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6/15 14:16:00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역사] 1942년 이탈리아 외교관이 본 독일 (수정됨)

전 유럽을 피라미드처럼 위계적으로 조직하고 그 정점에 독일을 두겠다는 야심 찬 독일의 의도는 모두가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유럽의 재건에 대한 독일의 태도를 파악할 수 없다. 프랑스 혁명으로 등장했고 베르사유에서 절정에 이르렀던 국제질서가 이제 종말을 고했으며, 국민국가가 자신의 자리를 훨씬 큰 규모의 정치체에 내주어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은 없다. (주: 당시 유럽에서 러시아나 미국 혹은 대영제국 같은 대륙사이즈 국가들에 맞서 대륙단위로 유럽을 재조직해야 한다는 생각이 광범위하게 퍼지고 있었습니다) 심지어 바로 어제까지도 독일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던 국가들에서도 그렇다. 

그러므로 유럽을 위계적으로 조직한다는 개념 그 자체를 수용하지 못할 사람은 없었다. 그러나 독일인들과 만나 본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그들이 유럽 질서를 기계적이고 물질적인 관점에서 생각하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다. 그들은 유럽을 조직한다는 것을 곧 어떤 광물을 얼마나 생산하며, 얼마나 많은 노동자가 필요한가를 결정하는 것으로 파악하는 것 같다. 어떤 경제 질서도 정치 질서에 기초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독일인들은 모르고 있다. 벨기에와 보헤미아의 노동자들을 일하게 하려면 높은 임금을 약속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지 않다.

그들로 하여금 자신들이 공동체, 즉 그 자신 역시 속해 있으며 그 속에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 그런 공동체를 위해 봉사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게 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1942년, 3월 14일. Mario Luciolli (이탈리아 외교관)


오늘날의 독일도 사실 저때랑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다는 인상을 받습니다. 적어도 유럽연합을 대하는 태도에 있어 말이죠. 독일은 유럽연합을 순전히 경제적 논리로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다른 회원국들의 반발을 잘 이해하고 있지 못하거나 또는 알고 있어도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모르는 듯합니다.  

경제질서 위에는 정치질서가 필요하다고 말한 저 이탈리아인의 통찰은 실로 중요합니다. 특히 유럽연합이라는 맥락에서는 더욱 더 맞는 말이기도 합니다. 

문제는 독일 역사에서 국민국가를 초월하는 이념이나 정치적 프로젝트는 없었습니다. 유일한 예외가 있다면 독일인으로 자란 마르크스가 제창한 <공산주의>겠죠. 하지만 독일에서 태동한 공산주의는 단 한번도 국가차원의 신념이 된 적이 없었고 오히려 러시아가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이를 러시아 특유의 "정교회적-제3의로마적 세계관"으로 "메시아적인 국시"로 만들었습니다. 

독일의 "기계적 경향"은 나치 때나, 오늘날이나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은 매우 재미있는 현상인 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907 [정치] 비정규직의 정규직화와 세대갈등 [487] 맥스훼인23287 20/06/25 23287 0
86906 [정치] 무디스 보고서...한국(KOREA)형 언론 판독기?? [16] Cafe_Seokguram9283 20/06/25 9283 0
86905 [일반] 6.25 전쟁에서 미군 전차 5대 빌린 사연 [15] 치열하게11434 20/06/25 11434 6
86903 [일반] 약스포) 영화 살아있다 후기 [17] 중복체크10871 20/06/25 10871 1
86902 [정치] 정규직 전환의 키는 결국 기존 정규직들에게 불이익이 있는가 없는가의 차이일겁니다 [188] 마지막좀비14847 20/06/24 14847 0
86901 [정치] 굉장한 드라마가 하나 나왔습니다. [90] PUM19023 20/06/24 19023 0
86900 [정치] [단상] 북한에 대한 추가적 잡설 [27] aurelius11451 20/06/24 11451 0
86899 [일반] 어이가 없는 부산항의 코로나19 방역 시스템 [16] 시원한녹차9193 20/06/24 9193 0
86898 [일반] 우리 다섯쌍둥이가 이렇게 공부를 못할리가 없어. 럽코물 애니 노래 모음(3) [21] 라쇼17961 20/06/24 17961 2
86897 [정치] 통합당은 어떻게 단단해졌나(통.어.단) [37] 감별사8759 20/06/24 8759 0
86896 [일반] 북한만의 특수성은 무엇에 따름일까요? [32] 긴 하루의 끝에서9751 20/06/24 9751 1
86895 [정치] 한국 사회의 고질병을 풀기 위해 갖춰야 할 두 가치관 [28] 데브레첸11365 20/06/24 11365 0
86894 [일반] "8월의 폭풍"으로: 소련과 일본의 40년 충돌사-4 [13] PKKA7609 20/06/24 7609 11
86893 [일반] 개통한지 18년만에 011번호를 해지하였습니다. [7] 설탕가루인형형10755 20/06/24 10755 11
86892 [일반] 배송지에게 삼국지 주석을 달게한 남자. 유의륭 이야기. [11] Love&Hate14182 20/06/24 14182 13
86891 [일반] [웹소설] 문피아 무료연재 추천작 [66] wlsak13177 20/06/24 13177 3
86890 [정치] [단상] 북한인들은 세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72] aurelius12490 20/06/24 12490 0
86889 [정치] 현 정부, 아니 대한민국 정부의 방향성과 문제점들.. [169] 11cm17649 20/06/24 17649 0
86888 [일반] 아는건 별로 없지만 가족입니다.jpgif [15] 살인자들의섬15772 20/06/24 15772 7
86887 [일반] 마스크 미착용으로 지하철 세운 사건 [27] 플러스15806 20/06/24 15806 2
86886 [정치] 대북 삐라를 혐오하는 개인적인 이유 [64] manbolot11082 20/06/23 11082 0
86885 [정치] 대자보 붙였는데 대학이 원치않는데도 벌금이 나왔네요 [83] 싶어요싶어요16170 20/06/23 16170 0
86883 [일반] [개미사육기] 아크릴탑의 인슬레이버 (동영상도 있어요) [18] ArthurMorgan8406 20/06/23 8406 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