은 이거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461 [일반] Razer Anzu 스마트 글래스 구입 후기 [40] speechless13572 22/04/21 13572 9
95458 [일반] [성경이야기]다볼산 전투-1 [17] BK_Zju13647 22/04/20 13647 19
95457 [일반] (스크롤 압박 주의) 이효리 헌정사 (부제 : 어쩌다보니 '서울 체크인' 감상평 쓰다가...) [73] 마음속의빛36154 22/04/19 36154 25
95455 [일반] 지역별 소득순위 변동 근황..jpg [38] 버들소리19289 22/04/19 19289 0
95454 [일반] 나무위키에 내 댓글이? -철저하게 검증하고 댓글을 달자- [31] 깃털달린뱀13157 22/04/18 13157 11
95453 [일반] 인생 첫 소개팅이 끝났습니다. [29] 삭제됨12473 22/04/18 12473 18
95452 [일반] [테크 히스토리] 커피 부심이 있는 이탈리아인 아내를 두면 생기는 일 / 캡슐커피의 역사 [37] Fig.1111698 22/04/18 111698 42
95451 [일반] 갑과 을의 연애 [11] 저글링앞다리11521 22/04/18 11521 22
95450 [일반] 최악의 중학교에 다녔던 기억(유게 목동 학군 글 관련) [153] 귀여운 고양이21250 22/04/18 21250 18
95449 [일반] 일본에서 여고생 성적 대상화 만화광고로 난리가 났습니다. [136] 데브레첸22454 22/04/18 22454 3
95447 [일반] 『창조하는 뇌』창조가 막연한 사람들을 위한 동기부여 [12] 라울리스타11160 22/04/17 11160 15
95446 [일반] 주식에 관한 잡썰(나스닥 버블? 배당주? 달러?) [21] 난할수있다8681 22/04/17 8681 2
95445 [일반] 소프트 드러그는 합법화, 비범죄화되어야 하는가? [78] 노익장12440 22/04/17 12440 5
95444 [일반] 인터넷 커뮤니티 어그로의 74%는 1%의 사람들에 의해 일어난다. [46] 14337 22/04/17 14337 21
95442 [일반] 주식으로 사회,경제 공부하기(이번주~다음주) [26] SAS Tony Parker 9764 22/04/17 9764 2
95440 [일반] 둔촌주공 공사비 증액 갈등으로 재건축 공사 전면 중단 [88] 유랑16091 22/04/17 16091 1
95439 [일반] [팝송] 찰리 XCX 새 앨범 "Crash" [2] 김치찌개5360 22/04/17 5360 2
95438 [일반] 올해 벚꽃은 늦게 피고 일찍 진거 같습니다.(짤 주의) [17] 판을흔들어라9102 22/04/16 9102 4
95435 [일반] [속보] 가평 계곡 살인사건 용의자 이은해·조현수 일산서 체포 [37] 로즈마리15226 22/04/16 15226 2
95434 [일반] 느려진 컴퓨터 대처하기(초보분들을 위함) [19] SAS Tony Parker 12254 22/04/16 12254 4
95433 [일반] 코로나19 음압 병동 간호사의 소소한 이야기 [67] 청보랏빛 영혼 s8619 22/04/16 8619 106
95432 [일반] 유게 비빔당면글 보고 쓰는 부산행 이야기 [13] seotaiji7351 22/04/16 7351 7
95431 [일반] 배철수의 음악캠프 30주년 특별기획 - 배캠이 사랑한 음악 100(6) [3] 김치찌개6994 22/04/16 6994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