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22 01:19
잘 보다가 넘베오에서 음...
기본적으로 인터넷 사용자들이 본인이 생각하는 금액을 적어넣는 방식이라서, 어떤 면에서는 실질을 반영한다고 볼 수도 있겠지만 어떤 면에서는 표본이 편중되기 쉬운 지표이죠.
21/09/22 01:20
어... 잘 몰라서 그런데 넘베오가 이상한 사이트인가요?
라고 해서 구글에 치자마자 정부에서 공식적으로 자료 부정했네요. 해당 건은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21/09/22 01:21
https://www.numbeo.com/common/form.jsp?country=South+Korea&returnUrl=https%3A%2F%2Fwww.numbeo.com%2Fcommon%2F
이상한 사이트는 아니고, 사용자들이 정보를 직접 입력을 할 수 있습니다. 그에 대한 장단이 뚜렷하게 나온다고 보는 데, 전체적인 수준을 보기에는 약간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 않나 싶습니다.
21/09/22 01:23
아하, 집단적으로 공격(?)하면 자료를 왜곡할 소지도 충분히 있겠네요. PIR이 연봉 소득 수준 집계에 따라서 수치가 워낙 급변하는 지라 해외지표 대변은 좀 어려운 편이긴 한데... 해당 내용은 좀 수정이 필요하겠군요.
어쨌거나 중국 집값도 만만찮게 떡상했다는건 모두가 다들 아는 사실이니, 수치에 대한 내용은 수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1/09/22 01:37
https://m.dcinside.com/board/dcbest/22450
이 글이랑 내용이 비슷해 보이는데 혹시 참고하셨거나 본인이신가요?
21/09/22 01:45
https://ko.tradingeconomics.com/china/current-account-to-gdp
그리고 글에서 경상수지 얘기를 꺼내셨는데 중국 경상수지는 분기로는 몰라도 연단위로 적자 본적이 없습니다.. 외환보유고 감소는 중국의 해외투자 증가라던가 미국채 매각이라던가 자본유출이라던가 그런 이유들 때문이에요.
21/09/22 02:01
또 철광석이나 원유나 중국 내수 수요도 감당 못해서 대부분 수입해서 충당한지 오래된 원자재인데 그거 가격 내려간게 경상수지 악화랑 관련이 있다는 건 무슨 소리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중국은 철광석을 수출하는 나라가 아니라 철강을 수출하는 나라고 원유를 수출하는 게 아니라 그걸 가공한 석유제품을 수출하는 나라라 철광석,원유 가격 내려간건 딱히 나쁘지 않아요
21/09/22 11:14
(수정됨) 엇 이미 관련글이 있네요... 이런
경상수지 내용 관련 디테일은 좀 수정이 필요해보이네요. 나름 가장 성의있게 찾아본 부분인데도 아는 지식의 깊이가 워낙 얕다보니 불상사가 생겼나봅니다.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21/09/23 02:09
네... 2015년을 기점으로 중국의 스탠스가 급격하게 변한 것은 누구나 알만한 사실이고, 당 시점에서 그럴만한 이유를 찾아보면 중국의 대외수지 지표상승이 둔화되고 해외 유출 자본이 증가하는 지점이라는 점 정도 밖에 없었습니다.
일단 글 수정을 위해서 데이터를 더 찾아보고 있긴 한데, 아직 모두가 납득할 한 연결점을 못찾겠네요.
21/09/22 01:44
감사합니다
우리로 치면 야권 유력인사를 담그려는 목적으로 롯데 정도를 박살낸 격이라고 보면 되는건가요? 후폭풍이 꽤 클 수 있어서 총수일가랑 야권 유력인사 등만 뇌물로 역어서 숙청한 다음 정권의 펫ceo에게 경영권을 넘길거구요? 중국은 숙청도 사이즈 있게 하네요
21/09/22 08:08
저도 요게 궁금. 이건 뭐 어벤져스의 새 리더 팔콘이 힘숨찐이었어요 짜잔~ 식의 전개인데 크크
여튼 간만에 피지알다운(?)글 잘 봤어요
21/09/22 11:29
(수정됨) 되게 길고 복잡하더라고요. 전 예전에 한번 읽었는데도 까먹음. 도올김용옥이 중국식 민주우의가 꽃피울 것이다라는… 식의 시진핑 극찬을 했던 걸 방송에서 들으면서 시진핑이라는 이름을 처음 제대로 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지금 보면 말도 안되는 소리인데. 시진핑이 막 주석되었을 때만 해도 이런 사람인줄 아무도 예상 못했던 듯하고.
국내외 중국전문가는 물론이고 시진핑을 추대한 중국내 권력자들도 속았던 거니까. 시진핑이 대단한 분? 맞는 거죠. 어떻게 권력자들 사이에서 자기 속내를 숨겼을까요.
