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4/08 09:55:40
Name elaborate
Subject [일반] IMF 세계 GDP 순위 전망 떴네요 (수정됨)
https://www.imf.org/en/Publications/WEO/weo-database/2021/April/select-country-group
*순위와 GDP는 2026년 기준입니다.

1위 미국 27조 6592억 달러
2위 중국 24조 1278억 달러
3위 일본 6조 5330억 달러
4위 독일 5조 2531억 달러
5위 인도 4조 5343억 달러
6위 영국 4조 279억 달러
7위 프랑스 3조 5387억 달러
8위 캐나다 2조 4667억 달러
9위 이탈리아 2조 4514억 달러
10위 한국 2조 2207억 달러
11위 브라질 2조 1721억 달러
12위 호주 2조 173억 달러
13위 러시아 2조 42억 달러
14위 스페인 1조 8241억 달러
15위 인도네시아 1조 6725억 달러
16위 멕시코 1조 4947억 달러
17위 터키 1조 2638억 달러

미중 GDP 증가율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실질 성장률인지 명목 증가율인지 모르겠는데, 아마 후자일듯)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미 6.4% / 3.5% / 1.4% / 1.5% / 1.6% / 1.6%
중 8.4% / 5.6% / 5.4% / 5.3% / 5.1% / 4.9%

중국이 미국 GDP를 따라잡을 가능성은 매우 현실적으로 된 것 같습니다. 다만 이게 장기적인 추세가 될지, 일시적일지는 계속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인구 문제는 유명한 이야기고, 그 외에 중국 정부가 미국을 따라잡고 계속 고성장하려면 테크 기업을 육성해야 하는데, 그 테크 기업의 덩치가 커져서 중국 공산당의 통제범위를 벗어나는 걸 극도로 두려워하고 있기 때문에 IPO 상장 철회 사례가 급증하는 등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일종의 딜레마죠. IT/테크 기업을 키워서 경제성장을 해야 하면서도, 그 기업들이 너무 커져서 공산당의 통제가 어려워지는 것은 막아야 하는...

그리고 산업 생산성에 매우 중요한 게 반도체인데, 중국은 서방의 제재로 고부가가치 반도체에 접근하기 힘들다는 점도 장애요소가 될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내년엔아마독수리
21/04/08 09:56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는 은근히 잡힐 듯 안 잡히네요
HA클러스터
21/04/08 10:01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 캐나다가 가시권인데 우리나라의 인구 노령화 속도를 생각하면 쉽지 않네요.
elaborate
21/04/08 17:58
수정 아이콘
캐나다랑은 앞으로 더 벌어질 가능성이 높을 겁니다.... 추월은 거의 불가능이구요.
아리쑤리랑
21/04/08 10:17
수정 아이콘
한국 인구가 이미 2015년도 수준으로 감소하는게 내년즈음 일어날 일이라..
이븐할둔
21/04/08 09: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IMF GDP산정은 각국정부가 내준 통계를 그냥 씁니다. 그러니 해당 자료는 "중국 당국의 통계에 의하면" 곧 미국을 앞지른다는 뜻이 됩니다. 서구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성장률을 공식발표의 절반이나 3/4정도로 봐야한다고 10여넌전부터 주장하는 중입니다.(물론 서구 학자들이 까내린다고 볼수도있겠죠? 중국 당국의 공식 통계는 리커창 총리도 안 믿긴합니다만...)
elaborate
21/04/08 10:13
수정 아이콘
근데 어쩔 수 없는 문제인 게, 제가 알기로 국제 기구들은 각국에 대한 내정간섭을 반대하는 입장이어서 중국에게 더욱 투명한 데이터를 요구하기가 어렵겠지요. 뭐 저쪽이 내는 통계에 의존할 수밖에..
아리쑤리랑
21/04/08 10:27
수정 아이콘
내정간섭을 '반대'하는게 아니라 '할 능력조차 없다'는게 국제기구의 현실입니다.
21/04/08 18:08
수정 아이콘
대격변이 일어나지 않는 다음에야 외부기관이 나라 간섭하는 것 좋아하는 나라가 있을리없죠
아리쑤리랑
21/04/09 00:22
수정 아이콘
좋아하고 자시고는 별 상관 없다는겁니다. 국제기관이 가진 힘이 애초에 없으니까요.
이븐할둔
21/04/08 11:28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국제기구는 학문적으로 데이터 선정에 정확성보다 정치적인 고려를 먼저 하는 곳이거든요. 그러니 통계를 인용하는 데 좀 조심해야한다고 보는 편입니다 :) WHO 사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내줬구요.
21/04/08 11:06
수정 아이콘
지난 15년간 실제 성장률이 중국이 발표하는 성장률의 5/8이었다고 가정하면
지금 중국 1인당 GDP가 1만불도 아니고 6천5백불이라는 얘기입니다.
주류 경제학자중에서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들은 찾기 힘들 겁니다.
이븐할둔
21/04/08 1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아 그런가요? 수치 부분은 제가 전공자거나, 직접 확인한 건 아니라 출처를 드리긴 어렵겠네요. 그냥 이런 이야기도 있다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건 리커창 총리가 중국 정부 공식 통계 안 믿는 것 + 중국 정부가 항상 자국에 유리하게 통계 마사지를 해온 건 확실한 fact가 맞다는 점입니다. 중국 정부의 공식 통계는 서방 세계 및 국내 학계에서 선전 자료 취급을 당하고 있으며 정작 중국 고위 공산당원들도 잘 안 믿는다는 거에요. (그 친구들이 보는 내부용 자료가 따로 있을 것 같긴합니다만....)

