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11/03 14:56:59
Name Leeka
File #1 0004623875_003_20211103085901137.jpg (44.0 KB), Download : 72
Subject [정치] '카드 캐시백' 백화점 안된다더니…온라인 결제 다 뚫렸다 (수정됨)


(위 물건들도 모두 캐시백이 됩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4623875


기사 내용을 요약하면

'그렇게 복잡하게 진행했던 상생소비지원금이'

백화점/대형마트/명품매장/애플/가전제품등등..  구입시에

'네이버페이 or 카카오페이'로 결제시엔 모두 인정되었다고 합니다.


온라인으로 명품을 사도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면 프리패스
오프라인 백화점에 가서 물건을 사도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결제면 프리패스..
(신세계백화점만 해도 쓱데이때.. 카카오페이로 5만원 이상 결제시 5천원 페이백 이벤트까지 오프라인에서 진행...)


기사에서는 기재부에서는 해당 문제점을 어느정도 알고 있었지만 강행했다고 하는데요.

어 음..

애초에 이렇게 복잡하게 상생소비지원금 만들어서 카드 쓰게 하는것부터 ?!?!? 였는데..

결말까지 .... 으로 가는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Grateful Days~
21/11/03 14:58
수정 아이콘
정말 가지가지하네요. 과정은 어떻게 되었건 아몰랑 돈뿌리는게 목적이었던 아마추어인가..
21/11/03 15:05
수정 아이콘
페이시스템을 거치면서 결제 세탁(?)이 되는 문제가 꽤 오래된 문제이긴 해서 현실적으로 못잡는 범위라고 봤을거라 생각은 듭니다
21/11/03 15:06
수정 아이콘
몰랐던 사람만 바보만드는 상생지원금 활용법이네요
21/11/03 15:14
수정 아이콘
재난지원금을 온라인이나 배달어플에 쓰기 힘들게 만들어 놔서 항의 받아서 추가된 걸로 알고 있는데... 이러면 다시 기존의 재난지원금 시스템으로 돌아가겠네요
21/11/03 15:20
수정 아이콘
마트나 백화점 오프라인으로 산거 빼고는 다 인정되더라구요. 그래서 이번에 받게되네요.
42년모솔탈출한다
21/11/03 15:34
수정 아이콘
헐....
얼마전에 백화점에서 프로포즈 반지 샀는데...크크크
환불하고 카카오페이로 다시 결제하면 캐시백 받을 수 있는건가요???!!!
하마아저씨
21/11/03 15:42
수정 아이콘
월별로 실적인정이라 10월분은 안되실거에요
21/11/03 15:36
수정 아이콘
업종이 가장 큰 이슈여서 반대로 카페나 네페로 결제 시 백화점 실적등이 쌓이지 않는 이슈도 있습니다.
명품매장에서 카페 받는데가 있었는지도 잘 모르겠네요;;;
내집마련성공
21/11/03 15:41
수정 아이콘
아이고 머리야...
21/11/03 15:48
수정 아이콘
저도 이번에 자동차보험료 결제한거 네이버페이에서 3만포인트 주는 이벤트 있어서 네이버페이로 결제했는데
상생지원금 항목으로 포함되더군요.
카드에서 결제내역에 네이버페이나 카카오페이로 뜨면 다 적용되는거 같습니다.
다만 티몬에서 카카오페이로 결제한건 내역에 티몬으로 떠서 포함이 안되더군요.
결국 내역에 어디로 뜨느냐가 중요한거같습니다.
21/11/03 16:01
수정 아이콘
지난달에 백화점에서 정장 맞췄는데 꼴받게...
환경미화
21/11/03 20:27
수정 아이콘
백화점이면 취소하고 재결제 가능이죠
야크모
21/11/03 16:16
수정 아이콘
돈 뿌리는게 목적이고 달성했으니 된 것 아닌가요.
농심신라면
21/11/03 16:27
수정 아이콘
나만 바보된 느낌...
척척석사
21/11/03 16:37
수정 아이콘
세세한 규정 만들고 다 불만없게 제대로 똑바로 할 능력이 있는 게 아니면 그냥 큰 룰만 정해놓고 대충 하면 좋겠습니다.
웬만큼 능력있는 행정으로도 세부조정 어려울 것 같은데 무슨 자신감으로
커피소년
21/11/03 18:01
