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10/04 14:07:33
Name Leeka
Subject [일반] 2020년 7월 기준, 지역별 아파트 전용 59/84 평균가격 순위 (수정됨)
2020년 7월에 실제 거래된 가격의 평균으로 계산되었습니다. 

- 전용 59, 일반적으로 25평으로 부르는 아파트 기준..  5억 이상만. 

1위 - 서울 강남 14.2억
2위 - 서울 서초 13.7억
3위 - 경기 과천 12.8억
4위 - 서울 용산 11.1억
5위 - 서울 성동 10.2억

6위 - 서울 송파 9.6억
7위 - 서울 마포 8.9억
8위 - 서울 광진 7.9억
9위 - 경기 성남시 분당 7.9억
10위 - 서울 동작 7.9억

11위 - 서울 영등포 7.8억
12위 - 서울 강동 7.4억
13위 - 서울 양천 7.3억
14위 - 서울 서대문 7.1억
15위 - 서울 종로 6.6억
16위 - 경기 하남 6.6억
17위 - 서울 성북 6.6억
18위 - 서울 동대문 6.5억
19위 - 경기 성남시 수정구 6.4억
20위 - 서울 중구 6.0억

21위 - 서울 강서 5.6억
22위 - 서울 관악 5.5억
23위 - 경기 성남시 중원구 5.4억
24위 - 서울 은평 5.4억
25위 - 경기 광명 5.3억
26위 - 서울 노원 5.3억
27위 - 서울 강북 5.1억
28위 - 경기 용인시 수지구 5.1억


총 28개의 지역이 2020년 7월 기준. 전용 59가 평균거래가 5억을 넘긴 상태입니다.
(서울은 단 4개 구만 5억을 못넘겼으며.  
그 외는 경기도 과천, 성남, 하남.  그리고 용인시 수지구만 넘겼습니다.)


- 전용 84, 일반적으로 32평으로 부르는 아파트 기준. 6억 이상만. 

1위 - 서울 강남 17.8억
2위 - 서울 서초 17.3억
3위 - 경기 과천 14.6억
4위 - 서울 용산 14.6억
5위 - 서울 성동 12.0억

6위 - 서울 송파 11.9억
7위 - 서울 광진 11.4억
8위 - 경기 성남시 분당 11.4억
9위 - 서울 마포 10.2억
10위 - 서울 동작 10.2억

11위 - 서울 중구 10.2억
12위 - 서울 종로 10.0억
13위 - 서울 영등포 9.8억
14위 - 경기 성남시 수정구 9.3억
15위 - 서울 양천 9.2억
16위 - 경기 하남 9.0억
17위 - 서울 강동 8.6억
18위 - 서울 서대문 8.4억
19위 - 서울 성북 7.8억
20위 - 서울 강서 7.7억

21위 - 서울 동대문 7.4억
22위 - 경기 광명 7.4억
23위 - 경기 수원시 영통 7.1억
24위 - 서울 관악 6.8억
25위 - 서울 은평 6.8억
26위 - 서울 노원 6.6억
27위 - 서울 구로 6.6억
28위 - 경기 용인시 수지구 6.6억
29위 - 경기 안양시 동안구 6.5억
30위 - 세종 6.5억

31위 - 경기 성남시 중원구 6.4억
32위 - 서울 중랑 6.4억
33위 - 서울 강북 6.3억
34위 - 경기 구리 6.2억


총 34개 지역이 2020년 7월 기준. 전용 84가 6억을 넘긴 상태입니다.
(서울은 금천 5.9억, 도봉 5.5억.  단 2개 지역을 제외하곤 모두 넘겼습니다.)

서울 이외에는 경기 과천 - 경기 성남 - 경기 수원시 영통구 / 경기 안양시 동안구 / 경기 용인시 수지구 / 경기 구리시와  세종시가 넘겼습니다.




평균 가격이기 때문에..  구축이 많은 곳은 가격이 내려간다거나.
7월에 구축 거래가 많았다면 가격이 낮게 잡히고. 대장 아파트나 신축 거래가 많으면 높게 잡히는 등의 이슈는 있습니다만

