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9/06 23:25:29
Name bettersuweet
Subject [일반] 내 마지막 끼니
장례를 치르고, 일 년에 한두 번쯤 봉안당에 들르는 일은 일상이 되어버렸다. 마치 슬픔 총량 불변의 법칙이 있기라도 한 듯, 봉안당에서 슬픔을 만끽하면 만끽할수록 일상에서의 슬픔은 줄어들었고, 그렇게 자연스레 우리는 다시 예전의 평온했던 일상을 되찾았다. 시간이 흘러 이제는 더이상 눈물을 흘리지 않게 될 무렵에서야, 봉안당 곳곳마다 켜켜이 쌓인 봉안함들이 내 시야에 들어왔다. 켜켜이 쌓인 타인들의 슬픔을 보면서, 매정하게도 나는 이 슬픔이 나 하나만의 것은 아니구나 하는 이기적인 위안을 얻었다. 몇 개월에 한번씩 그곳에 들를 때마다 빈칸으로 남아있던 봉안당 칸 하나하나가 촘촘히 채워졌고, 남겨진 사람들의 편지, 사진들을 보며 생전 그들의 삶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생명은 똑같이 소중하다지만, 모든 사람의 죽음은 각각 다른 무게를 가졌다. 20대 초반에 갑작스럽게 삶이 끝나버린 여느 청년의 마지막과 일가족이 모두 지켜보는 자리에서 천수를 누리고 떠난 어르신의 죽음이 같은 무게를 가졌다고 나는 감히 말할 수 없었다. 나와 별반 다르지 않은 생년을 가진 봉안함 하나하나의 주인들을 보며 나는 문득 궁금해진다. 그들은 그들의 마지막 하루가 마지막이 되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을까. 불과 몇 달 전 내가 이 자리에 왔을 때 멀쩡히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마시고 있던 누군가는 몇 달 후 이 칸의 주인이 되었고, 나는 아직 살아있다.

화폐는 유한하기 때문에 그 가치를 가지듯, 삶 또한 그 유한함 때문에 의미를 얻는다. 다시 돌아오지 않을 이 시간을 우리 함께 흘려보내기에 함께 있음이 더 소중하고, 유재하의 1집은 유재하 2집의 부재 때문에 더 큰 울림을 준다. 하지만 애석하게도 우리는 우리 삶이 유한하다는 것만 알 뿐, 그 길이와 깊이를 알지는 못한다. 봉안함 속 편지에는 그 무지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이 후회하며 뒤를 바라보며 서 있다. 이럴 줄 알았다면 더 잘할 걸 하고 아쉽게 되뇌지만, 생각해보면 너무나 어리석은 후회일 뿐이다. 우리는 망자의 삶이 유한하다는 사실도, 그 끝이 언제일지 모른다는 것도 이미 알고 있었는걸.

나도 그들을 흉볼 처지는 아니다. 임박착수형 인간 최성수는 마치 무한한 시간을 가진 듯 오늘도 하루하루를 살아가니까. 몇 년째 머릿속으로만 다짐 중인 부모님의 건강검진 계획부터, 연락해야지라고 몇 년간 되뇌다 결국은 끊어져 버린 관계, 매해 작년 목표를 복사 붙여넣기 하는 버킷리스트 작성까지 사소한 것 하나하나 미루기투성이다. 사랑하는 사람들을 대할때도 마치 영원한 삶을 살 것처럼 표현을 아끼고 아끼며 결국 그 기회를 놓치곤한다. 다 알면서도 그렇게 우물쭈물 하루하루 살다 보면 나 또한 언젠가 끝을 맞이하겠지.

회사에서 퇴근해 푸석푸석한 닭가슴살을 목구멍에 욱여넣는다. 봉안당에서의 교훈 덕분에 이 닭가슴살이 내 생애 마지막 끼니가 될 수 있음을 알지만 그렇다고 멈출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저 내일은 일어나면 아무 말 없이 어머니를 한번 꾹 안아드리리다 다짐하고 잠을 청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07 00:56
수정 아이콘
고 허수경 시인의 시를 읽는 느낌이고 무어라 댓글을 달아야 할지 몰라서 좋아요 누르고 그래도 부족해보여 주절주절 댓글 달아봅니다.