21/09/22 20:28
예전에 읽었던 책인데, 중국 권력구조에 대해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일본기자가 쓴 책이구요. 추천드립니다.
http://m.yes24.com/Goods/Detail/23466561
21/09/23 00:18
(수정됨)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비슷한 내용의 글들을 짜집기한 퀄리티 말이죠? 크레토스님과 깃털달린뱀님 지적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의 경제에 대해 가장 기본적인 사실 인식도 잘못되어 있는 퀄리티 말이죠?
21/09/23 02:54
(수정됨) 기본적으로 정성을 충분히 들여서 이해하기 쉽게 썼고
타인의 반박에 대해서 부족함을 인정할 줄 알아서 부족한 부분을 메꿔주는 그런 양질을 채워주는 퀄리티 말하는 겁니다
21/09/22 07:21
습근평이 태자당 내에서 뜬 것이야 어부지리일 수 있으나, 등소평도 권력이 결국 태자당에게 돌아가리라고 예측했을 거라고 봅니다.
공청단이나 상해방이 근본 없는 평민이라면, 태자당은 개국 공신 귀족들입니다. 신분이 다르다는 것이지요.
21/09/22 09:12
잘 읽었습니다. 근래에 비슷한 내용을 많이 접하기는 했는데 이 글이 가장 잘 요약되어 있네요.
다만 저는 헝다가 정치적 의도에 의해 고의적으로 망가졌다는 의심에는 별로 동의하지 않습니다. 정치싸움을 위해 죽이기에는 헝다는 지나치게 큰 기업입니다. 잘못하다가 국가경제 전체가 완전히 나락으로 갈 수 있는데 말이죠. 제가 대륙의 스케일을 잘 몰라서 하는 말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21/09/22 10:08
그렇죠.
그간 헝다그룹은, 권력(시진핑, 아부하느라 축구 좋아하는 시진핑을 위해 축구팀까지 만듬) 의 지원을 받으며, 그 차익을 통해 문어발 식으로 확장(전기차까지) 하다가, 그 과정에서 감당할 수 없이 자금난이 심화되었죠. 그걸 돌려막기로 근근히 버텨왔는데.. 이제 이 회색꼬뿔소는 한계에 봉착해 버린 겁니다. 내년 10월 3연임을 앞둔 시진핑. 3연임으로 가기 위한 공포정치는 이미 시작되었죠. 항저우(마윈 알리바바 본거지)를 부패온상이라며 반부패운동의 일환으로 쓱대밭을 만들고, 마구잡이 식 사교육 규제조치, 빅테크 부동산 규제 강화, 공동부유... 이 와증에 헝따 사태가 터졌죠. 대마불사...라고, 설마 설마 ...최대 기업인 헝따가 파산하게 시진핑이 내버려 두겠어? 라며 .. 두고보던 해외투자처들, 지금 좌불안석일 겁니다. 그러나 이미 중국 내 부동산업체 274곳이 파산을 신청한 상황이며, 이들의 채무 불이행 규모는 올해 들어서만 7조 2600억원이죠. 지난 12년치를 다 합친 것보다 13억 달러나 많습니다. 내일(23일) 헝따의 운명이 결정되겠지만 신속한 대응을 해주든, 내버려두든, 중국 몰락의 징조일 것 같은 예감이... 중국 정치와 경제의 최대 리스크는 바로 시진핑.
21/09/22 09:58
보시라이처럼 황제처럼 살다가도 숙청당하면 말그대로 '야산에 묻힐' 걱정을 해야된다는게 참..
아니면 그덕에 권력자들 물갈이가 되는구나 싶기도 하네요.. 우리나라는 여야 떠나서 너무 고인물임..
21/09/22 10:20
요즘 중국정치에 관심이 많아져서 관련 자료를 많이 찾아보는 편인데 이런 가뭄에 단비같은 글이 올라와서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1/09/22 10:27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윗분 말대로 디테일이 아쉽네요.
중국 경상수지 적자나 철광석, 원유 얘기 보고 깜짝 놀랬습니다. 대충 시기 보면 경상수지 [[증가폭]]이 마이너스가 된 걸 적자라 읽은 것인가 싶고, 원자재도 마찬가지입니다. 중국의 경제는 2차산업 위주이지 원자재가 아니죠. 중국은 이미 2000년대부터 원유 순수입국이었고, 오히려 중국의 원자재 수입 때문에 브라질 같은 나라가 연 수십퍼센트씩 경제성장률 찍고 그랬으니까요. 철광석 가격하락은 그 자체보다는 뒤에 연결된 제조업 부진을 암시할 수 있기에 중요한 것이고요. 물론 꼭 그런 건 아니고, 원자재 하락하면 만들어 파는 입장에서는 생산비용 하락이라 상황 따라 다르지요. 그래도 뒤에 정치 파트는 새로워서 잘 읽었습니다. 지금이야 유명무실해졌지만 시진핑 후임으로 후춘화가 거론 됐던 것 같던데 숙청당할 수도 있겠네요. 역시 이 동네 정치는 복잡하고 어려우면서도 재밌습니다.
