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6/23 21:08:47
Name 광개토태왕
File #1 자격증.jpg (311.6 KB), Download : 82
Subject [일반] 화물운송종사자격증을 취득 하였습니다


그 동안에 회사 생활을 이곳저곳 에서 해왔지만
결과론적으로 다년간의 경험으로 비추어 봤을때 제가 회사생활을 하기 에는 스트레스가 너무 많아서 안어울린다는 결론이 나와서
안 좋은 사정으로 약 한달 전쯤에 회사를 나갔었는데요.
(정말 천운에 가까운 확률로 최근에 일했던 회사에서 2년 가까이 일함)

회사 생활을 다시는 하지 않을 생각으로 이전 회사에서 일하면서 예전부터 생각해오던 일이 있었습니다.
다마스나 라보 화물차를 사서 운송 일로 운임을 벌어서 먹고 살기로 생각을 했는데요.
오늘 그 중간 결실을 맺었습니다.

화물운송종사자격증을 최종적으로 오늘 받았습니다.
운전적성정밀검사 - 필기 시험 - 8시간 온라인 교육 - 자격증 교부 이렇게 절차가 있는데요.

필기 시험이 가장 큰 관건이었는데요.
최근에 문제가 좀 어렵게 나오는 추세이기도 하고 유투브 영상 조금 보고 문제 조금 풀어보고 해서
어제 필기시험을 봤는데 80문제중 48문제를 맞혀야 합격인데 딱 48문제만 맞혀서 아슬아슬하게 합격을 했습니다.
그리고 8시간 합격자 온라인 교육을 끝내고 오늘 자격증을 교부 받으러 공단에 다녀 왔습니다.

오랜만에 자격증 한개를 추가 하였습니다. 거의 8년 만에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6/23 21:11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운전은 항상 안전운전 하세요~
21/06/23 21:15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운송업 잘 맞아서 행복하게 일하시길 바랍니다!
This-Plus
21/06/23 21:19
수정 아이콘
오 뭔가 닉이랑도 어울리는 것 같네요.
지입사기같은 것들 조심하시고 앞으로 잘되시길 기원합니다.
와칸나이
21/06/23 21:23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토끼공듀
21/06/23 21:24
수정 아이콘
축하합니다~

저도 대형 면허에 여객/운송 자격증까지 다 가지고 있고, 화물쪽 일을 잠깐 해봤기에 약간의 조언을 살짝 드리자면 자차나 지입으로 바로 시작하지 마시고 가벼운 납품쪽 일을 좀 해보시고 정말 적성에 맞는가? 셀프 점검 후 진행해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운전만 한다고 생각하면 별로 어려운 일이 아니지만 생각보다 길밥 먹고 사는 게 많이 힘들고 고됩니다. 타인과의 트러블이 별로 없는 것 하나만 가지고 들어가기엔 장시간 운전이란 거의 막 노동에 준하는 피로도가 따라오는 일이거든요.
광개토태왕
21/06/23 21:27
수정 아이콘
네 말씀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회사에서 상사한테 말도 안되는 내용으로 스트레스 받는거보다는 그래도 장시간 운전이 훨씬 낫다고 생각합니다.
전 다른 사람들이랑 한 공간에서 같이 일하는걸 극도로 싫어하는 스타일이거든요.
그 동안에 다년간 회사 생활을 해봄으로써 이런 결론이 나왔습니다.
21/06/23 21:27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
사고없이 안전운전하시고, 번창하시길 기원합니다 ~
이호철
21/06/23 21:28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21/06/23 21:37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제 아버지도 작년부터 용달하시는데 연세가 있으셔서 장거리를 자주 못뛰어서 그렇지 장거리 한번 뛰면 꽤 돈이 되더라고요.
광개토태왕
21/06/23 21:38
수정 아이콘
제가 사는 곳이 구리거든요.
남쪽으로는 천안, 아산까지 생각 하고 있습니다.
광개토태왕
21/06/23 22:04
수정 아이콘
참조는 해주셔서 감사합니다만
아직 저렇게 폭이 긴 대형 화물차는 어차피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라서.... 읽어는 보겠습니다.
틀림과 다름
21/06/23 23:13
수정 아이콘
넵 그래서 "참조"로 했습니다
건승하세요
ArcanumToss
21/06/23 21:59
수정 아이콘
직업을 바꾼다는 것이 정말 힘든 건데 용감하시네요.
일이 잘 되시길 빕니다.
축하하고요. ^^
광개토태왕
21/06/23 22:05
수정 아이콘
어쩔 수 없이 바꾼겁니다.
회사 생활로는 도저히 미래가 없었거든요.
ArcanumToss
21/06/23 22: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 때로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 직업을 바꾸도록 선택을 강요하죠.
그런 경험들을 많이들 갖고 있을 것도 같고요.
하지만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쉬운 결정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용기가 필요하죠.
직장생활과 달리 1인 기업이라고 해도 경영은 쉬운 게 아니니까요.
기업의 경영은 난관도 많고 용기도 많이 필요로 합니다.
13년째 개인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느끼는 건데 직장인의 마인드와 사업체를 경영하는 마인드는 완전히 다르고 스트레스의 종류도 완전히 다르더라고요.
제게 대학 3학년 때로 돌아가라고 하면 90%의 확률로 교수님의 제안대로 유학을 가거나 10%의 확률로 금융쪽 직업을 선택할 것 같고요.
어쨌든 1인 기업이라도 경영인 것이고 경영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이 하고자 하면 무한에 가까운 일거리가 보이게 되고 놀고자 하면 할 게 전혀 없기도 합니다.
전자든 후자든 당장의 수입은 비슷한데 장기적으로는 큰 차이가 발생하죠.

