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8/29 10:33:44
Name 아난
Subject [일반] 미국 흑인 유아사망률 관련 논문과 기사 링크


1
플로리다에서 1992년에서 2015년 사이 병원에서 출산한 180만건을 분석해보니 흑인 유아를 흑인 의사가 케어했을 때의 유아사망건수가 백인 의사가 케어했을 때의 유아사망건수보다 10만건당 257건 더 적었다고 합니다.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인지, 유의미한 차이더라도 인종차별을 함축하는 차이인지,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였다면 백인도 흑인한테 인종차별을 당하고 있다고 해야 하는건지 등의 쟁점이 있을 수도 있지만 어쨌든, 얼마나 권위있는 저널인지는 모르지만, 영국의 정식 의료 학술 저널인 The British Medical Journal 에 실린 논문의 요지입니다.

https://www.bmj.com/content/370/bmj.m3315.full


2
가난하지 않은, 대학을 졸업하고 의료보혐에 가입되어 있는 흑인 여성들이 산모인 경우의 유아사망률이 고등학교 교육만을 받은 백인 여성들이 산모인 경우의 유아사망률보다 높다고 합니다. 이 불비례 배후의 personal experiences 을 파고든 책

Invisible Visits: Black Middle-Class Women in the American Healthcare System (Oxford University Press, 2019)

의 저자인 UC Berkeley 사회복지학 조교수 Tina Sacks  와의 인터뷰입니다.

https://news.berkeley.edu/2019/01/18/invisiblevisits/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군령술사
20/08/29 13:05
수정 아이콘
2는 정말 예상치 못한 현실이네요;;;

그러고보면, 부모님께서 몇 번 입원하시면서, 서울과 지방의 의료수준 차이도 절감했지만, 보호자의 역할이 생각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기저질환이나 증상의 변화를 잘 설명하는 것이 진단에 적지않게 영향을 끼쳤고요,
무엇보다 서울의 최고수준 대학병원에서도 약이 바뀌는 등 실수가 간혹 있었는데,
담당 교수의 지시와 설명, 투약 변화 등을 보호자가 모두 기록하고 실수를 체크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의료진에게 긴장감을 주는 것 같았었요.

미국의 상황을 잘 알지 못하지만, 보호자가 백인이거나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라는 것을 의료진이 아는 상황에서는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생명을 구할 가능성이 있었음에도 죽어간 아기들의 명복을 빕니다.
20/08/29 13:35
수정 아이콘
인종과 문화가 다르면 표정 안색 제스쳐 모든걸 캐치하기가 참 힘들죠
20/08/29 19:37
수정 아이콘
(수정됨) 1의 경우 말씀하신데로 백인 유아에 대한 흑인의사와 백인의사 간의 결과를 분석 해 봐야 알것 같으니 저것만으로 선듯 결론을 내리기 힘들것 같네요.
결론을 의도적으로 바꾸자면 '흑인의사의 실력이 우월하다' 라는것과 '흑인의 유아가 태생적으로 백인 유아에 비해 취약하다' 라고 낼수도 있지 않나 싶네요.

2번 또한 백인의사와 흑인의사간에 상호비교가 들어가야 할것 같네요.
링크글에서 보이는 체감적인 차이를 제외하고 동일한 질병에 대한 초기 진단률의 차이라거나 검사거부율 같은 구체적인 통계를 가져 오면 더 설득력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샤한샤
20/08/29 22:03
수정 아이콘
흑인 아기 자체가 취약할 확률
흑인 커뮤니티와 백인 커뮤니티의 문화 차이 등이 통제 불가능해서 연구에 한계가 있어보이긴 하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969 [정치] 문재인 정권 20대 지지율 하락의 흐름 [414] 청자켓31514 20/09/04 31514 0
87968 [일반] 중국 반도체 굴기의 미래 (번외) [89] cheme21052 20/09/04 21052 36
87967 [일반] 인터넷 밈들이 뇌절로 느껴지기 시작했습니다. [91] 데브레첸15984 20/09/04 15984 12
87966 [일반] 루사의 추억(+자기 소개) [18] 댄디팬7473 20/09/04 7473 1
87965 [일반] 오피스텔이 전국적으로 미분양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88] Leeka19869 20/09/04 19869 2
87964 [일반] 현산의 아시아나 항공 인수가, 노딜 직전까지 왔습니다. [72] Leeka14393 20/09/04 14393 1
87963 [정치] [속보] 의료계·민주당·정부 합의 타결…집단휴진 종료할 듯 [567] 시린비41266 20/09/04 41266 0
87962 [일반] “중국인 오해 받기 싫다”’···대만 새 여권 공개 [31] VictoryFood12775 20/09/04 12775 1
87960 [일반] 9월이 되면 생각나는 노래 [21] 及時雨8611 20/09/03 8611 2
87959 [일반] 직원과 9시 이후 식사하다 2주간 영업정지 된 사례 [87] 치열하게22444 20/09/03 22444 6
87958 [일반] 2019 건강보험주요통계 [14] 모모스201310941 20/09/03 10941 0
87957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22] 공기청정기9908 20/09/03 9908 1
87956 [일반] [주식] 'BBIG 지수' 7일 출범...K뉴딜 ETF 내달 출시 [20] Binch11056 20/09/03 11056 2
87955 [정치] 文 '간호사'글은 기획비서관실 작품!! [228] 니가가라하와��23759 20/09/03 23759 0
87916 [정치] [공지] 공공의대 이슈 관련글 갯수 제한 및 댓글화 정책 공지 [40] 오호13039 20/08/31 13039 0
87954 [일반] 스티븐 핑커 (그리고, 이 주제에 대해서라면, 빌 게이츠)에게 글로벌 빈곤에 관해 보내는 공개 편지 (축약번역) [10] 아난9633 20/09/03 9633 6
87953 [일반] 코로나 시국에 집 밖에 못 나가 빡친 노래 [4] 빼사스9472 20/09/03 9472 2
87952 [일반] 있지 - 달라 달라 [13] 표절작곡가9453 20/09/03 9453 8
87951 [일반] 세계 빈곤인구는 얼마나 줄어들었나? [24] 아난10218 20/09/03 10218 3
87949 [일반] 의사관련 글이 피로하네요. 핫이슈(가칭) 게시판이라도 하나 만듭시다. [110] 파란무테14743 20/09/03 14743 48
87948 [정치] 서울대 의대 교수들, 박근혜 정부 때는 "공공의대 연간 7백 명 운용" 제안 [135] 파어17612 20/09/03 17612 0
87946 [일반] 국제정세와 역사를 볼 때 유의해야할점 몇가지 [73] 아리쑤리랑29970 20/09/03 29970 128
87945 [일반] David Blaine - 마술사 & 차력사 - 정말 신기한 사람 [17] 세인트루이스7426 20/09/03 7426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