21/09/22 12:23
음... 경상수지 내용은 보완이 좀 필요하겠네요.
잘모르는 부분이라 나름 좀 찾아봤는데 역시 얄팍한 일반인 지식으로는 한계가 있나봅니다ㅠㅠ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21/09/22 11:28
디테일적인 부분도 그렇고 원유가격 경상수치 부분의 내용은 좀 앞뒤가 안맞는거같네요....
뭐 항간에 떠도는 중국관련 소문들을 잘 버무렸다고 할까 뭐 재밌게 읽었습니다. 개인적으로 헝다의 문제는 언젠가 터져야할 부동산버블을 어떻게 최대한 안정적으로 터뜨리냐의 문제라 권력다툼같은것과는 큰 상관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21/09/22 12:26
21세기형 독재방법이랄까... 그런게 느껴지네요.
20세기까지는, 무력과 공포정치로 찍어누르는게 독재의 기본이었다면, 21세기에 와선 포퓰리즘으로 국민들을 달래면서 반대파를 몰래몰래 죽이는 식이랄까... 푸틴, 두테르테 등도 비슷한 방법을 효과적으로 쓰고 있고요.
21/09/22 14:55
전 중국 이야기 할 때마다 드는 생각인데
"공청단계"라는게 실존하는지 모르겠어요. 공산당에서 좀 능력있고 촉망받는 인물이라면 공청단을 거칠 수 밖에 없어요. 명백한 태자당계... 도 대부분 다 공청단을 나왔지만 명백한 태자당계를 제외한 모든 공산당의 핵심 인물들은 공청단 출신 아닌가요? 그리고 앞으로는 더더욱이나 공청단을 나올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알고 있는데, 태자당, 상하이방으로 명확하게 분류될 수 있는 인물을 제외하면 다 공청단으로 분류되는데 이게 맞는 분류인가 싶습니다.
21/09/22 19:09
말씀하신것 처럼..
태자당 3세쯤 되면.. 다 공청단 활동하고 있거나 활동 끝내고 정식 공산당원이 되어 당을 기반으로 활동을 하고 있죠. 그러나.. 공청단 7300만이 다 태자당이나 상하이방 소속은 아닐테니.. 결국 공청단 활동을 끝내고 공산당으로 들어간 사람들은.. 태자당 인원을 따라 가게 되있죠. 마치 신라시대 골품제를 상상하면 될듯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결국 중국은 시진핑의 황제 코스프레가 진행될수록 태자당 = 성골, 태자당이 아닌 공청단 출신 고위 간부 = 진골, 그외.. 공청단 출신 공산당원 = 6두품... 등으로 중국 공산당내에서 계급이 고착화 될듯 합니다.
21/09/22 17:51
올해 8월달 기사네요
경고등 켜진 7월 경제지표 생산자물가지수 전년比 9%↑ 금융위기이후 13년만에 최고 당국 통제에 제품 값 못올려 원자재 폭등 제조기업 직격탄 수출 증가율도 19.3%에 그쳐 하반기 성장률 `악화일로`예고
21/09/22 18:02
올해 5월달기사입니다.
원자재 빨아들이는 中 뿌리기업 원자재 수급 '비상' 금속 스크랩 對중국 수출 급증 지난달 철 수출 2.8만t…17배↑ 동은 8759t으로 14배 늘어
21/09/22 18:03
(수정됨)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64501&sSiteid=2&searchReqType=detail&searchCondition=TITLE&searchStartDate=&searchEndDate=&categorySearch=&searchKeyword=
수출철강제품에 수출관세 15~20%에서 20~40%로 인상 1. 자국내 철강제품의 과잉생산 억제 2.금등하는 철강제품 가격조절 비료제품의 경우도 수출제한에 들어갓네요 후반부에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하락 / 원자재가격상승으로 인한 문제점 지적 제조업 부문 경영 애로 사항 1. 현지 수요 부진(21.4%), 2.원자재 조달난·가격 상승(19.5%), 3.수출 부진(14.8%), 4.인력난·인건비 상승(10.5%)
|
||||||||||
중국의 공산당 3대 파벌
최측근으로 자리를 죄다 점령해버린 시진핑
중국의 대외수지, 중국의 대외 상품 무역은 하루가 다르게 상승하였다.
중국 철광석 선물 가격 추이, 2013년부터 과잉 공급 국면으로 가격 하락이 시작되었다
중국의 원유 수입 금액 추이. 2014년 셰일가스 혁명을 기점으로 급격히 감소한다. 동기간에 원자재 흐름 또한 감소하였으며, 반도체 제품의 상승 속도는 가속화된다.
중국의 외환 보유고 추이, 4조 달러에 육박하던 외환 보유고는 결국 2015년부터 감소하여 3조 달러 선을 유지.
미중 무역 분쟁 시나리오. 미국은 원자재, 수입품, 통신장비 등 중국의 뼈아픈 곳을 순서대로 집중 타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