가장 큰 문제는 중국 공산당이 중국 학계 내부의 토론조차 막아버렸다는 겁니다. 시진핑의 종신 선언이후 연구자들이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도, 서로 연구한 내용을 토의하는 것도 무척 조심스러워졌습니다. 블랙 코미디 같지만 찬찬히 뜯어보시면 사실입니다.

덕분에 중국 실제 경제가 어느정도 규모인지는 시진핑만 압니다. 아니, 시진핑이라도 알면 다행이죠(...) 결국 중국 경제에 대한 평가는 개별적으로 알아서들 할 수 밖에 없긴 하네요.
21/04/08 12:54
수정 아이콘
전공자거나 직접 확인한 것도 아니고 심지어는 출처까지 모르는 상황에서 "서구 경제학자들은 중국의 성장률을 공식발표의 절반이나 3/4정도로 봐야한다고 10여넌전부터 주장하는 중입니다"라고 표현하나요?
이븐할둔
21/04/08 12: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술자리에서 교수님한테 듣고 논문 몇개, 책 한 두권보고, 학창 시절부터 흘러가는 이야기 보고 들은 거라 나름대로 확신은 있어요 :) 알아서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주장검증하려면 인용 논문 들면서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했고, 정보의 신뢰도는 어떠며, 어떤 평가를 받았는지 다 써야하는데 저한테 그걸 다 비교 검증할 역량은 없어서요.

제가 GDP 추정하는 법 훈련받은 사람은 아니니 뇌피셜이라고 보셔도 됩니다.

그런데 중국 통계청이 통계 뻥튀기 오지게 한다는건 이미 경제/경영 계통에선 한창 전부터 유명한 이야기라서 소개해드린거구요. 수치야 절반부터 3/4까지 다양하고, 얼마 안했다는 주장들도 있긴 합니다. 그래요. 제가 수치는 전공자도 아닌데 너무 자신감 있게 말했네요. "중국 통계국이 오래전부터 통계 뻥튀기해왔다는 건 서구 학계의 주요 합의점이다"정도로 표현을 정정하지요.
크레토스
21/04/08 11:29
수정 아이콘
중국 정부 통계상으론 올해 GDP 성장률 6% 이상 예상입니다.
이븐할둔
21/04/08 11:3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중국 정부 통계상으론 판데믹 발발 이후 중국 내 확진자 숫자가 9만명이라더군요. 한국이 10만 7천명이구요. 통계 숫자 살짝 고치는거야 모든 국가가 다들 하는데, 중국은 명백하게 그런 차원이 아니에요. 지표 상의 성과만 좋으면 보상이 주어졌던 정치 문화도 있고요.
크레토스
21/04/08 11:36
수정 아이콘
여기 IMF 자료상으로는 올해 성장률 8.4% 예상이죠. 중국 정부 예상보다 2.4%나 높습니다. 제가 보기엔 중국정부가 제공하는 데이터로 IMF 자기들이 알아서 산정하는 거 같아서요.
이븐할둔
21/04/08 11:53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Raw data에 손상이 있으면 후속 연구는 소용이 없어요. 이 부분은 심지어 지금 중국인 학자들도 예외가 아닙니다. 음... 좀 더 명확하게 설명드릴 수 있으면 좋겠는데 지식이 좀 부족하네요. 편하신대로 믿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타이팅
21/04/08 09:58
수정 아이콘
전교 10등인데 주변 애들이...
lck우승기원
21/04/08 15:56
수정 아이콘
반에서 4등..
블래스트 도저
21/04/08 19:13
수정 아이콘
반에서 꼴찌 한명은 옆자리에서 칼들고 설치다가 요샌 총 들고 설치고...
덴드로븀
21/04/08 09:59
수정 아이콘
코로나19야 고마워!! 라고 할수는 없고...거참 크크
가슴이 웅장해지긴 하네요. 2021년엔 내려갈것 같지만 그래도 10위라니!!

