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8/30 23:38:42
Name 시드마이어
Link #1 https://brunch.co.kr/@skykamja24/470
Subject [일반] [에세이] 숨길 수 없는 세 가지 (수정됨)
"인간에게는 숨길 수 없는 세 가지가 있다. 재채기, 가난 그리고 사랑이다." - 탈무드

사람은 연기를 하면서 산다. 아닌 것처럼. 감기 안 걸린 것처럼 재채기를 참고. 가난하지 않은 것처럼 티를 내고. 좋아하지 않는 것처럼 쇼를 한다. 하지만 결국 들킨다.


나는 아직까지 짝사랑을 성공적으로 감춘 적이 한 번도 없는 것 같다. 내 나름대로 감춘다고 노력해봤지만 결과는 언제나 밝혀졌다. 마치 재채기처럼 참고 참아도, 언젠가 한 번 크게 나올 수밖에 없는 게 사랑이었다.


사랑이 식어갈 때도 식어가는 사랑을 감출 수 없었다. 사랑이 여전히 남아있는 척 노력해봤지만 그건 노력이지 사랑이 아니었다. 차갑게 식은 빵처럼. 먹을 순 있지만 먹고 싶지 않은 그런 모양. 사랑이라는 껍데기는 있지만 알맹이는 없는 모양이었다.


이제와 생각해보니 사랑을 감추는 게 무슨 의미가 있었나 싶다. 학창 시절엔 부끄러워서. 초등학생 땐 친구들한테 놀림당할까 봐. 중고등학생 땐 거절당할까 봐. 성인이 돼서는 앞으로 보지 못하게 될까 봐 두려워 감추곤 했다. 마음을 감춰도 몸은 감출 수 없었다. 좋아하는 사람이 시야에 있는데 안 쳐다볼 수가 없었다. 힐끗힐끗. 티 안 나게 보려 해도 언젠가 들킨다. 어쩌다 눈이라도 마주치면 당황해서 고개 돌릴 엄두도 안 났다. 순진하고 순박했다.


대학생 때 한 번은 눈에 콩깍지가 씐 것처럼 한 여학생을 좋아한 적이 있다. 얼마나 그 사랑이 진했는지 잠에서 깨어나면 생각나고, 밥을 먹어도 생각나고, 수업을 들을 때도, 수업이 끝날 때도 언제나 생각났다. 그러다 보니 여학생을 보기 위해 수업 시간표를 찾아보고, 만날 수 있을 기회를 찾아다니곤 했다. 아쉽게도 나는 말 조차 걸지 못했다. 그때 한 여름이었는데 사랑에 빠지고 얼마 지나지 않아 학기가 끝났기 때문이다. 나는 계절학기를 들었지만 여학생은 똑똑했는지 계절학기엔 보이질 않았다.


아마 그 여학생은 내가 좋아하는걸 눈치채진 못했겠지만, 단 10초만 내 모습을 봤더라면 내가 얼마나 빠져있는지 느낄 수 있었을 것이다. 가끔 수업 때 보는 사람이 완전히 반한 눈빛으로 말을 걸어온다면 누구라도 부담스러울 텐데 나는 그 부담스러움을 감내하고서라도 말 한마디 건네고 싶었다.


사람의 사랑이 이렇게 감추기 힘든 것이라면 도리어 감추지 말고 보여주는 건 어떨까 싶었다. 단순히 남녀 간의 사랑뿐 아니라 직장 동료들이나 친구들, 가족들에게도 내가 얼마나 그들을 아끼는지 보여주는 건 어떨까 싶었다. 부담스러울 수도 있겠지만 자주 연락하고, 안부를 묻고, 시답잖은 이야기를 하더라도 그들이 내가 아낀다는 걸 알아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제는 썸을 타던 연애를 하던(아직 못하고 있지만), 그냥 내 마음을 평이하게 보이려 노력한다. 관심이 있으면 먼저 연락하고, 답장을 하고 싶을 때 칼답하고, 밀당을 위해서 몇 분 시간을 끌지도 않는다. 그냥 솔직하게 대한다.