인생은 사랑하고 사랑받는 감정들이 얼마나 소중한지 깨달아가는 과정같습니다.
인민 프로듀서
21/09/07 18:43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3403 [정치] 윤미향 공판소식 [92] 대패삼겹두루치기21099 21/09/17 21099 0
93401 [일반] NC 소프트가, 트릭스터m, 블소2의 실패룰 반성하며, 달라질꺼라 예상해봅니다. [88] 마르키아르15686 21/09/17 15686 6
93400 [일반] 영화 1622편을 보고 난 후, 추천하는 숨겨진 수작들 [43] 최적화14991 21/09/17 14991 23
93399 [일반] 버트런드 러셀의 노벨상 수상 수락 연설에서 발췌 [4] 아난12664 21/09/17 12664 14
93398 [일반] 나 더치커피 좋아하네. [33] Red Key14974 21/09/17 14974 66
93397 [정치] 올해 늘어난 가계대출, 사실 50% 이상이 전세대출이였다. [79] Leeka18837 21/09/17 18837 0
93396 [일반] 추석 때 볼만한 영화 / 드라마 / 다큐멘터리 / 책 / 웹소설 등을 추천합니다 [29] 리자몽13579 21/09/17 13579 6
93395 [정치] 토론회에서 조국 언급했다고 도망가는 국회의원 [158] Alan_Baxter21847 21/09/17 21847 0
93394 [일반] ??? : 야, 이 트럼프 같은 놈들아! / ??? : 꼬우면 앵글로색슨족 하시든가 [35] 나주꿀14185 21/09/17 14185 4
93393 [정치] 백신에 대한 언론의 논조 비판 [121] SkyClouD17397 21/09/17 17397 0
93392 [일반] 네이버 시리즈에서 호소다 마모루 감독 제작 애니메이션 무료 이벤트 진행중입니다. [29] lasd24111266 21/09/17 11266 10
93391 [정치] 화천대유 사건을 정치적으로 몰고 가면 안될듯 합니다 [112] 강변빌라1호18464 21/09/17 18464 0
93390 [일반] 아재들의 추억소환을 위한 옛날 게임브금 - 신세계악곡잡기단 [30] 아스라이12503 21/09/16 12503 4
93389 [일반] 어제 발표 된 한국 미사일 관련 이런 저런 얘기들 [47] 가라한15779 21/09/16 15779 27
93388 [일반] 삼성, '240조' 투자 및 7만명 추가 고용한다.. "단일기업 사상 최대 규모" [116] 준벙이19569 21/09/16 19569 17
93386 [정치] 우병우 총 1년형 확정, 300만원가량 보상 받을듯 [70] PUM18378 21/09/16 18378 0
93385 [일반] 아이언맨을 죽일뻔한 물질, 왜 그렇게 비싸진 걸까 [28] 나주꿀15844 21/09/16 15844 8
93384 [일반] 적당한 수준의 실거주 1주택을 추천하는 이유 [163] Leeka20332 21/09/16 20332 13
93383 [정치] 이른바 '월간 김종인'으로 불리고 있는 김종인 인터뷰 오늘자 내용... [24] 하얀마녀14534 21/09/16 14534 0
93382 [일반] 앞으로 오래된 아파트는 정말 피하고 싶네요. (넋두리) [72] K524963 21/09/16 24963 9
93381 [일반] [책이야기] 서울 선언 [10] 라울리스타12035 21/09/15 12035 11
93380 [일반] 탈레반은 뭐하는 조직인가? [22] 이븐할둔14891 21/09/15 14891 54
93379 [정치] 윤석열의 조용기 장례식 방명록 [61] antidote20395 21/09/15 20395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