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2/12 15:12:31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기생충의 또 다른 숨은 공신, 바로크 음악

이번에 아카데미 4관왕을 한 영화 기생충에 또 한 가지 인상적인 점 있다면 음악입니다. 


특히 "믿음의 벨트"라는 곡이 유튜브에서 핫한데, 

얼핏 들으면 바로크 시대 명곡을 차용한 것처럼 들리지만

실제로는 정재일 씨가 직접 "작곡"한 오리지널 곡이더군요.

정재일 씨는 인터뷰에서 "야매 바로크 음악" 하나 만들었다고 했는데,

도저히 야매수준이라고 볼 수 없습니다 크크


어떤 댓글에서는 "한국영화가 서양음악을 할리우드보다 훨씬 잘 활용한다"며 아주 칭찬하더라구요. 

 

언제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우리나라 영화에서 부쩍 바로크 음악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박찬욱이 이 분야 선두주자인데요, 

올드보이와 친절한 금자씨 모두 꽤나 인상적인 OST를 자랑하고 있습니다. 

올드보이에서는 실제로 비발디의 겨울이 적절히 활용되었고,

오리지널 곡인 Last Waltz라는 곡도 아주 훌륭했지요. 

 

바로크란 본래 17~18세기에 유행한 흐름으로, 건축물과 미술 및 음악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이 시대는 르네상스에서 절대왕정 그리고 계몽시대로 이행하는 시대였고

우리가 아는 유럽의 화려한 귀족문화와 고상한 취미 등은 이때 다수 만들어졌습니다. 

 

절대왕정의 상징 루이14세의 치세는 바로크 음악의 전성기로도 알려져있습니다. 

그의 궁정 음악가는 장 밥티스트 륄리라는 피렌체 출신 이탈리아인이었는데, 

그는 왕의 위엄과 궁정의 화려함을 자랑하는 곡을 다수 남겼습니다. 

그리고 루이14세 본인 또한 대단한 발레리노였고, 태양신 아폴로로 분장해서 

륄리의 곡 흐름에 맞춰 스스로 춤을 추곤 했답니다. 

 

사실 이에 대한 영화도 있으니 한 번 보시는 것도 추천합니다. 

제목은 "Le Roi Danse (왕이 춤을 추다)" 입니다. 젊은 시절의 루이14세와 그의 음악가 륄리의 관계를 다룬 영화입니다. 프랑스 예술영화 답게 재미가 없지만 (...) 나름 그 시대의 화려함과 문화를 잘 감상할 수 있습니다 

 