어쨋거나 이제 우리나라는 매우 잘사는 나라죠. 나만 돈이 없는거고 크크
elaborate
21/04/08 10:00
수정 아이콘
아 죄송합니다. 제가 년도를 안적었네요. 본문은 2026년 GDP 기준입니다.
덴드로븀
21/04/08 10:03
수정 아이콘
아 그렇네요. 그런데 2020년도 10위인데 2026년도 10위라... 하긴 5년뒤니까 충분히 가능할것 같긴 하네요. 인구감소로 인한 충격은 10년뒤에나 나타날것 같으니..

https://www.news1.kr/articles/?4267318
["작년 한국경제 세계 10위…1인당 GDP 이탈리아 추월"(종합)]
elaborate
21/04/08 16:18
수정 아이콘
우리가 생활패턴이 갈수록 빠른거에 익숙해져서 그렇지, 사실 GDP 5년이면 비교적 짧은 시간이라...
메디락스
21/04/08 10:00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 아직도 못잡았네...
21/04/08 10:04
수정 아이콘
중국 26년 24조 달러 달성은 자국예측일거같은데
왜케 달성 못 할거 같죠 크크

인도가 생각보다 못 큰것도 눈에 띄네요
pzfusiler
21/04/08 10:06
수정 아이콘
인도야 언제클래 빨리 중국좀 견제해줘
아리쑤리랑
21/04/08 10: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2026년이면 별 의미가 없는데요. 이게 무려 5년 후의 얘기인데, 2020년에 나온 다음해인 21년 전망만해도 약 3번은 바뀌었습니다. 이렇듯 다음해는 커녕 다음분기 예측도 사실상 미지수의 영역이에요.

그리고 기관별로 예측이 워낙 다르죠. OECD만해도 내년부터 중국의 성장율을 4.9% 로 점치는판이고. 2014년도 이코노미스트 전망에서 당시 중국 성장율인 7.6% 미국 성장율 2.0% 로 쭈욱 추세선 그려서 2020 2021년에 추월하는거랑 마찬가지죠. 장기가 될려면 참여자인 인구의 증가가 지속 되줘야 되고요. 그거 안되면 경제규모는 장기적으로 따라 내려갑니다.
elaborate
21/04/08 10:34
수정 아이콘
저도 중국 실제 인구 전망이 반영 안됐다고 보긴 하는데 뭐 IMF야 중국 정부 데이터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니까요.
아리쑤리랑
21/04/08 10: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니까 imf는 현재 상황에서 이럴것이란 추정치를 내놓는거고 계속 변수가 생기는데 굳이 2026년 전망을 들고 와서 이렇다라고 결론을 내리는건 크게 의미가 없다는거죠. 차라리 올해 예측이면 그나마 정합성이라도 더 있겠지만요. 그마저도 계속 바뀌는게 지금의 혼란한 상황이고.
elaborate
21/04/08 10:40
수정 아이콘
네 저도 저게 확정이라는 게 아니라 전망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다만 중국이 일시적으로나마 미국을 따라잡을 가능성은 점점 높아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역시 100%가 아니니 언제든 바뀔 수 있겠죠.
아리쑤리랑
21/04/08 10:5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니까 그 전망 즉 forecast란게 2026년 즉 5년이란 기간차를 둔다면 그 가치나 효용성이 퇴색한다는것이죠. 작년 3~4월 나온 전망, 7월, 10월, 고작 2021년이란 다음해 관련해서조차 갈피를 못잡아서 각기 다 달라진판에요.
elaborate
21/04/08 11:21
수정 아이콘
전 저 전망이 매우 효용성이 있고 유망하다고 한 적 없고 그냥 하나의 전망으로서 올렸습니다.
아리쑤리랑
21/04/08 11:29
수정 아이콘
네 그런데 말씀대로 '그냥 하나의 전망' 을 주장의 근거로 삼기는 힘들지 않을까 한게 제 얘기고요.
elaborate
21/04/08 12:26
수정 아이콘
저거 때문이 아니라 중국의 성장추세가 갑자기 급격히 꺼지지 않는 한 잠깐 동안의 추월은 가능하다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아리쑤리랑
21/04/08 12:3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예 그 부분은 이해했습니다. 저도 "현 추세로 간다는 전제하에서" 가능은 하다 봅니다. 숫자는 힘이고 중국은 인구수가 매우 많죠. 이게 감소한다는 미증유의 문제에 직면해있긴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어느정도 유지할테니까요. 다만 지난 10년 성장율의 하락을 생각해보면 얼마나 가능성이 높을지는 미지수일테고요.
노하와이
21/04/08 10:13
수정 아이콘
역시 공산당 독재정권의 한계가 보이네요. 고령화 문제도 심각해지는 만큼 미국에 내전이나 운석충돌, 옐로스톡 대분화 수준의 자연재해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따라잡는 일은 영영 없을 것 같고. 우리나라에갠 너무 다행한 일입니다.
배고픈유학생
21/04/08 10:18
수정 아이콘
예? 같은 본문 보신게 맞나요.
IMF 전망만 보면 중국이 미국 거의 다 따라잡는 걸로 나오는데요.
노하와이
21/04/08 10:43
수정 아이콘
미국의 힘은 경제력만 있는 게 아니죠.
배고픈유학생
21/04/08 10:48
수정 아이콘
IMF에서 전망한 GDP 순위가 글에, 본문은 중국이 미국 GDP 다 따라잡는 전망인데.

갑자기
(중국이 엄청 선방하는데) '역시 중국은 한계가 있네요.',
(경제력 이야기 하는 글에) '미국은 경제력만 있는 게 아니죠'
하시니 건 앞뒤가 안 맞지 않습니까.