수정 아이콘
이게 똑같은 방법으로 온라인 대형쇼핑몰에서 폰 결제하고 폰결제를 카드로 하면 되죠.
별 의미도 없죠. 이마트 같은데 막아서 번거롭기만 할뿐
21/11/03 20:27
수정 아이콘
기재부 저 헛지거리하는 대신에 전국민 재난지원금 줘도 되었겠다
타마노코시
21/11/03 23:24
수정 아이콘
이래서 simple is best 인거죠.
복잡하다는 것은 어딘가에서 함정이 발생할수 밖에요.
21/11/04 00:47
수정 아이콘
기재부 진짜 할말하않…
꿈트리
21/11/04 07:49
수정 아이콘
저딴 기재부 컨트롤도 못하는 바X들 크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4023 [일반] 아그들아 이제 밤늦게 게임해도 된다. 셧다운제 폐지 [46] 오곡물티슈14185 21/11/11 14185 16
94022 [일반] 재즈 기타의 살아 있는 전설이었던 팻 마티노 별세하다 [5] 아난10773 21/11/11 10773 3
94021 [일반] 김밥 먹고 싶다는데 고구마 사온 남편 [69] 담담18175 21/11/11 18175 95
94018 [일반] 헝다그룹은 파산한걸까요? [22] 롤링씬더킥18940 21/11/10 18940 1
94017 [정치] 국회의원이 대선 후보 배우자실장을 한다는데 [28] 만수르14898 21/11/10 14898 0
94016 [일반]  22세 간병살인 청년 강도영, 2심도 존속살해 징역 4년 [84] 삭제됨20766 21/11/10 20766 3
94015 [정치] 이재명 "음주운전 경력자보다 초보운전 경력자가 더 위험하다" [126] 판을흔들어라22824 21/11/10 22824 0
94014 [정치] 시민단체 + 평화는 믿고 거르는 조합? 그래도 이야기는 들어는 봐야하나 [22] 오곡물티슈11392 21/11/10 11392 0
94013 [일반] 영화 자체보다 OST가 더 좋은 '007 No Time To Die' (스포일러 주의) [4] 아난10318 21/11/10 10318 1
94012 [일반] [스포] "남부군" (1990), 당황스럽고 처절한 영화 [52] Farce13935 21/11/10 13935 21
94011 [일반] 노키즈존이란 상품은 허용되어야 할까요? [106] 노익장15019 21/11/10 15019 15
94010 [일반] 부동산 중개수수료 협의 언제 할 것인가 [56] 밤공기15970 21/11/10 15970 4
94009 [일반] 넷플릭스 - 아케인 재미있네요(노스포) [32] This-Plus14021 21/11/10 14021 6
94008 [일반] [도로 여행기(혹은 탐험기?)] 59번 국도 부연동길 [4] giants12313 21/11/10 12313 14
94007 [일반] [책이야기] 제로 투 원(Zero To One) [12] 라울리스타9584 21/11/10 9584 11
94006 [일반] 상속재산의 '형제자매 유류분'이 없어집니다 [21] 인간흑인대머리남캐15249 21/11/10 15249 5
94005 [일반] 귀멸의 칼날 다보고 적어보는 후기 [38] 원장13063 21/11/09 13063 2
94004 [정치] LH돈 LH산 무죄 [250] 오곡물티슈24034 21/11/09 24034 0
94003 [일반] 인텔 12세대를 보고 고민하는 분들에게 (시스템 교체?) [65] SAS Tony Parker 15138 21/11/09 15138 0
94002 [일반] [속보] 경기도 여주시 대규모 정전...아파트 단지·교차로 신호등 피해 발생 [41] Leeka19928 21/11/09 19928 4
94001 [일반] 신해철, ‘해'에게서 '소년'에게 (7) -끝- [8] 글곰10982 21/11/09 10982 33
94000 [일반] 한국드라마 제4의 전성기는 오는가? [21] 촉한파16562 21/11/09 16562 7
93999 [정치] 1992년 14대 대선 당시 정주영 후보 공약 [22] 변명의 가격13162 21/11/09 1316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