대략적인 지역의 평균 가격을 알아볼 수 있을 정도는 되는 자료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불쌍한오빠
20/10/04 14:40
수정 아이콘
전세도 아예 매물이 없네요ㅠㅠ
있어도 가격이 2년전에 비해 4-50% 높게 책정이 되어 있고...
이사가 너무 걱정입니다
브라이언
20/10/04 14:48
수정 아이콘
세입자를 위한답시고, 부작용 생각도 안하고 정책 밀어붙인 문정권 덕분이죠.
등짝을보자
20/10/04 14:53
수정 아이콘
요즘 전세보면 답답합니다, 그나마 집값은 없고 대출은 죄여도 전세가 크게 상승안한게 그나마 다행이였는데, 이제 전세도 떡상해버렸죠 하 진짜 욕을 안할 수 가 없네요
20/10/04 15:2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세대출 한도제한 때문에 전세가가 거의 오를 수 없다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도 있었는데, 그분들은 너무 지엽적인 면만 본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뭔 대출을 어떻게 제한하건, 뭔 정책을 어떻게 하건, 그런 관념적인 얘기와 spot시장에서의 가격 변동과는 전혀 별개의 것이라는 것. 가격의 변동에 있어서 그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수급 및 가격의 싸이클적인 장기 변동이라는 것.
또한 대출 및 금리 등의 문제를 떠나 매매가와 임대가라는 것은 자체로 물가의 속성을 가지고 있기에 아무런 이유를 가지지 아니하고도 가격 자체는 그냥 계속 오르는 것이라는 것. 또한 그 상승의 속도는 생각보다 빠를때가 상당히 자주 있다는 것.
등등..

그러한 것들을 간과한 것이 바로 '대출을 죄였으니 전세가 못오른다'는 주장이라고 봅니다.

한편으로 유의할 것은, 그것이 향후에는 반대로 돌아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세는 대출이 어느정도 잘 나오는 편이지만 매매는 정말 말도 안될 정도로, 국가경제를 자살시키는 수준으로 묶어놨는데, 이것은 결코 지속가능한 수준이 아닙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요. 지속이 불가능하니 결국 어느 시점에 가서는 대출을 완화하기 시작해야 합니다. 집을 많이 짓고, 사람들이 그 집을 많이 사도록 하려면 대출을 완화하지 않으면 안되고, 만약 그렇지 않으면 경제가 정말로 망하는 지경으로 갑니다.
완화의 초기에는 그것이 가격에 상승압력으로 작용할수도, 하지 않을수도 있겠지만, 어느 시점에 갔을때 만약 가격에 상승의 동력이 없다면 그때는 아무리 대출완화 및 각종 부양책이 지속되더라도 가격이 오르지 못하는 일도 있을 수 있죠.
상승의 동력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그 중에서 주로 두가지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공급, 그리고 가격 그 자체.
대출을 조이니 가격이 못오른다는 얘기가 틀린것처럼, 대출을 푸니 가격이 오른다는 얘기도 틀리는 때가 올 수 있습니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20/10/04 18:16
수정 아이콘
그럼 대출을 풀고 공급을 정상적인 수준으로 올려도 집값 상승의 동력이 다른 이유로 사라져서 경기 침체가 올 수도 있을까요?
몽키매직
20/10/04 14:59
수정 아이콘
반포 일대 및 대치동 일대는 20년 이상되지 않은 중규모 이상 단지는 평당가 1억에 근접해가고 있습니다.
아크로리버파크 평당 1억 찍을 때도 미쳤다고 했는데 조금 있으면 평당 1억 우수수 진입할 예정입니다...
20/10/04 15:06
수정 아이콘
송파가 26평 평균이 9.6억밖에 안 되나요??
20/10/04 15:14
수정 아이콘
송파는 잠실과 그외가 차이가 좀 나는 동네죠.
20/10/04 18:45
수정 아이콘
송파의 상대적 고가의 아파트는 잠실인근인데 거래허가제로 지정되어 거래자체가 거의 올스톱된 상황이니 송파구평균에 잠실이 빠져있을겁니다
20/10/04 15:22
수정 아이콘
똘똘한 한 채 강제 시대인데 서울과 경기도 상급지 오르는건 필연이죠.
20/10/04 15:24
수정 아이콘
과천의 위엄이라고 해야 할 지, 김수현의 위엄이라고 해야 할 지, 대단하네요.
20/10/04 15:27
수정 아이콘
이런순위에 끼고 싶지 않은데.. 서울도 아닌데. 사는 동네 집값이 미친듯이 올라서 뭐 어찌해야 할지를 모르겠네요.
20/10/04 15:30
수정 아이콘
위에도 못끼고
아래는 두 지역 중 하나인 곳에 삽니다.
저희 동네로 오세요 집값 오른 거 체감 0!!!
다리기
20/10/04 15:55
수정 아이콘
오르는 곳만 겁나 오르고 안 오르는 곳은 안 오르다보니..
내 집값이 올랐는데도 옆그레이드 이상하면서 이사 가려면 집값 안 오른 지역으로 가야하죠..