물론 5년 안에 양국가 간의 파워게임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충분히 준비해야죠.
중국의 경제력이 더 커지면 우리 위치 선정이 더 어려워지는데. 우리나라에 너무 다행한 일이 어디 있습니까.
노하와이
21/04/08 1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앞뒤가 맞지 않다니요. GDP 얘기하는 글에선 GDP 얘기만 해야 한다는 법이라도 있나요. 중국 정부 통계는 뻥튀기가 심하다는 것도 고려해야 하고.
중국의 힘이 정말로 세지더라도 중국이 아예 세계 패권을 다 잡아먹는 것과 중국이 힘만 센 빌런으로 남는 것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지 않겠습니까. 최악과 차악의 비교지요.
답이머얌
21/04/08 14:35
수정 아이콘
그냥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고 하고 싶은 말만 하는 분인가 봅니다.
오렌지꽃
21/04/08 10:33
수정 아이콘
미국의 백인 고령화문제는 이미 중국보다 심각합니다. 미국은 인종별 교육격차,소득격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국가라 백인 고령화와 백인인구 비중감소가 생산성 저하에 매우 치명적입니다.
아리쑤리랑
21/04/08 10:34
수정 아이콘
현재 실리콘밸리는 인도계등 아시아계가 이미 주도하고 있어요. 그리고 미국은 애초에 백인 국가가 아닌 다인종 국가를 표방하죠.
그랜드파일날
21/04/08 10:38
수정 아이콘
이미 순수 백인은 인구 감소세라고 하더군요. 답은 인도인 이민 뿐이야...
elaborate
21/04/08 10:42
수정 아이콘
선진국의 힘은 인재를 끌어들이는 국가의 브랜드 및 소프트파워라고 봅니다. 그 대단한 아시아 인재들이 왜 미국 등 선진국으로 올까요? 인재는 어느 나라에든 있지만 그 인재를 끌어들일 수 있는 유무형의 소프트파워가 국가 경쟁력을 가른다고 생각합니다.
오렌지꽃
21/04/08 10:51
수정 아이콘
그 아시아인 인재들이 미국 등 선진국으로 오는 가장 큰 이유는 '선진국 프리미엄'을 누리기 위해서인데 그 프리미엄 자체가 감소하고 있으니 문제죠.
아리쑤리랑
21/04/08 11: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재 영미권 국가들 특히 미국의 경우 1인당 GDP 가 꾸준한 증가세를 이어오는 국가입니다. 그 프리미엄이 감소한다는 근거가 없죠. 그리고 정작 중국은 총인구 자체가 출산율이 1.2~1.3대로 떨어지는 현 추세로 가면 4억 8,400만명까지 떨어질수도 있다는 추정치가 나오고, 몇억 감소는 출산율이 기적적으로 2.1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는 이상 확정된판에요. 덜 세공되고 투박한 원석이라도 있는것과, 원석 자체가 없는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달과별
21/04/08 11:09
수정 아이콘
선진국 프리미엄은 감소하고 있으나 미국 프리미엄만은 증가하고 있지요. 인도인의 유학 국가 현황을 보면 지난 20년간 세계가 정말로 미국 일변도로 재편되었구나 느끼게 되더군요.
elaborate
21/04/08 11: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이 독보적이어서 그렇지 다른 선진국들도 여전히 이민자 유입이 꾸준한 편이긴 합니다. 영국 스타트업씬을 보면 인도계/유럽 대륙계 등 해외 이민자 출신이 많아요. 그 유명한 딥마인드의 CEO 데비스 하사비스도 그리스계고 내각 쪽에도 인도계/조지아계/이라크계 출신 장관들이 존재하고, 전기차 개발 스타트업인 어라이벌 CEO도 몇년 전에 러시아 정부에서 정보통신부 차관 지내던 사람이죠. 그리고 트랜스퍼와이즈였나 핀테크 스타트업의 CEO도 리투아니아 출신.
실바너
21/04/08 11:35
수정 아이콘
정량적인 요소는 아니지만 인도에서 영어가 공용어라는 사실도 엄청나게 크게 작용할 겁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10:50
수정 아이콘
어차피 미국은 외부수혈이 용이하니까 뭐...
오렌지꽃
21/04/08 10:53
수정 아이콘
외부 수혈이 질을 보장해주지가 않아서 문제입니다. 미국 이민자들의 거의 대부분은 남미와 아시안의 저학력 저소득자 들이고 평균 수준을 지속적으로 깎아내리고 있습니다.