le roi danse 이미지 검색결과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금적신
20/02/12 15:34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유료도로당
20/02/12 15:44
수정 아이콘
정재일은 정말 뮤지션들의 뮤지션으로 추앙받던데.. 동세대 최고레벨의 재능인것같습니다
20/02/12 15:59
수정 아이콘
믿음의벨트는 저도 멜론에서 계속 반복중이고, 본문처럼 올드보이 OST류들도 좋아하는데, 장르명을 몰라서 왈츠류인가... 막연히 생각만 했었거든요. 장르명을 드디어 알아가네요 ^^;
녹차김밥
20/02/12 16:09
수정 아이콘
영화야 빠져들어서 봤었는데, 다시 들어보니 OST가 정말 좋네요. 음악이 아카데미 예비후보로 올라갔을 땐 다들 의아해했는데, 이해가 됩니다. 본후보 노미네이션에 실패해서 안타깝네요. 소개 감사합니다.
vanillabean
20/02/12 16:20
수정 아이콘
와, 진짜 바로크 시대 곡 같아요.
20/02/12 16:35
수정 아이콘
영화 아가씨에서도 르와예였는지 라모였는지 하프시코드 곡이 삽입되어 있더라고요.
20/02/12 17:32
수정 아이콘
야매 바로크음악 크크 좋네요 정재일씨는 타악그룹 푸리 공연때 객원 멤버로 처음 봤는데 4살땐가 레퀴엠 듣고 눈물을 흘렸다는 소개가 인상적이었더랬네요. 동서양음악 모두 밸런스 잘 잡힌 인재 같아서 항상 멋있습니다
퍼플레임
20/02/12 18:47
수정 아이콘
왕의 춤 재미없다뇨
전 매우 재미있게 봤습니다
aurelius
20/02/14 14:17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사실 저도 재미있게 보긴 했습니다만 아내랑 다시 같이 보려고 했는데 아내가 한 20분 보고 나중에 저 혼자 보라고 .... ㅠㅠㅠ
미나사나모모
20/02/13 09:32
수정 아이콘
패러사이트 딱 울려퍼지고 믿음의 벨트 나오는데 소름이 쫙....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475 [일반] [스연]'미스터트롯' 출연 가수, 사재기 및 불법 바이럴마케팅 의혹 [13] 별이지는언덕9625 20/02/20 9625 0
84474 [일반] 코로나 확진 환자 31명 추가. 누적 82명이 되었습니다. [146] Leeka15333 20/02/20 15333 0
84471 [일반] [단문] 18세기 유럽에 정착한 중국인들 aurelius6255 20/02/20 6255 5
84470 [일반] 한국(KOREA)형 주류모델(6) [4] 성상우5790 20/02/20 5790 0
84469 [일반] 코로나 확진 쏟아진 신천지 ‘신도 단속’ 의혹…신천지 “개인이 한 일” (내용추가) [26] 강가딘9470 20/02/20 9470 1
84468 [일반] 사륜차 운전문화와 도로에 대한 생각.. [50] 대문과드래곤6844 20/02/20 6844 12
84467 [일반] 1917 - 전해야할 이야기. (스포) [7] aDayInTheLife5187 20/02/20 5187 0
84466 [일반] [스연]80~90년대초 탐험, 그 시대 여가수 영상 장덕&안혜지+Maizurah [8] kien7708 20/02/19 7708 1
84465 [일반] 덕후의 적은 덕후다. [86] 도뿔이10054 20/02/19 10054 20
84464 [일반] 실제 의심환자로 격리된 이야기 [15] AttackDDang9582 20/02/19 9582 7
84463 [일반] [스연] 도핑 시스템의 헛점을 밝혀내보려고 일부러 약물을 복용한 사나이 [57] 파이톤사이드11681 20/02/19 11681 2
84462 [일반] 완결을 포기한 소설들.. [59] 카미트리아10161 20/02/19 10161 0
84461 [일반] 곧 격리될지 모르는 피지알러 입니다. [45] 나른한오후12180 20/02/19 12180 0
84460 [일반] 코로나 확진 환자가 하루만에 20명이 늘었습니다 [94] Leeka16421 20/02/19 16421 0
84457 [일반] 스연게 시작부터 있던 운영위원으로서의 소고 [67] Dalek10700 20/02/19 10700 43
84455 [일반] 한국(KOREA)형 주류모델(5) [5] 성상우4567 20/02/19 4567 0
84453 [일반] [스연](MLB) 신시내티는 어떻게 투수왕국이 되었나 [19] Slider6157 20/02/19 6157 24
84452 [일반] 밑에 영국의 느낌이란 글에 답하며 [11] boslex6657 20/02/19 6657 19
84451 [일반] 스포츠 연예 게시판 잠정 폐쇄와 관련하여... [250] 카미트리아15204 20/02/19 15204 16
84447 [일반] 다이어트와 와이프의 페미 선언..? [33] 물맛이좋아요9494 20/02/19 9494 9
84446 [일반] [단상] 미국과 영국에 대한 첫인상 (2) [7] aurelius7679 20/02/19 7679 2
84445 [일반] 코로나19 전파,,, 뷔페, 신천지만큼이나 위험한 곳 [27] 유목민12712 20/02/19 12712 2
84444 [일반] 오류가 많다던 옛날책 로마인 이야기 1, 3권 독후감 [13] 모모스201310321 20/02/19 1032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