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29 12:11:49
Name 로드바이크
Subject [일반] 오징어게임에서의 깐부
화제가 되고 있는 오징어 게임인데요.

너무 잦은 노출로 인해 게시판이 도배되다시피 하다보니 싫어하시는 분도 있는 것 같긴 하지만,

이 기회에 저도 오징어게임 코인 올라타봅니다.


"깐부" 라고 일종의 동맹을 극 중에서 이야기 하는데요. 저는 처음 들어보는 표현이라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부른게 아니었나 싶습니다.

어쨌든, 딱지든, 구슬이든 동맹을 맺으면 자유로이 빌려주기도 하고, 빌리기도 하고 그랬는데요.


쌍문동에 사는 성기훈씨는 깐부라고 불렀던 거 같은데

저희동네는 "뻔지" 맺다 라고 부르는 동네에서 자랐습니다.

지역마다 다르게 표현하는 것 같은데, 어렸을 때 여러분의 지역에서는 저걸 뭐라고 부르셨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9 12:18
수정 아이콘
'깜보'
Dondante
21/09/29 12:18
수정 아이콘
깜보
대말마왕
21/09/29 12:21
수정 아이콘
저도 깜보
서쪽날개
21/09/29 12:23
수정 아이콘
저도 깜보 먹는다고 했었습니다.
장헌이도
21/09/29 12:25
수정 아이콘
저희 동네는 동맹 없었습니다. 프리포올임.
21/09/29 12:35
수정 아이콘
전 깐부였네요.
깐부치킨은 일남할아버지 CF섭외해서 닭다리 들고 찍으면 대박날거같은데.
잉여잉여열매
21/09/29 12:37
수정 아이콘
저희 동네는 가부라고 불렀습니다.
cruithne
21/09/29 12:38
수정 아이콘
저희도 프리포올..보면서 저게 뭔가 했었네요
21/09/29 12:38
수정 아이콘
경기 남부는 깐부
애플리본
21/09/29 12:40
수정 아이콘
타짜에는 깜보라고 나왔던 것 같네요. 저 어렸을 떈 그런 말을 안썼..
꿈트리
21/09/29 16:29
수정 아이콘
허영만 원작 중에 깜보라는 말이 제일 먼저 나온 작품이 미스터Q 였죠.
21/09/30 01:02
수정 아이콘
저 만화얘기를 해도 아는사람이 없었는데..
여기서 보네요.
반갑습니다.
나막신
21/09/29 12:41
수정 아이콘
삼촌이 깐부라고 하시네요~@@
케이아치
21/09/29 12:42
수정 아이콘
80년대생 서울 깜보 였습니다.
기술적트레이더
21/09/29 12:46
수정 아이콘
깜보가 대중적
시린비
21/09/29 12:50
수정 아이콘
경기도- 첨들어봄 뭔소린지 모르겠음
싸구려신사
21/09/29 12:50
수정 아이콘
80년대후반생. 대구.
'가부 맺다.'고 했었습니다.
21/09/29 12:52
수정 아이콘
서울 서초. 뺀지라고 했던 걸로 기억
21/09/29 18:08
수정 아이콘
저도 뺀찌 (경북)
비밀친구
21/09/29 12:58
수정 아이콘
하하 내가 아직 피지알에선 어리구나!!
해질녁주세요
21/09/29 13:01
수정 아이콘
저도 처음 들음. 아직 어리구만.
국밥마스터
21/09/29 13:01
수정 아이콘
저는 오징어게임을 어릴때 해본 기억이 없어요.. 깐부라는 단어도 치킨집으로 서울에서 처음 봄
21/09/29 13:13
수정 아이콘
서울 중량구70년대 중후반 ~ 80년대 중반 깐부...
밀크공장
21/09/29 13:29
수정 아이콘
서울 중량구 90년도 초반 깜보로 기억
민방위면제
21/09/29 13:16
수정 아이콘
70년대 후반. 대구
'가부'라고 했습니다.
여담인데...제가 딱지치기를 동네 본좌급으로 잘해서 집에 딱지를 쌀포대 서너자루에 담아서 가지고 있었는데, 저랑 가부를 맺자는 친구들이 줄을 섰었다는 흐흐.
메가트롤
21/09/29 13:34
수정 아이콘
깜보
wersdfhr
21/09/29 13:40
수정 아이콘
타짜 만화에서 처음 봤는데 그전에는 한번도 못들어본 단어였습니다