아리쑤리랑
21/04/08 11:02
수정 아이콘
아시안들의 경우 보통 고학력입니다. 대학 졸업율이 미국 백인 계층보다 높은게 아시안인데 무슨 저학력인가요.
elaborate
21/04/08 11:17
수정 아이콘
저학력 저소득자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갈 여력이 얼마나 있겠습니까? 비율적으로 집안에 재력이 충분하거나 학력이 높은 사람들이 많이 가겠죠. 그러니까 미국 내 아시아계들이 그렇게 스펙이 좋은 거고.
오렌지꽃
21/04/08 11:33
수정 아이콘
미국행 이민자들의 모국이 어딘지 직접 찾아보시면 답이 나오겠지요.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11:27
수정 아이콘
근데 어차피 상대적이라고 보면 중국보다 나을겁니다...
노하와이
21/04/08 11:00
수정 아이콘
미국 최상위대학에선 아시아 인재가 너무 넘쳐나서 일부러 아시아인 커트라인을 높여버리는 인종차별을 자행해서 아시아인 숫자를 제한하는 판국이지요
모데나
21/04/08 17:23
수정 아이콘
대학입시원서에 응시자인종을 적어내는 어처구니 없는 인종차별이 용인되는 나라가 미국이죠. 이게 다 흑인때문.
이븐할둔
21/04/08 11: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내 인종중에 가장 소득이 높은 인종은 Asian American으로 가구당 중위소득이 8만 7천불로 인종 그룹 중 가장 높습니다. (백인계가 6만 6천). 2018년 연방 통계국 자료입니다. 특히 인도계가 실리콘벨리에서 뚜렷한 강세를 보이면서 성공하고 있는 편이어서요.
그랜드파일날
21/04/08 11:50
수정 아이콘
한국계 이민자들이 학력은 높은데 소득이 중국, 인도계보다 딸리는 게 전공 문제라는 이야기가 있죠. 중국, 인도계는 80% 이상이 STEM인데 한국은 미디어, 문학 이런 거 하다보니...
아웅이
21/04/08 10:15
수정 아이콘
미국이 건방지다고 더 열심히 팰지도?
캐러거
21/04/08 10:17
수정 아이콘
반편성 누가 한건지ㅠ전교 10등인데
네이비크림빵
21/04/08 10:36
수정 아이콘
똑똑한 애들 있는 반에 간 바람에 수능 성적오른 느낌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불굴의토스
21/04/08 22:17
수정 아이콘
좋게 해석하면 옆에다가 수출하기는 좋은 편이니...
Final exam
21/04/09 02:04
수정 아이콘
반에서 1등하자고 아프리카나 남미 등지에 가는 것도 썩 좋지는 않네요.
일희일비 안하는 걸로...
21/04/08 10:21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 못잡았다
=선진국 아니다
21/04/08 10:27
수정 아이콘
선진국 기준은 보통 1인당 GDP로 때려잡느냐 마느냐로 보기 때문에 이탈리아는 이겼다고 봐야죠. 작년에 처음으로 이탈리아 1인당 GDP를 넘겼습니다.
21/04/08 10:47
수정 아이콘
아 아무튼 개도국이라고요! 드립이였읍니다
근데 1인당은 넘어섰군요 크...
21/04/08 10:48
수정 아이콘
크크크 사실 저도 아는데 이제 이탈리아가 개도국이죠 크크크
21/04/09 15:02
수정 아이콘
이제는 계도국입니다 크크
21/04/08 10:29
수정 아이콘
전교 1,2,3위랑 책상 맞대고 있는 한국찡..ㅠㅠ
벌점받는사람바보
21/04/08 10:34
수정 아이콘
중국 진짜 대단하네요
미국에 버금갈만한 고점 찍은 국가가 중국, 일본, 소련인걸 보면
위치상 다음은 우리차례일듯 ? :D
다크폰로니에
21/04/08 10:45
수정 아이콘
인도네시아도 대단하네요
21/04/08 10:46
수정 아이콘
전교 10등인데 반에서 4등...ㅠㅠ
최상환
21/04/08 10:57
수정 아이콘
캐나다가 대단하네요
인구수가 4000만이 안되는데
노하와이
21/04/08 11:02
수정 아이콘
미국이랑 붙어서 긴밀하게 경제 협력하고 있으니까요. 그럼 멕시코는 뭐냐고 하면 할 말은 없지만서도...
빛폭탄
21/04/08 10: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스위스 86,849
미국 63,415
싱가포르 58,902
네덜란드 52,247
스웨덴 51,796
독일 45,732
영국 40,406
일본 40,146
프랑스 39,907
[한국 31,496]
이탈리아 31,288
대만 28,305
스페인 27,132
포르투갈 22,488
중국 10,483

