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7/03 17:11:24
Name 연필깎이
Subject [일반] 6개월, 그리고 한 달이 지났습니다.
1월 초, 집에서 전화가 옵니다.
울면서 내는 소리인지라 많이 뭉개졌지만, '췌장암'만큼은 정확하게 들리더라구요.
할아버지가 췌장암이랍니다.
하필 월급루팡을 하며 나무위키로 췌장암을 봐서 그랬나..하는 뻘한 자책을 하기도 했습니다.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원체 체력이 약했던 할아버지는 수술 이후 거의 드시질 못했습니다.
의사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힘이 없어 못 드셨던 할아버지는 급격하게 악화되었고
결국 6월 초 사망하셨습니다.

원래 췌장암이라는게 생존율이 극악이란건 알고 있었지만 이렇게까지 빨리 악화될 수가 있나 싶더라구요.
할아버지에겐 저 포함 손주가 4명인데 사망하기 전, 저를 제외한 3명은 의식이 있어 봤지만 전 못 봤습니다.
제가 도착할 때는 이미 의식이 희미하셨거든요.
할아버지 기억속에 저는 5월에 봤던 모습이 된 셈인거죠.

장례를 치루었던 3일은 기억도 나질 않습니다. '내가 할아버지 장례를 치르는구나.. 빠르네' 이 기억 정도..?
발인까지 마치고 정신없이 살다보니 어느덧 한 달이 지나있습니다.

그런데 말이죠, 시원하게 울지를 못하겠어요.
사망 당시, 그리고 장례 당시엔 울긴 했지만 시원하게 토해내듯이 울진 못했거든요?
그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모르겠더라구요.
우리엄마, 이모 그리고 할머니 정신 잃으면 내가 부축해야한다는 정신으로 버티긴 했는데
뭔가 자꾸 응어리가 남은 기분입니다.

아마 속 시원하게 울고나면 진짜 할아버지가 떠났구나 라고 생각을 할까봐 제 안에서 스스로 막는 기분입니다.

예전에 어떤 유튜브에서 남자는 감정표현, 특히 울음을 표출하는 기회가 자의적 혹은 타의적으로 적기 때문에
우는걸 잘 못한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었습니다.

그저 헛소리겠거니 했는데 막상 제가 겪어보니 피부로 와닿더라구요.

저희 할아버지는 더운걸 되게 싫어하셨거든요. 그래서 혹 돌아가시더라도 가을에 가셨으면 좋겠다는 얘기를 가족끼리 한 적이 있습니다.

혹시 가을이 되면 속 시원하게 울고 할아버지를 진짜 마음 속에서 보내드릴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곁에 있던 29년의 시간보다 곁에 없는 시간이 더 많이 남았다고 생각하니 참 그렇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블랙박스
20/07/03 17:34
수정 아이콘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감정이라는게 마음먹은대로 되지 않는 것 같아요. 저도 할머니 돌아가셨을 때는 실감나지 않다가, 몇달 후에 길거리에서 저희 할머니의 목소리와 비슷한 다른 할머니 목소리를 듣고 뜬금없이 울음이 터지더군요. 감정을 정리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하기보다는, 일상생활에 충실하며 살다보면 자연스럽게 정리되지 않을까요?
이쥴레이
20/07/03 17:43
수정 아이콘
고인의 명복을빕니다.

저는 할아버지 장례를 치르면서 저에게는 충격보다 뭔가 삶의 변화가 필요하겠구나 했습니다. 그전까지 미적거리던 결혼도 장례식 이후 상견례 잡고 그 이듬해 결혼 했습니다. 그냥 이것저것 생각하지 말고 빨리 결혼할걸... 그러면 할아버지가 좋아하셨을텐데 생각이 들었습니다. 친한사람의 죽음은 허전함과 함께 후회를 준다고 생각합니다. 인생 그렇게 살아가야겠죠
어느새아재
20/07/03 18:00
수정 아이콘
할아버님이 내내 평안하시길 빕니다.

저도 할머니가 키워 주신거나 마찬가지인데 돌아가실 때 어찌할 줄 몰랐던 기억이 납니다.
차라리 지금이라면 마음껏 슬퍼하고 그러겠는데 그때는 뭔가 어벙벙 그래도 장손인데 듬직해야하나? 도대체 무슨 상황인가?
아무튼 뭐 이랬던거 같습니다.
그리고 다음 차례가 부모님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 우울해지기도 했구요.