거기서는 깜보라고 하더라고요
21/09/29 13:52
수정 아이콘
저도 구슬치기는 안해보긴했는데, 따조라고 과자 먹으면 들어있는 딱지 같은 게 잠시 유행한 기억은 있네요. 깐부같은 개념도 없었습니다..
바카스
21/09/29 14:07
수정 아이콘
깐부치킨 땡기네요.
오렌지꽃
21/09/29 14:14
수정 아이콘
깐부 개념은 있었는데 호칭은 없었습니다
flowater
21/09/29 14:38
수정 아이콘
깐부치킨 떡상 각이네요
21/09/29 15:06
수정 아이콘
저희 지역도 저런 말 없었습니다. 타짜에 나오는지도 몰랐네요.
이호철
21/09/29 15:08
수정 아이콘
아예 처음 듣는 단어여서 작중 창작인 줄 알았는데 예전에 지역별로 썼었나보네요
깐프인줄
21/09/29 15:30
수정 아이콘
딱지치기 구슬치기 전부 독고다이로 뛰는 거지 동맹이 무슨 필요?
노래하는몽상가
21/09/29 15:42
수정 아이콘
저도 깜보
pc방 점장
21/09/29 15:53
수정 아이콘
깜보나 깜부였던것으로 기억하네요 서울 80년대입니다
페스티
21/09/29 16:13
수정 아이콘
타짜?에서도 나오죠. 깜보
열혈둥이
21/09/29 17:29
수정 아이콘
시흥시 깜보요
블랙핑크
21/09/29 18:09
수정 아이콘
깜보였던듯요
대한통운
21/09/29 18:27
수정 아이콘
깜보
완성형폭풍저그
21/09/29 18:44
수정 아이콘
지우개 따먹기할 때 있었던 것 같기도 한데...
깐부는 낯설고 깜보, 뺀지는 뭔가 익숙하네요.
21/09/29 21:03
수정 아이콘
울산 가부 엿어요
퀀텀리프
21/09/29 22:03
수정 아이콘
뭔지 모르면 다행인건가? 크크
21/09/29 23:05
수정 아이콘
편?
영호충
21/09/30 04:05
수정 아이콘
깜보라는 영화도 있었던거 같은데.
겨울삼각형
21/09/30 11:10
수정 아이콘
어릴때도 아싸여서 모르겠습니다
21/09/30 21:52
수정 아이콘
동맹이라고 했던 거 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608 [일반] 무인전투기 시대에 놓여진 대한민국 국군의 미래 [15] 워체스트9196 21/10/03 9196 7
93607 [일반] (주식) 3분기 복기 [11] 방과후계약직8451 21/10/03 8451 0
93606 [일반] 불확실성 속의 지도자의 덕목 [13] cheme14499 21/10/03 14499 10
93605 [일반] 저성장시대를 살아가야 하는 이들의 지혜 [23] 삭제됨9291 21/10/03 9291 13
93604 [일반] [팝송] 케이시 머스그레이브스 새 앨범 "star-crossed" [1] 김치찌개8125 21/10/03 8125 1
93603 [일반] 경주에서의 두번째 날 [19] 及時雨7719 21/10/02 7719 9
93602 [일반] 미스테리한 오징어 게임 [232] 스킨로션17377 21/10/02 17377 20
93600 [일반] 대한민국 정책의 방향성 [7] 코지코지9433 21/10/02 9433 1
93598 [일반] 전국랩자랑 쇼미10 그리고 Zior Park?! [40] 만수동원딜러11902 21/10/02 11902 5
93597 [일반] 오디즈 펜로즈 간략 사용후기 [21] EZrock11874 21/10/02 11874 1
93596 [일반] 외모컴플렉스, 내 사춘기를 파멸시킨 여중생의 한마디 [74] 앓아누워20548 21/10/02 20548 19
93595 [일반] 머크에서 개발한 치료제의 효과가 꽤 확인되었나 봅니다 [36] 김유라17273 21/10/01 17273 3
93594 [일반] 경주에 왔습니다 [17] 及時雨10189 21/10/01 10189 9
93593 [일반] 귀르가즘 [25] 아난12272 21/10/01 12272 5
93592 [일반] 나의 구세주는 어디에?-웹툰 구주의 시간 소개 [19] lasd24111675 21/10/01 11675 9
93591 [일반] 백신접종 안한 사람을 사적모임에서 뺀다? [355] 만수르20758 21/10/01 20758 0
93589 [일반] 제가 의식에 있어 중요 질문이라 보는 게 있습니다 [47] 니그라토10380 21/10/01 10380 2
93586 [일반] 카페 수영장서 6세 익사…"구조요원 없어" vs "부모 책임 [174] 로즈마리21447 21/10/01 21447 0
93585 [일반] 상생소비지원금 최종 제외 업종 공유 [37] Leeka14106 21/10/01 14106 1
93584 [일반] AI가속기 경쟁, 그리고 차세대 반도체 칩 시장 [52] cheme17596 21/10/01 17596 46
93581 [일반] "P2P 사이트에서 '오징어 게임'을 다운로드한 분들, 이제 큰일 났습니다" [49] 슈테23693 21/10/01 23693 0
93578 [일반] 민사소송 후기 - 이제야 끝났다. [21] Lovesick Girls16873 21/10/01 16873 47
93577 [일반] 언제쯤이면 실감나는 가상현실게임을 해볼수있을까요? [36] 이츠키쇼난11215 21/09/30 11215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