주요국 1인당 gdp입니다.
21/04/08 11:12
수정 아이콘
역시 로마 후예를 두고 경쟁이 치열한데요
모데나
21/04/08 15:52
수정 아이콘
노르웨이 핀란드 뉴질랜드 호주 덴마크 폴란드 UAE 이스라엘 캐나다 등이 빠졌네요
여우별
21/04/08 21:20
수정 아이콘
와 스위스
Contax_Aria
21/04/08 11:01
수정 아이콘
아무리봐도 나라 체급을 생각해보면 한국이 10위 라는게 진짜 어메이징 이네요.
한국위의 유럽이 영,프,독,이태리 뿐인걸 감안하면 진짜 놀랍네요.

우리들이야 보면서 왜 더 안올라가냐 하지만 다른 나라에서 볼때는 영국 영토 반만한 크기의 나라가 10위 라는게 놀라울겁니다.
어강됴리
21/04/08 11:06
수정 아이콘
영국이 24만 제곱킬로미터니까 한국의 10만의 2배 반정도 되네요 반도 안됩니다. ㅜㅜ
날아라 코딱지
21/04/08 11:1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지금도 미래도 한국은 통일외엔 답도 비전도 없다는겁니다
통일 한국의 영토는 23만이죠 작지않은 영토죠
노하와이
21/04/08 11:38
수정 아이콘
통일은 지독한 독이 든 성배입니다. 그나마도 중국 일본이 들이키지 못허개 벙해할 생각 만만인 성배요.
실제상황입니다
21/04/08 11:40
수정 아이콘
통일에 비전이 있긴 한가요. 요즘엔 통일 반대 여론이 대세인 것 같던데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11: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어쨌든 그런 대형이벤트 발생시 단기적 악재를 수습할 수 있다면...기회정도는 가능할 수 있다정도...난이도가 하드코어라 그렇지...
그런 극약처방급 이벤트조차 없으면 끌어올릴만한 모멘텀을 당길 곳도 거의 없다고 봐야하니...이미 선진국단계까지 오른지라...
문제는 준비가 되어있지가 않...
까놓고 말하면 원한다고 통일이 되는건 아니지만 원하지 않는다고 안될거라고 말하기도 그런거라 준비는 필요한데 말이죠...
21/04/08 14:33
수정 아이콘
전 통일 반대합니다.만약 한다면 미국식 연방제나 일국양제처럼 어느 정도의 제한을 둬야한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국가로 남겨두고 유럽처럼 연합체를 구성(우리나라에 유리한 쪽으로)하는게 최선이라고 봅니다.
Chandler
21/04/08 14: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북한정권붕괴에 이어지는 국군과 중공군의 평양레이스를 보고싶은 사람은 없겠죠.

이런 전개가 아니라면 현실적으로는 적당한 이웃나라 정도의 남북관계에서 북한정권이 군사도발 안하면서 적당히 교류 하고 시장경제 개방이 제일 베스트 시나리오일것이라 생각합니다. 통일을 하기엔 너무 멀리왔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원치않더라도 저런 시나리오가 가능하기 때문에 대비는 하긴해야죠...막상 중국이 북한을 통채로 삼킨다면 그것도 골치가 아플테니
모데나
21/04/08 18:00
수정 아이콘
북한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이 군사적으로 충돌하면 우리가 가볍게 이깁니다. 북한군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지 못한다면, 중국은 두만강~압록강 뒤에군대 모아놓고 무력시위만 할 겁니다. 6.25전쟁때처럼 중국이 대규모병력을 투입한다면 결국 우리군이 밀리겠지만, 그러면 유럽과 일본이 직접 참전하게 되고 미군도 규모를 키우면서 3차세계대전이 일어나서 결국 중국은 망합니다.
쩌글링
21/04/08 16:18
수정 아이콘
통일을 우리가 뭐라고 반대하나요.
향후 체제가 무너진 북한을 중국이 먹는데 찬성하시나요? 라고 하면 우린 아직 역량이 안되니 그러라고 해야지라고 하시겠다는 거죠?
21/04/08 16:28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가 북한을 그대로 소화하기에는 역량이 안 되니 연방이나 연합,일국양제같이 현재의 대한민국에 없는 행정체계를 고려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당연히 이건 북한이 정상적으로 국가의 기능이 수행하는 걸 전제로 하는 이야기고요.
만약 체제가 무너진 혼란기이면 울면서도 들어가야죠...
모데나
21/04/08 17:36
수정 아이콘
그게 현실적으로 가능하지가 않아요. 어느시점에서 북한주민들의 남한으로의 대규모러시가 시작되면 막을수가 없어요.
21/04/08 11:01
수정 아이콘
러시아..
날아라 코딱지
21/04/08 11:11
수정 아이콘
그러나 현실은 자국민들만 지옥불반도 헬조선
인세막장국가
다들 죽지못해 산다는 절망과 비관만이 존재하는 나라
이븐할둔
21/04/08 11: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선진국치고) 살기 힘들다라고 이해하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사실 선거를 통한 평화적 정권 교체가 가능하고, (굶어죽을 정도의) 극단적 빈곤이 없으며, 국방을 손놓지 않았고, 기초적인 의료 시스템과 사회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는 국가에 사는 사람보다 아닌 사람이 더 많거든요.
국진-_-
21/04/08 11:38
수정 아이콘
기초체급에 비해 기적적으로 잘 살게 된 나라인만큼, 그 만큼의 희생이 있었던 건 아닐까요..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11: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초기에 비슷한 포지션 나라 중에서 사람 안갈고 있는 나라가 없을리는 없고 그리 갈아넣어서 성공한 케이스가 몇 나라 안되고 그 중 한국이긴 하죠...괜히 기적이 아니죠 크크
21/04/08 11:56
수정 아이콘
중국은 하방이 더 열려있는 국가라서 전망치보다 더 낮게 나올거라 예상합니다.
21/04/08 12:32
수정 아이콘
8-13위는 고만고만 하네요. 일본 = 3x러시아, 중=12x러시아쯤... 우리나라가 약물로 올린 랭킹은 아니겠죠.
21/04/08 12:40
수정 아이콘
이런건 볼 때마다 신기해요, 어떻게 저 순위에 있지??
CapitalismHO
21/04/08 12:45
수정 아이콘
성장률만 보면 중국이 꽤 꺾였는데, 이젠 규모자체가 상당해서 절대적 증가폭이 상당하죠. 그래서 어느정도 성장률만 유지해도 한동안 미국을 급격히 따라가는 모습을 보여줄겁니다.