마음 잘 추스리시고 누가봐도 흐뭇한 삶 사시길 바랍니다.
興盡悲來
20/07/03 18:24
수정 아이콘
저는 태어났을 때 이미 양가 조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뒤라... 조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어떤 느낌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부모님과 마찬가지로 슬프겠죠....
20/07/03 19:25
수정 아이콘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저는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정말 어마어마하게 울었어서 더 안울줄 알았거든요.
그런데 할아버지 돌아가시고 1년쯤 지났나... 외가집 갈일이 있어 간김에 할아버지와 자주가던 목욕탕에 갔는데 거기에 할아버지께서 사용하시던 목욕바구니가 여전히 있는게 보였고 보였고 거기 먼지가 뽀얗게 쌓여있는걸 보고는 정말 엉엉 울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뭔가 한번쯤은 계기가 있으실거여요.
그렇게 털어내고 힘내시길 바랍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7161 [정치] 대한민국에 성희롱 개념을 처음 도입한 박원순 변호사 [199] 유료도로당29992 20/07/10 29992 0
87160 [정치] [속보] 박원순 서울 시장 북악산 숙정문 인근서 숨진 채 발견 [471] k`36290 20/07/10 36290 0
87159 [정치] 박원순 서울시장 실종 사건 관련 브리핑 정리 [167] Leeka23280 20/07/09 23280 0
87157 [정치] 박원순 시장 전 비서 어젯밤 고소장 접수…“2017년부터 성추행 이어져” [394] 마빠이43346 20/07/09 43346 0
87154 [일반] 서민의 기준? 정의?가 무엇일까요? [29] 회색사과9515 20/07/09 9515 0
87153 댓글잠금 [정치] [속보] 박원순 서울시장 연락두절 상태...딸이 경찰에 실종 신고 [692] 興盡悲來75052 20/07/09 75052 0
87152 [정치] 그럼 부동산 정책을 어떻게 펼쳐야 할까요? [102] 움하하12298 20/07/09 12298 0
87151 [일반] 여러분의 소중한 직박구리 폴더를 보호하세요 [101] 과객A15815 20/07/09 15815 4
87150 [정치] '국회의원 현충원 안장법' 발의…특권 내려놓기 역행 논란 [56] 감별사10307 20/07/09 10307 0
87149 [일반] 까라면 까는 권위주의적인 대표적인 문구라고 봅니다 [8] Demanon7892 20/07/09 7892 2
87148 [일반] 데스노트 37화 중, 궁지에 몰린 라이토 더빙 해봤습니다! [4] 유머게시판6917 20/07/09 6917 5
87147 [일반] 영화 3편을 공짜로 보기 [12] 及時雨8782 20/07/09 8782 2
87145 [정치] 솔직히 k방역도.... [87] 움하하13622 20/07/09 13622 0
87144 [일반] 잘못된 정비가 불러온 항공 대참사 JAL 123편 추락사고 [17] 우주전쟁14167 20/07/09 14167 14
87143 [정치] '정치자금법 위반' 은수미, 시장직 유지…대법 "원심판단 위법"(종합) [51] Cafe_Seokguram10489 20/07/09 10489 0
87142 [정치] [뉴스] 집 팔아라"…고위공직자 승진 심사에 '부동산' 반영 [103] aurelius15148 20/07/09 15148 0
87141 [정치] 서울 시내 주택 공급 확대의 방식 [80] 맥스훼인12001 20/07/09 12001 0
87140 [정치] 법무부 - 최강욱 짬짜미 의혹 [86] Normal one13672 20/07/09 13672 0
87139 [정치] 조국 <언론사 여러분께 정중히 요청합니다>.jpg [158] 감별사19765 20/07/09 19765 0
87138 [정치] 검찰이 쓰레기 집단임을 알게 해 준 개인적 경험 [70] 가라한17367 20/07/08 17367 0
87137 [일반] 그들이 옵니다. 어디에? 국방 TV에! [21] 후추통12993 20/07/08 12993 1
87136 [일반] 인터넷 방송인 진워렌버핏 사망. [46] 츠라빈스카야18126 20/07/08 18126 1
87134 [일반] [개미사육기] 반란 [45] ArthurMorgan9170 20/07/08 9170 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