집값 오른 분들은 지금이 지방 유지가 될 기회입니다 크크크
박세웅
20/10/04 16:13
수정 아이콘
로또1등 되도 강남 괜찮은 아파트는 못 사네요? 크크
20/10/04 16:59
수정 아이콘
이렇게 올리는 것도 능력인듯
교강용
20/10/04 17:46
수정 아이콘
정권기간중 2/3가 지났는데 이상한 정책 내고 이러는거는
실패한게 아니라 정권 의도대로 흘러가고 있고, 일부로 폭등시키는게 맞는듯
브라이언
20/10/04 19:42
수정 아이콘
그러니까 더 욕 나오네요
차라리 솔직하기라도 했으면 배신감이라도 안 느끼지.
말로 서민을 위한다면서, 실상은 집값 폭등시키는 정책에 이어, 전세값까지 폭등시켜놔서 없는 사람들 더 힘들게 만들었어요.
절대연장해
20/10/04 21:03
수정 아이콘
첨에 봤을땐 말도안되는 금액이라고 생각했는데 자꾸 보다 보니 익숙해지고 있어요..................
L'OCCITANE
20/10/04 23:57
수정 아이콘
과천 분당은 볼 때마다 참 부럽네요.
쿠크다스
20/10/05 10:50
수정 아이콘
늘 얘기하지만 일부러 올리는겁니다.
국회의원 연봉을 잡겠습니다! 하고 올리는 것과 별 다를바 없어요.
정치인과 그 주변인들은 자산가지 가붕개가 아니니까요.
abc초콜릿
20/10/05 14:39
수정 아이콘
민주당 쪽에서는 서울만 오른 거지 전국적으로 따지면 거의 변화 없으니 괜찮답니다.
어차피 지금 내리는 동네는 앞으로 뭔짓을 해도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서 아무나 지나가는 대한민국 국민 A를 국토부장관에 앉혀놓고 그냥 놀라고 해도 그렇게 할 수 있을 거라는 게 문제지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337 [일반] AMD 젠3 성능 요약 [66] SAS Tony Parker 11908 20/10/09 11908 2
88336 [일반] [야구] 허민과 이장석에 관한 추측 - 손혁은 경질될 운명이었나? [14] 쿠노11358 20/10/09 11358 12
88335 [일반] 에디 밴 헤일런의 사망소식과 그의 음악들 [12] 김치찌개10467 20/10/09 10467 8
88334 [일반] 한글날 바꾸고 싶은 닉네임이 비어있는지 확인하는 방법.tip [23] VictoryFood8725 20/10/09 8725 10
88333 [일반] 한글날 닉네임 변경 기간이 돌아왔습니다. [109] RFB_KSG8356 20/10/09 8356 5
88332 [일반] 울산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55] 이호철13714 20/10/08 13714 0
88331 [일반] [광고일수 있음] (성남이나 서울지역) 미용실에서 머리 할 예정이신 분들 [29] 여자아이들_슈화8545 20/10/08 8545 6
88330 [일반] 한밤 아파트 창가로 날아온 드론, 10쌍 성관계 장면 찍고 사라졌다 [21] 시원한녹차11713 20/10/08 11713 1
88329 [정치] 의대생들 "왜 대리해서 사과하나" [311] 후마니무스19852 20/10/08 19852 0
88328 [일반] 그냥 떠오르는 알바의 추억.... [10] 사람은누구나죽습니다6320 20/10/08 6320 0
88327 [일반] [삼국지]사마의는 삼국시대 인물 가운데 한국에 가장 도움이 된 인물입니다 [15] 서현1211208 20/10/08 11208 5
88326 [정치] 교사의 정치적 행동을 막는 것이 올바른 일인가요? [98] 목화씨내놔9667 20/10/08 9667 0
88325 [일반] 새 아이폰 발표가 14일 새벽 2시로 확정되었습니다. [52] Leeka10586 20/10/08 10586 1
88324 [정치] [단독] 진중권, 일반인에도 '돌대가리' 폭언…벌금 100만원 확정 [89] Cafe_Seokguram15577 20/10/08 15577 0
88323 [일반] 동년배들 다들 들었던 카세트 테이프 [17] BTS8709 20/10/08 8709 3
88322 [정치] 與, ‘민주화운동 자녀에게 입학·취업 가산점’ 법안 발의 [206] 미뉴잇15522 20/10/08 15522 0
88321 [정치] 홍남기 부총리겸 기재부 장관이 전세 추가 대책을 강구한다고 합니다. [86] Leeka10633 20/10/08 10633 0
88320 [정치] 씁슬함,,언론..인권... [15] 이찌미찌7563 20/10/08 7563 0
88319 [일반] 17년 비비큐 회장 갑질사건이 허위제보로 밝혀졌네요. [16] 댕댕댕이10856 20/10/08 10856 3
88318 [정치] [미디어] 언론의 자유가 위협받고 있음을 보여주는 징후 [274] 아루에27038 20/10/08 27038 0
88317 [일반] 하늘이 참 예쁜 날 [11] 及時雨7864 20/10/07 7864 16
88316 [일반] 10월 1차 전통주 갤러리 시음 후기 + 죽력고 소식 [32] 치열하게9206 20/10/07 9206 6
88315 [정치] 걸그룹 뮤직비디오 복장도 정치의 영역일까요? [57] 난포73822 20/10/07 73822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