내가 마음을 감추지 못하는 것처럼 사람들도 마음을 잘 감추지 못한다는 걸 안다. 좋아하는 사람을 보면 동공이 커지고, 미소가 지어진다. 관심이 있기에 주말엔 뭘 했는지, 요즘 재밌는 건 뭔지 서로 이야기하고, 웃고 떠든다. 좋아하니까 가까우니까 그럴 수 있겠지.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쓸 대 없는 힘싸움이나 눈치싸움, 밀고 당기기에 조금은 지칠 수 있다. 내 방법이 진리는 아니겠지만 나는 누구와도 싸우고 싶지 않다. 그냥 솔직하게 내가 좋아하는 만큼 언제나 표현하고 싶다. 사랑받는 사람을 배려하면서, 나도 지키면서.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933 [정치] 의사의 평균 연봉과 근로자의 평균 연봉 [308] 김파이23726 20/08/31 23726 0
87932 [일반] [음악] 요즘같이 우울한 시국에 추천하고 싶은 밴드 2 (87923에 찬사를 보내며) [15] 스턴건7649 20/09/02 7649 1
87931 [일반] 9호 태풍 마이삭에 이어 10호 태풍 하이선도 올라오고 있습니다. [24] 어강됴리13074 20/09/02 13074 1
87930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완) [102] cheme24039 20/09/02 24039 82
87929 [정치] jtbc 정부-의협 첫 tv토론 [213] 방밀전사20605 20/09/02 20605 0
87928 [일반] [보도자료] 해병1사단, 6개월 간 하루종일 후임병 집단 성추행, 폭행, 가혹행위 [101] 기나15914 20/09/01 15914 3
87927 [일반] 10년전 우리부대 대대장 가족 이야기 [37] BK_Zju16279 20/09/01 16279 41
87926 [정치] 보건복지부는 왜 공공의대를 고집하는가? [226] 러브어clock22737 20/09/01 22737 0
87925 [일반] [시사] 미국, 인도태평양 지역에 NATO 같은 기구 추진 시사 [244] aurelius19940 20/09/01 19940 2
87924 [일반] 군대에서 사병이 소대장에게 따지듯이 대꾸했다면 이른바 '하극상'에 해당할까?? [66] 잘가라장동건11427 20/09/01 11427 0
87042 [일반] [공지] 자유게시판 운영위원 변동과 상시모집을 공지합니다. [40] 오호33891 20/07/02 33891 17
87923 [일반] [음악] 요즘같이 우울한 시국에 추천하고 싶은 밴드 [44] 이십사연벙10046 20/09/01 10046 1
87922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2 [95] cheme23125 20/09/01 23125 83
87921 [정치] 차기 일본 총리는 스가 관방장관으로 굳어지는것 같습니다. [46] 어강됴리12530 20/09/01 12530 0
87920 [정치] 안희정 사건 이후의 삶. 내부고발자들, 피해자와 연대한 사람들의 미래 [63] 김익명16630 20/09/01 16630 0
87919 [정치] 조선일보 "부정확한 기사, 조민씨에게 사과" [90] Cafe_Seokguram15474 20/09/01 15474 0
87918 [정치] [시사] 한미일 국방회담 빠진 정경두 해명 "이취임식 못하니까" [91] aurelius11277 20/09/01 11277 0
87917 [일반] 버거킹 콰트로 치즈와퍼가 부활했습니다. [45] 안초비11110 20/09/01 11110 6
87913 [정치] 정부 의사 결정과정에서 문제라고 생각되는 것. [66] Darkmental12551 20/08/31 12551 0
87912 [정치] 의사 처벌 강화 법안(+CCTV)은 과연 20대 국회에서 통과가 될까요? [71] kien15985 20/08/31 15985 0
87899 [일반] [공지] 공공의대 이슈 관련글 갯수 제한 및 댓글화 정책 공지 [27] 오호9596 20/08/31 9596 7
87911 [일반] 불교의 애별리고를 잘 이해할수 있는 80년대 영화 불멸의 하이랜더 [17] noname119350 20/08/31 9350 5
87910 [일반] 구운 삼겹살 향 향수 [19] 꾸꾸10466 20/08/31 10466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