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2/03/15 02:41:36
Name aDayInTheLife
Link #1 https://blog.naver.com/supremee13/222672877555
Subject [일반] 책 후기 - <비밀정보기관의 역사: 파라오부터 NSA까지>

그러니까, 스파이, 내지 비밀정보기관이라는 것은 언제나 창작자를, 그리고 그 소비자들을 자극하는 소재 중 하나입니다. 생각해보면 슈퍼 스파이 영화는 매년, 매달 나오는 셈이라고 해도 되니까요.


제가 이 책을 고르게 된 것은 말 그래도 '비밀정보기관에 대한 역사서'라고 이해하고 표지만 보고 덜컥 구입했습니다. 하지만 정확하게 책을 고치자면 '비밀정보기관과 그 사용자들에 대한 이야기'라고 해야할 것 같네요. 책은 고대시절부터 현대까지의 첩보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오히려 흥미보다는 꽤나 학술적인 내용이 가득한 책이라고 해도 될 것 같아요.


저자는 첩보 활동을 갈래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눠 보는 것 같습니다. 첫 번째가 사회의 안정을 위한 동향 파악, 그리고 두 번째가 흔히 생각하는 전쟁과 냉전 시대에 벌어지는 첩보전으로요. 이 중, 사회의 안정을 위한 동향 파악 파트가 크게 보면 전반부, 그리고 현대로 넘어오면 전쟁과 군사적 의미로써의 비밀정보기관의 후반부로 나누어 볼 수 있겠네요.


책의 들어가는 말과 에필로그를 장식하는 것은 프리즘 폭로 사건으로 유명한 에드워드 스노든 사건입니다. 이에 대해 저자는 약간은, 어쩔 수 없지 않느냐, 혹은, 그걸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있느냐.라는 식으로 이야기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후자에 어느 정도 공감이 갑니다. 저는 지금 이 글을 네이버 블로그와 제가 다니는 커뮤니티에 올리고 있고, 제가 쓴 글, 댓글, 올린 사진들을 종합한다면 저라는 사람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정보만 있다면 특정하기 쉬울 것 같거든요.


이 책은 그닥 드라마틱하진 않습니다. 첩보전의 역사, 사례 위주를 들고 있고, 꽤나 유명한 사건들, 예를 들면 2차 세계 대전 중 벌어진 에니그마와 해독, 혹은 미드웨이를 둘러싼 미군의 밑장빼기 사건 등등을 꽤 건조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책은 흥미 위주의 책이라기보단 오히려 학술적 느낌이 물씬 풍겨오기도 합니다.


에필로그를 읽으면서 든 생각은 이상하게도 그래픽 노블 <왓치맨>이었습니다. '누가 감시자들을 감시할 것인가?' 그리고 하나의 질문을 더 해보자면, '우리의 위정자들은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는가?' 일 것 같습니다. 특히나,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의 전쟁 소식을 들으면서,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보전이 벌어지는 상황 속에서, 정보기관들은 무슨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디까지를 알고 있는 것인지, 우리의 정치인들은 이 상황 속에서 정확하고 올바른 판단을 제때 내릴 수 있는지 고민하게 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사이퍼
22/03/15 09:45
수정 아이콘
오 재밌어보이네요 e북도 있으니 통학길에 읽어야 겠네요
aDayInTheLife
22/03/15 10:24
수정 아이콘
재밌게 읽으시길! (저는 안읽혀서 쫌 오래 쥐고 있던게 함정..)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5326 [일반] [테크 히스토리] 결국 애플이 다 이기는 이어폰의 역사 [41] Fig.1110269 22/03/29 110269 19
95325 [일반] 전세계 COVID-19 사망률 수치(WHO 기준) [54] 톤업선크림11238 22/03/29 11238 15
95324 [일반] 망글로 써 보는 게임회사 경험담(1) [34] 공염불12290 22/03/29 12290 38
95323 [일반] [우크라이나 전쟁] 전쟁관련 보도할때는 보안관련 상식은 지킵시다. [48] giants11850 22/03/29 11850 14
95322 [일반] 요즘 시대는 연애말고 즐길게 많다는 말이 있죠 [58] 챗셔아이13026 22/03/29 13026 2
95321 [일반] 겨울 산행 마무리 [6] 영혼의공원5802 22/03/29 5802 5
95320 [일반] 만두 [10] 녹용젤리5635 22/03/29 5635 23
95319 [일반] 당신이 불러주는 나의 이름 [35] 사랑해 Ji9280 22/03/28 9280 76
95318 [일반] 제 94회 아카데미 시상식 결과 [80] Rorschach20104 22/03/28 20104 6
95317 [일반] 본격 어이없는 해선문학: 숏충이 왕국에서는 FOMC 전후로 무슨말이 오갔을까? [53] 기다리다14092 22/03/27 14092 4
95316 [일반] 뒤늦은 파판7리메이크..별로 스포하고싶지도 않음. [54] PLANTERS12547 22/03/27 12547 1
95315 [일반] 편의점 샛별이 골때리는 드라마네요 [17] seotaiji16047 22/03/27 16047 1
95314 [일반] 같은 소대내에 있었던 관심병사 후임이야기 [35] 아스라이13225 22/03/27 13225 5
95312 [일반] 늙어감의 괴로움과 두려움 [62] 노익장13830 22/03/26 13830 7
95311 [일반] 러시아가 사실상 우크라이나 다음 타켓(공격)으로 지정한 국가 명단 [64] 아롱이다롱이17424 22/03/26 17424 0
95310 [일반] 2022년 카자흐스탄 3달간의 혁명 [40] 아롱이다롱이18906 22/03/25 18906 19
95309 [일반] 북한 ICBM 발사 장면 공개 [129] 굄성20915 22/03/25 20915 3
95308 [일반] 오늘 어머니가 오미크론 확진되었습니다. [58] 통피14098 22/03/25 14098 9
95307 [일반] 생각보다 코로나 여파가 크네요 [98] 만수르22421 22/03/24 22421 9
95306 [일반] 지난달, 아버지가 췌장암 진단을 받았다고 쓴 사람입니다. (희소식일수도) [56] 쏘군11777 22/03/24 11777 26
95305 [일반] 치킨 적정 가격에 대한 친구와의 일전 [191] NT_rANDom17409 22/03/24 17409 6
95303 [일반] 요즘 본 만화책 [19] 그때가언제라도11144 22/03/24 11144 0
95302 [일반] 자가격리 첫째날에 써보는 이런저런 글 [32] seotaiji9259 22/03/24 9259 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