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7/11 14:23:28
Name 우주전쟁
Subject [일반] 왜 비행기는 항상 왼편으로만 탑승할까? (수정됨)
여러분의 최근 비행기 탑승 기억을 떠올려 보시기 바랍니다. 비행기의 왼편과 오른편 중 어느 쪽으로 탑승하셨습니까? 여기서 왼편과 오른편이라고 하는 것이 상대적일 수 있으니 정의를 정확히 내리자면 비행기 안에서 비행기의 기수(조종실)가 있는 쪽을 정면으로 봐라봤을 때 왼손 쪽과 오른손 쪽 가운데 어느 쪽으로 탑승을 했는지 떠올려 보십시오. 아마 백이면 백 다 왼손이 있는 쪽으로 탑승하셨을 것입니다. 왜 비행기는 항상 이렇게 왼쪽으로만 탑승할까요?


hqdefault.jpgAMS-boarding-bridge-2.jpg
올웨이즈 왼편 탑승...


이것에 대한 역사는 의외로 옛날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과거에 오늘날의 항공여행처럼 장거리 여행을 대신하던 것은 배를 타고 다니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배와 관련한 용어나 관습들이 항공업계 쪽으로 그대로 내려온 것들이 많이 있다고 합니다. 배의 선미에 장착되는 키(rudder)가 발명되기 전까지 예전 선박들은 회전을 위해서 말 그대로 노를 저어서 방향을 조절해야 했습니다. 이렇게 배의 선회를 위해서 설치되는 노 를 키잡이 노(steer oar) 또는 스타보드(starboard)라고 했는데 이 스타보드는 배의 진행방향과 나란히 봤을 때 항상 선미의 오른쪽에 설치가 되어 있었습니다. 옛날이나 지금이나 왼손잡이보다는 오른손잡이의 사람들이 많았고 오른손잡이의 사람들이 힘을 잘 쓰기 위해서 노 역시 배의 진행방향과 나란히 봤을 때 배의 오른쪽에 설치되었던 것이죠.


S-rdvRJpZpYkUwmj2uHbvQSaidd3ocWu0QjpKvcO8GFcWG3_KiT0JOr249P_-DTPIGN-i4MCv6aiyN-e9uZFf0tZHz8OKQtBuVlwRgwMP05Qk1KI1qPo2fIZITAC6Jh8oNwLAP2YLyZ0MlAbwrC_97zsHHsOW-Y
배의 키(rudder), 하지만 얘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360px-thumbnail.jpgEDoN5OTWkAAFUQ7.jpg
스타보드


그러다 보니 배가 정박할 때는 스타보드가 설치되지 않은 반대편이 부두와 가깝게 위치하게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스타보드가 있는 쪽으로 접근하다가 노가 부러지기라도 하면 골치 아픈 일이 벌어졌을 겁니다. 따라서 항상 부두를 향하고 있는 쪽을 portside라고 불렀습니다. 배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해서는 이쪽이 왼쪽이 되겠습니다. 화물이 배에 선적되거나 사람이 배에 승선할 때는 항상 portside 쪽을 이용하였습니다. 이러한 전통이 비행기에도 그대로 계승이 되어서 사람은 항상 왼편으로 탑승하고, 화물 선적이나 급유, 기내식 반입 등 그 나머지 이륙 전 작업들은 비행기 진행 방향의 오른쪽에서 이루어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화물은 어쩌다 보니 사이드를 바꾸게 되었네요. 화물 보다는 사람이 우선 아니겠습니까?...^^;)


BMHaIVe.pngcopenhagen-september-aircraft-pilots-preparing-to-flight-plane-undergoes-ground-handling-refueling-airplane-101974967.jpg


다음 번 비행기를 타실 때 다시 한 번 이것을 유심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그때도 역시 여러분들은 비행기의 왼편에서 탑승하시게 될 겁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가개비
20/07/11 14:24
수정 아이콘
재미있는 글 잘 읽었습니다.
머리부터발끝까지
20/07/11 14:25
수정 아이콘
진짜네요 크크 뒤로 타본적은 있어도 오른쪽에서 탑승해본 기억이 없네요 크크크
20/07/11 14:27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정말 입이 딱 벌어지네요. 로마 시대 마차 바퀴와 현대의 기차 이야기 보는 듯 합니다.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
엔지니어
20/07/11 14:36
수정 아이콘
이런 글 너무 좋아요.. 흐흐
이오니
20/07/11 14:46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 왼쪽에서만 탔네요.
VictoryFood
20/07/11 14:49
수정 아이콘
우왕 신기합니다
20/07/11 14:49
수정 아이콘
우왕 크크크크 잼나네요
20/07/11 15:07
수정 아이콘
비행기를 왼편으로 탑승하는 이유는 문이 왼편에 있긴 때문입니다(진지).
silent jealosy
20/07/11 16:29
수정 아이콘
끄덕
20/07/11 15:23
수정 아이콘
오 생각해보니 항상 왼쪽에서 탄거같기도하네요 크크크크
VinnyDaddy
20/07/11 15:31
수정 아이콘
port와 starboard의 어원이 궁금했는데 이거였군요. 감사합니다.
20/07/11 15:40
수정 아이콘
오른쪽에도 문은 있는데, 항상 왼쪽으로 탑승했습니다??!
파핀폐인
20/07/11 15:49
수정 아이콘
우오오오옹 감사합니다
피우피우
20/07/11 16:02
수정 아이콘
탑승 방향은 신경도 안 쓰던 내용인데 돌이켜보면 항상 왼쪽으로 탔네요. 재미있는 글 감사합니다.

