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1/04 11:49
네. 정부에서 돈 쏴주고, 금리 내려주니 이자 지출 줄어들고, 밖에 나가서 돈도 못 쓰니 그 돈으로 투자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 핵심은 화이트칼라에 있다는 거구요.
21/01/04 12:13
네 맞습니다. (재정정책에 따른)소득 증가, (서비스업 중심의)지출 감소, 따라서 저축 증가라는 큰 틀은 우리도 같죠. 물론 우리는 통제가 약했고, 그만큼 돈도 덜 풀어 미국만큼 극적인 숫자는 아닙니다만, 한은이 2020년 저축률이 1999년 이후로 최고치를 찍을 것 같다는 이야기를 하긴 했습니다.
21/01/04 12:04
미국 사정은 모르지만 미국인이라고 전부 금융투자를 하는건 아닐거고 결국 금융투자의 여유가 있는 계층은 상대적으로 여유가 생겼다는 말이군요.
21/01/04 12:32
네, 소득이 줄지 않거나 외려 늘어난 집단의 경우, 금리가 내려가고 소비할 곳이 줄어드니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 선호가 강해질 공산이 큽니다. 가령 극단적으로 대출 금리가 10%일 때와 1%일 때의 위험자산 선호는 당연히 큰 차이가 있겠죠. 주식 안에서도 차이가 나는 게 작년 다우지수는 약 7% 상승, S&P500지수 약 16% 상승, 나스닥 지수 약 44% 상승입니다(...).
21/01/04 12:08
실제로 코로나때문이 경기 파탄이라고 말하지만 대기업들은 의외로 실적 잘 찍고 주가 날아가는 중이고 중소기업 자영업자 소상공인만 죽을맛이죠
21/01/04 12:37
아예 사회에 진입조차 못한 취준생을 빼놓으시면 섭합니다. 학자금 대출이 있는 취준생이 많아요. 그나마 학자금 대출이 없으면 자영업자 보단 나을려나...
21/01/04 12:36
팬더믹보다 서민들 경제적 타격이 컸던 금융위기때 미국 소득 불평등이 매우 악화되었다는 인상이 박혀있지만 2007년부터 2017년 기간 동안 상위 20%의 소득 증가가 중위 60%보다도 좀 더 부진했다는 의회예산국의 보고서가 있었습니다. 고정관념과 틀려서 놀랍더라고요.
이번엔 의회발 경기부양이 후했던게 커서 그런지 올해부터 경제성장률이 6%대일수 있다는 장미빛 예측이 나오고 있죠. 중소기업들이 많이 폐업을 하기는 했지만 누적된 소비여력이 크다면 그만큼 창업활동도 금방 따라 붙지 않을까 희망적으로 생각해보고도 싶네요. 물론 제대로된 대규모 백신접종이 벌어지지 않으면 탁상공론일뿐인거지만.. 별개로 지금과 같은 자산시장 상황에서 민주당이 조지아 보궐선거에서 이기고는 양도소득세를 올리려고 하면 이게 더 수월할지 아니면 역풍이 더 쌜지 의구심이 글을 읽으며 문뜩 들기도 했습니다.
21/01/04 13:00
그래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불평등 논의가 점점 자산불평등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던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소득은 정부재정을 통해 어느정도 조정할 수 있지만, 자산불평등은 그렇지가 않죠.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위기 속에서도 기회를 포착하고 과감히 실행하는, 표현이 적당한지는 모르겠지만 아비투스가 형성되어 있어 격차를 늘려갔죠.
미국이나 우리나 참아왔던 에너지가 소위 보복소비로 터지며 인플레이션을 만든다는 시나리오가 언급되긴 합니다만 지금은 판단하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저도 자산시장을 떠나 긍정적인 시나리오를 바랍니다만 백신의 효과, 유통 및 접종 속도 등 아직 불확실한 면이 많아서요. 민주당이 조지아에서 이겨 부통을 포함한 상원 과반에 성공하더라도 빅테크 때리기, 세금 인상을 빠르게 진행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것도 올해와 내년 미국의 경기에 따라 강약 조절 혹은 공약 취소가 있을 공산도 있다고 봅니다.
21/01/04 13:00
이번에 미국에서 재난지원금이 풀리면 더 심해질 겁니다.
지난 5월 우리나라 전국민 지원금 때를 돌이켜보면 알 수 있지만, 보편적 지원금은 정말 [친시장적인] 복지정책이거든요. 지원금으로 외식을 하더라도 맛없는 곳에 가진 않아요. 지원금은 전국민의 호주머니에서, 경쟁력있는 사업체의 장부를 거쳐, 가장 소득이 높은 사람들의 은행 계좌로 모입니다. 저도 여러가지 측면에서 기본소득은 앞으로 도입해야할 필수적인 제도라고 주장하지만, 세금 인상이 없다면 빈부격차를 가속화할 겁니다.
21/01/04 13:24
우리나라 정치권에서는 보편복지에 대한 입장이 보수-진보가 리버스된 상태라 그렇지, 말씀처럼 보편복지는 친시장적 복지정책입니다. 이론적으로도 보편복지는 개개인의 분배에 개입하지 않습니다. 반면 선별복지는 가령 이재용에겐 지급되지 않고 저에겐 지급하니, Ceteris Paribus에선 정부가 소득분배에 개입하게 되는 형태이기 때문이죠. 또한 현실에서 말씀처럼 지원금이 경쟁력이 있는 사업장으로 흘러갈 공산도 적지 않구요.
다만 작년의 상황에선 지급하는 타이밍이 어느 때보다도 중요했기에 보편지원이 더 올바른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기준 세우고 선별하는데 시간을 허비하면, 골든타임에 따른 효과가 급격하게 반감될테니깐요.
21/01/04 13:37
맞습니다. 저도 같은 이유로 전국민 지원금에 적극 찬성했고요. 지금은 부작용이고 나발이고 그냥 혈관에 주사바늘 꽂고 진통제와 영양제를 부어넣어야하는 상황이죠. 이런 부작용들을 어떻게 완화하는 출구전략을 준비하느냐가 문제인거죠. 어려운 문제 같습니다.
21/01/04 14:21
다만 최근의 특이점이라면 과거엔 가령 주식시장에선 개인은 투매하고, 기관들이 저가에 받는 그림에서 현재는 뒤집어졌다는 것입니다. 주식, 부동산 등 대중은 공포에 던지고, 기관이나 부유한 개인들이 이를 줍는 형태에서 바뀐 것이죠. 개인적으로는 학습효과도 있을 것이고, 유튜브 등 정보접근성이 좋아진 영향도 있을 것이라 생각하긴 하는데, 이게 어떠한 결과로 나올지 지켜볼 일입니다.
21/01/04 15:33
조금이라도 정치 내용이 있거나 불이 옮길 우려가 있으면 정치글이 맞는 것 같습니다. 국내정치에 질려 정치 탭을 잘 안 보시는 분들이 못 볼 수도 있다는 점은 생각하지 못했네요. 고민해보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