한국으로 보면 60년에 100달러에서 94년에 1만달러 달성에 34년, 06년 2만달러 달성에 12년, 17년 3만달러 달성에 11년 걸렸습니다. 성장률만 보면 여러차례 반토막 났지만 전체 규모만 두고보면 오히려 후반이 더 빠르게 커집니다. 수십년 후는 몰라도 가까운 시기에 중국파워는 오늘보다 내일이 무서울거에요.
Zakk WyldE
21/04/08 13:05
수정 아이콘
캐나다랑 호주가 대단하군요.
밀물썰물
21/04/08 14:16
수정 아이콘
그렇지요?
캐나다는 근 4천만 된다지만 호주는 한 2천5백만 인데 한국과 별로 차이가 없어요. 자원이 많기는 하겠지만.
21/04/08 22:22
수정 아이콘
저것도 저성장이라 쳐진거지 G7에 괜히 소속된게 아니었죠. 옛날 70~80년대엔 중국 인도 브라질 스페인보다 높았던 나라
호우형주의보
21/04/08 14:09
수정 아이콘
캐나다 이탈리아는 주 산업이 머가있죠? 이탈리아가 의외네요. 몰라서 여쭤봅니다.
개발괴발
21/04/08 15:42
수정 아이콘
가. 산업 특성

- 이탈리아는 기계산업의 강국으로 특히 첨단, 정밀 기계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 공작기계 생산액 4위, 수출액은 3위를 기록하고 있음

- 지역 클러스터 형성을 통해 효과적인 인력양성과 협력체계 구축으로 글로벌화에 성공하였으며 기계 중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정밀 공작기계 분야에 특화됨

- 미국의 보잉, NASA, 포드 등에 첨단 기계 수출이 급증하며 ‘18년 총 생산액 68억 유로를 기록, 전년대비 11.3% 성장하며 중요 산업으로 자리매김함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784/globalBbsDataView.do?setIdx=403&dataIdx=179278

라고 합니다.
대체로 이탈리아 최대 수출품목은 기계/기계가공이고 그 다음이 섬유, 원자재, 자동차 등등이라고 하더군요. 의외로 식품 분야에서는 두각을 드러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파르마지아노 레지아노라든가 올리브유가 유명하기는 해도 전체 수출품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별볼일 없나봐요.
호우형주의보
21/04/08 15:45
수정 아이콘
의외네요. 그냥 저는 그리스 정도(관광) + 자동차 + 명품 정도 생각했는데 기계공작이 유명하다니 확실이 공대짱짱맨인거 다시 확인합니다,

감사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15:49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에서 북부와 남부의 경제력차이가 그런부분이겠죠...
21/04/08 22:08
수정 아이콘
북부이탈리아가 아마 유럽에서 제일 잘사는 동네죠..?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22:14
수정 아이콘
뭐 룩셈부르크나 스위스같은 나라가 있으니...글쌔요?
21/04/08 22:17
수정 아이콘
아 그쪽동네가 더 잘사는군요..
21/04/09 11:55
수정 아이콘
정밀 기계쪽에 이탈리아가 원천기술 가지고 흔드는게 장난 아닙니다.
밸브부터 배관재나 크게는 컴프레서나 터빈 종류도 이탈리아꺼 엄청 많이 써요.
둥두두둥둥
21/04/08 19:17
수정 아이콘
정밀기계 분야에서는 한국보다 한 수 윗급일거에요.
21/04/08 14:12
수정 아이콘
중국식 자본주의라 이렇게 버티는 거지,
아니었으면, 이미 미국 유럽에서 손 봐줬겠죠. (예전 독일 일본처럼.)
근데, 슬슬 부작용이 오는 것 같기도 하고...
점점 부유해지는 국민들을 계속 통제할 수 있는지 궁금하긴 합니다.
라이언 덕후
21/04/08 14:12
수정 아이콘
반도체야 꼭 D램은 아니더라도 돈 쏟으면 다른 분야는 어찌저찌 될 것 같기도 하고... 앤트파이낸셜 IPO는 중국이 아니라 한국이라도 당국이 니네 미쳤냐면서 거부했을 것 같은 문제라...
-안군-
21/04/08 14:22
수정 아이콘
영원한 선진국의 관문 대한민국...
GDP계의 로우바둑좌...
StayAway
21/04/08 15:21
수정 아이콘
아.. 페라가모만 아니었으면 이태리 이기는건데..
로제타
21/04/08 16:34
수정 아이콘
뭐 이런 나라가 다 있어.....
forangel
21/04/08 17:02
수정 아이콘
옷장에 메이드인이태리가 많은거 보니 내탓인가 싶기도 하고..
21/04/08 17:44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를 따라잡는 게 뭐가 중요한 지 모르겠어요, 이만큼 나라의 체급이 커진 것 만해도 대단한거고 이정도로 현상유지만 해도 충분하지 않을까 싶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17: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대부분 반 농담으로 하는거죠...크크
강대국의 최소라는 이탈리아가 비슷한 곳에 보이니...그냥 즐길때 즐기는거죠...실제로 넘는건 쉽지 않다는걸 누가 모르겠나요...
둥두두둥둥
21/04/08 19:18
수정 아이콘
프랑스부터는 넘사네요 확실히
불굴의토스
21/04/08 22:15
수정 아이콘
이탈리아는 예전에 얼마나 쩔었던건지 성장 거의 무뎌진것으로 알고있는데 아직까지 버티고있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1/04/08 22:18
수정 아이콘
강대국의 최소가 원래 이탈리아를 말하는거였으니까요...
불굴의토스
21/04/08 22:19
수정 아이콘
워낙 중세시절부터 잘살던 동네이긴 하니...
-안군-
21/04/09 15:37
수정 아이콘
유럽 선진국들은 말하자면 "갓물주"들이죠. 이미 가진게 많아서 거기서 들어오는 수익도 많은...
우리나라는 고소득 무주택자 같은 느낌이고요. 이정도 따라온것만 해도 대단한거죠 사실...
불굴의토스
21/04/08 22:22
수정 아이콘
브라질, 터키, 인도네시아, 멕시코 등 보면 인구, 영토 등 기본체급이 확실히 중요하긴 하네요