여하튼 일하는 만큼의 결과가 나온다는 게 직장생활과 다른 점이니 열심히 하셔서 좋은 성과를 거두시길 응원하겠습니다!!
Respublica
21/06/23 22:11
수정 아이콘
새 직업, 새 출발을 응원합니다.
메텔을좋아해
21/06/23 23:16
수정 아이콘
뿌듯하시겠어요. 응원합니다.
아라나
21/06/24 06:10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21/06/24 08:03
수정 아이콘
축하드립니다. 세상에 쉬운일이 어디있겠냐만은 그래도 적성 찾아 일할 수 있는게 제일 좋은거지요.
행복하세요.
VictoryFood
21/06/24 08:15
수정 아이콘
자격증 획득 축하합니다.
적성에 맞는 일이 가장 좋은 일이지요.
안전 운전 하세요.
트루할러데이
21/06/24 09:04
수정 아이콘
새롭게 시작한다는 게 쉬운일이 아닐텐데 대단하십니다.
앞으로 꽃길만 걸으시고 항상 풀카고로 다니시길 기원합니다.
라흐만
21/06/24 09:29
수정 아이콘
새로운 삶을 시작하시는군요! 건승하세요!
Cafe_Seokguram
21/06/24 09:37
수정 아이콘
안전운전하시고, 조금 더 행복한 삶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샤오미
21/06/24 10:55
수정 아이콘
바로 차 사지 마시고 꼭 월급기사로 단기간 일 해보시고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2295 [일반] 글로벌 여론 조사는 미국이 러시아나 중국보다 더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나라로 여겨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43] 아난17221 21/06/28 17221 2
92294 [일반] 중국 국민들의 공산당 지지도 여론조사연구 [92] 아난19024 21/06/28 19024 3
92293 [일반] [외교] 프랑스의 인도태평양 전략 [6] aurelius12813 21/06/28 12813 8
92292 [일반] 내 나이가 어때서 [28] 김홍기14105 21/06/28 14105 5
92291 [일반] 이스타항공 인수한 낯선 기업 ‘성정’ 우려 나오는 까닭 [11] 及時雨15892 21/06/28 15892 0
92290 [일반] [외신] 인상깊은 중국공산당 100주년 특집기사 [26] aurelius16941 21/06/28 16941 16
92289 [정치] [외교]현직 백악관 관료가 저술한 미국의 중국견제전략 [166] aurelius20684 21/06/28 20684 0
92288 [일반] 실종된 분당 김휘성군이 사망한 채로 발견됐다고 합니다. [78] This-Plus34101 21/06/28 34101 2
92287 [일반] 현대인이 범하기 쉬운 대체역사물 실수 몇가지 [78] 아리쑤리랑32887 21/06/28 32887 106
92286 [일반] (스포)좀비 랜드 사가 리벤지 결말 역대급이군요. [10] 그때가언제라도16925 21/06/27 16925 0
92285 [정치] 윤석열은 왜 징계를 받았을까 [15] echo off18116 21/06/27 18116 0
92284 [정치] 벌써 코로나 델타변이 250건…한국도 "비상" [37] Rumpelschu17022 21/06/27 17022 0
92283 [일반] 쓰레기 산에서 건진 한 줌의 경험 [38] 나주꿀15748 21/06/27 15748 75
92282 [정치] 남영희 민주당 지역위원장, 박성민 靑비서관 논란에 “얼마나 무식한지” [83] 미뉴잇17893 21/06/27 17893 0
92281 [일반] 2023년부터 윈도우11 노트북에는 웹캡 탑재 필수 [30] SAS Tony Parker 16986 21/06/27 16986 0
92280 [일반] [14] 피지알에 진심인 사람 [14] 피잘모모13723 21/06/27 13723 10
92279 [일반] 미국 청년의 절반정도만 자본주의에 대해 긍정적 [127] 보리하늘19663 21/06/27 19663 6
92278 [정치] 고속도로 민영화 하자는 이준석 [250] 노리26968 21/06/27 26968 0
92277 [정치] 20대 남자는 진짜 우리 사회와 괴리되어 있을까 [129] VictoryFood18101 21/06/27 18101 0
92276 [정치] 문준용 "포기하는 지원금 많다, 文 아들로 사는 건 재밌는 일" [72] insane20073 21/06/27 20073 0
92275 [정치] 택배사태의 결말? [47] 陰王15693 21/06/27 15693 0
92274 [일반] 낙오된 유럽은 지위를 회복할수 있을것인가? [116] 아리쑤리랑32138 21/06/27 32138 65
92273 [정치] 단 한문장으로 한국남성들 기분나쁘게 만들기 [68] 한이연21353 21/06/27 2135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