갑자기 궁금한 건 동양의 배도 마찬가지였을까 하는 점...?! 오른손잡이들이 힘을 써야 해서 오른 쪽에 뒀다면 동양도 마찬가지일 것 같긴 하네요.
농담곰
20/07/11 16:02
수정 아이콘
와 크크크 살면서 수십번 타본 비행긴데 이런건 전혀 생각도 못해봤네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이디어트
20/07/11 16:22
수정 아이콘
좌현 접안하면 port가 보이고
우현으로는 별이 보여서 starboard라고 알고 있었는데 steer oar가 뿌리였군요 신기하네요 크크
20/07/11 16:36
수정 아이콘
오... 직접 연결되는 통로나
활주로 걸어가세 계단 올라갈때 다 왼쪽이었던거 같아요...

이런사연이 있었군요
20/07/11 16:37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
20/07/11 16:48
수정 아이콘
항상 재미있게 잘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캐러거
20/07/11 16:50
수정 아이콘
와 진짜 이런글 너무 좋아요!
20/07/11 17:01
수정 아이콘
오 재밌는 글 감사합니다.
Cafe_Seokguram
20/07/11 17:37
수정 아이콘
이런 글 읽으려고 PGR옵니다. 감사합니다
유념유상
20/07/11 17:38
수정 아이콘
배와 배가 만나면 좌현으로 지나가는 이유
파르릇
20/07/11 17:48
수정 아이콘
비행기글 보니 비행기 타고 싶네요 ㅠㅠㅠㅠㅠ
20/07/11 18:10
수정 아이콘
와 이건 정말 그렇게 비행기 타면서 생각도 못해봤네요 감사합니다
20/07/11 19:52
수정 아이콘
좌현은 PORT (4글자) + 우현은 STARBOARD (9글자) 이 개념으로 함내에서 함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왼쪽은 홀수로 프레임을 나누고 오른쪽은 짝수로 프레임을 나눈다고 배웠는데 이름의 유래는 처음 알았네요. 감사합니다.
치킨은진리다
20/07/13 16: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항공관련 용어중 상당수가 선박관련된 용어에서 따왔죠. 유투브에 검색하시면 항공관련 좋은영상 많은데 외국은 캡틴조, 한국은 가랑비 추천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277 [일반] [역사] 중국의 역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23] aurelius13906 20/07/17 13906 26
87276 [일반] 터뷸런스 이야기 (잡설) [29] boslex9218 20/07/17 9218 10
87275 [일반] 펌) 당신의 원픽을 정하라! 독갤듀스 101 [26] 치열하게13223 20/07/17 13223 1
87274 [정치] 100분토론이 아니라 101분토론으로 제목을 바꿔야할거같은 어제의 토론 [167] Grateful Days~21174 20/07/17 21174 0
87273 [일반] 세상이 미쳐가니 인문학 역사책을 보며 세상을 탐구해보자 (1부) [2] 부자손9702 20/07/16 9702 1
87272 [정치] 이쯤에서 짚어보는 이낙연 vs 이재명 민주당 경선 관련 상황.jpg [214] SKT22918 20/07/16 22918 0
87271 [일반] 닭강정 취향에 관한 이야기. [21] 공기청정기9662 20/07/16 9662 2
87270 [일반] 당근마켓은 어떻게 중고나라의 아성을 위협하게 됐을까 [67] 청자켓21113 20/07/16 21113 1
87269 [일반] 따끈한 주택담보 생활안정자금대출 상담 후기.txt [23] AKbizs12859 20/07/16 12859 4
87268 [일반] 기여에 비해 상대적으로 푸대접을 받는 밤잠 없는 사람들 [25] 우주전쟁12893 20/07/16 12893 13
87267 [일반] 안전운전 F 대한민국 [79] esotere13237 20/07/16 13237 12
87265 [정치] 박원순 사건 관련하여 꽤 괜찮은 기사가 있어 공유합니다. [127] HYNN'S Ryan16566 20/07/16 16566 0
87264 [일반] 미국, 中공산당원 9200만명 입국 금지 검토 [38] 훈수둘팔자12883 20/07/16 12883 3
87263 [정치] 문재인대통령 지지율 오차범위 밖으로 부정적 평가가 높아졌네요. [225] Grateful Days~19194 20/07/16 19194 0
87262 [정치] 2021년 최저임금 결정 [38] LunaseA22177 20/07/16 22177 0
87261 [일반] 욕먹으면서 효도하기 [8] 넵튠네프기어자매10617 20/07/15 10617 16
87258 [정치] 그래서 자한당 찍은 사람의 잡설2 [128] 움하하15684 20/07/15 15684 0
87257 [정치] 피해호소인과 가해지목인 [72] 홍준표14064 20/07/15 14064 0
87256 [일반] 무료 웹툰·웹소설도 사라질까…도서정가제 포함 여부 토론회 [102] 살인자들의섬16938 20/07/15 16938 2
87255 [일반] 어젯밤에 지하철에서 어떤분이 콜라를 쏟으셨는데요 [59] 종이컵16723 20/07/15 16723 19
87254 [정치] 최근의 서울시장 관련 여러 소식들 [189] 쿠보타만쥬26917 20/07/15 26917 0
87252 [일반] 메이웨더 양아들 vs 궁극의 테크니션 [47] 우주전쟁18366 20/07/15 18366 10
87251 [일반] 세상이 미쳐가도 우리는 무협지를 본다 (1부) [37] 부자손11184 20/07/14 11184 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