이쪽분야는 잘 모르다보니 흥미롭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237 [일반] 북한, 국경 전 지역에 콘크리트 장벽·3300V 고압선 설치한다 [111] 노하와이17031 21/04/08 17031 1
91236 [일반] 결혼이라는 비현실적인 일에 대하여 [57] 아타락시아114566 21/04/08 14566 7
91235 [일반] IMF 세계 GDP 순위 전망 떴네요 [129] elaborate21269 21/04/08 21269 5
91233 [일반] [13]예전에 갔었던 적멸보궁 여행기 -2- [15] noname1110083 21/04/08 10083 12
91232 [일반] 열살 서연이 사건. [20] 진산월(陳山月)11946 21/04/08 11946 0
91231 [일반] 영화 헝거게임과 혁명주의적 세계괸 [10] 서랏7146 21/04/08 7146 0
91229 [일반] 인텔 11400F와 B560의 가성비는 과연 좋을까? [19] SAS Tony Parker 9342 21/04/08 9342 0
91228 [일반] 유럽의약품청(EMA)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매우 드문 혈전 관련 브리핑 요약 [46] 여왕의심복15193 21/04/07 15193 42
91227 [일반] 가끔은 소름이 돋는 서태지의 곡들 - (1) [29] 라울리스타9105 21/04/07 9105 11
91226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60세 미만접종 잠정 보류 [46] 맥스훼인14142 21/04/07 14142 3
91224 [일반] <더 파더> 후기 - 비극을 바라보는 자세(스포) [2] aDayInTheLife6838 21/04/07 6838 1
91223 [일반] 압구정 현대 80억 돌파, 반년새 13억 급등 [128] Rumpelschu16930 21/04/07 16930 1
91221 [일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뇌정맥동 혈전(CVST) 관련 정보 및 의견 [62] 여왕의심복16432 21/04/07 16432 54
91220 [일반] [13]예전에 갔었던 적멸보궁 여행기-1 [14] noname1112185 21/04/07 12185 10
91217 [일반] 자영업자의 한숨 [33] 그림속동화13929 21/04/07 13929 34
91216 [일반] 독일, 60세 미만은 AZ 후 2차 접종은 다른 백신 권고 [23] lightstone11156 21/04/07 11156 3
91215 [일반] 국내 생산 백신 수출 제한?…"모든 대안 검토" [41] 어강됴리11937 21/04/06 11937 2
91214 [일반] 유럽의약품 고위 관계자가 아스트라 제네카와 혈전의 관계를 인정했습니다. [94] patio17885 21/04/06 17885 12
91213 [일반] [외교] 日·中 외무장관 통화, 위구르-홍콩 문제 거론 [40] aurelius13771 21/04/06 13771 7
91212 [일반] 4차 유행이 목전입니다. 한번 더 양치기 소년이 되려고합니다. [100] 여왕의심복18501 21/04/06 18501 102
91211 [일반] 네덜란드 Booking.com에 56만불 벌금 부과 [1] 타카이9661 21/04/06 9661 2
91210 [일반] 중국 민병대 어선이 정박한 필리핀 EEZ에 구조물 발견 [14] 아롱이다롱이9072 21/04/06 9072 1
91209 [일반] 자살하기 전 한 중학생의 7시간.......jpg [63] 컴온아웃사이16136 21/04/06 16136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