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11/13 09:58:16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단문] 일본과 인도의 오랜 관계
최근 일본과 인도가 더욱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일본은 인도태평양전략의 핵심파트너로 인도를 택했고, 인도 또한 이에 기꺼이 호응했습니다. 양국간의 경제협력은 상당한 수준이고, 여기에 더하여 미-일-인 3국 정상회담도 개최된 바가 있습니다. 당연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합종연횡의 일종입니디만, 일본과 인도 간의 관계가 생각보다 역사가 깊더군요.

1893년, 청일전쟁 발발 이전

일본은 최초의 뭄바이-고베 정기항로를 개설하게 됩니다.
당시 일본은 근대적 면직물 공장을 만들고 있던 참이었고, 이를 위해 인도산 목화가 필요했습니다.
이때 창설된 회사가 그 유명한 미쓰이 상사입니다. 
하지만 당시 인도의 목화무역은 영국의 대기업들이 독점하고 있었던 상황이었고
영국 해운회사를 이용하여 일본까지 목화를 운반하려면 꽤 비싼 수수료를 지불해야 했습니다. 
이를 우회하기 위해 미쓰이 상사는 인도의 상인그룹 타타(이들은 지금도 인도 최대 재벌그룹 중 하나입니다)와 손을 잡고
영국 기업들을 패싱하는 방법을 고안하게 됩니다. 
이로써 뭄바이 목화수출의 절반 이상이 일본으로 향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1900년대 초에 이르면 일본의 대일본수입의 80%가 목화였을 정도 

일본은 인도에서 목화를 수입하고, 이를 가공하여 면직물을 만들고 이를 다시 중국시장에 수출하였습니다. 
일본이 기를 쓰고, 심지어 무력으로라도 중국시장을 더 확대하려고 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었죠. 

아무튼 일본은 다른 한편 인도의 내셔널리스트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고
결국 제2차 세계대전까지 그런 관계가 이어졌습니다.

심지어 도쿄재판에 판사로 참석했던 인도인 판사는 승자들의 정의라며 이를 비난했었죠. 

세계대전 후 독립인도와 전후일본의 관계는 정상화되었고, 
일본의 고도경제성장 시기, 일본은 인도에 많은 투자를 했습니다. 

그리고 그런 우호적 관계, 특히 타타재벌그룹과의 오랜관계는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일본과 인도의 관계를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을 거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년배
19/11/13 10:28
수정 아이콘
일본이 아시아의 대표 였던 기간이 길기도 하고 2차대전 당시 인도는 영국 식민지라 인도 독립세력 중 일부가 일본에 협력하기도 하고 해서... 우리와 중국 같이 일본에 딩한 것만 있는 나라 빼고는 아시아 나라들간의 관계는 나쁜 편이 아니죠.
개발괴발
19/11/13 10:31
수정 아이콘
아마 그 인도 판사 아저씨는 한국/중국/대만/필리핀에서 일본이 무슨 짓을 했는지 몰랐거나
알고도 정치적 스탠스로 그런 이야기를 했겠지만...
참 거시기하긴 하군요 그 에피소드는.
모리건 앤슬랜드
19/11/13 12:06
수정 아이콘
그거 이상으로 대영제국도 인도에서 별에 별 짓거리를 다 했으니까요.
개발괴발
19/11/13 13:33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정치적 스탠스라고 말씀드렸어요.
영국이 그런 짓을 했다고 해서 일본애들 잘못이 없어지는건 아니지만
전승국인 영국이 더 싫으니까 그렇게 말했을 거라는거죠.
19/11/13 10:39
수정 아이콘
한국-베트남처럼 일본이 동남아에서 푸시하는 나라가 인도인가요?
이정재
19/11/13 10:41
수정 아이콘
일본이 동남아 푸시하는 나라는 태국...
aurelius
19/11/13 10:41
수정 아이콘
엄밀히 말하면 인도는 남아시아입니다. 한국이 베트남에 대해 레버리지와 일종의 깊은 관계가 있듯이 일본은 인도와 관계가 있지요.
나무늘보
19/11/13 10:41
수정 아이콘
미미한 지식입니다만
일본이 동남아국가중 가장 푸시하는 나라는 태국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아웅이
19/11/13 10:54
수정 아이콘
태국에 굴러다니는 차들이 체감상 8할은 도요타고 1할은 혼다인것같더라구요. 한 맥락일까요
동년배
19/11/13 15:02
수정 아이콘
일본차가 많은건 일본 진출 역사가 깊기도 하지만 태국이 자동차가 영국-일본 같이 좌측 통행이어서어요.아직 국민소득상 다른나라 중고차 수입 많이 해야하는데 이러면 거리상 무조건 일본 중고차를 많이 수입합니다. 비슷한 이유로 베트남은 한국 중고차 많이 들여옵니다.
솔로15년차
19/11/13 12:37
수정 아이콘
일본이 푸시하는 나라는 '동남아 전체'죠. 베트남은 한국이 푸시하면서 일본과의 연계가 줄어든 거고요.
루크레티아
19/11/13 10:48
수정 아이콘
당장 인도 독립의 3대 거두로 추앙 받는 찬드라 보스가 일본 주도 대동아회의 참석자죠. 게다가 [임팔작전]의 주도자이기도 하고요.
닭장군
19/11/13 10:49
수정 아이콘
아아... 그립읍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9/11/13 11:34
수정 아이콘
만화 시마과장 시리즈 보면 일본이 인도에서 한국의 삼성-엘지에 쳐발리는 상황으로 묘사되면서 안타까워 하는 모습이 나오던데..
솔로15년차
19/11/13 12:38
수정 아이콘
경제적으로 따지면야 소니는 삼성-엘지에 전 세계적으로 처발리는 중이죠.
19/11/13 13:41
수정 아이콘
제가 평상시 관심이 없었던 주제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글을 자주 올려줘서 고맙습니다
푸른등선
19/11/14 11: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댓글에 약간 관련없는 사족을 붙이자면 솔직히 2차대전 당시 동남아시아인들에게 ‘조선인’은 일본에게 핍박받는 피침략민이 아니라 일본군의 선봉부대 같은 이미지였죠. 중국이나 필리핀이나 태국과는 전혀 다른 이미지...싱가폴 초대 총리가 자기가 처음 본 조선인은.. 하면서 그런 식으로 촌평을 한 걸로 알아요. 실제로 그래서 전후 보상도 받을 수 없었다는.... 가끔은 궁금합니다. 동남아시아, 남아시아인들이 바라보는 20세기의 한국인의 솔직한 인상이 무엇이었을까 하는...우리야 수천년 역사상에 절대로 남을 침략한적 없고 일방적으로 얻어맞기만 한 착한(?) 민족이라는 식으로 (정작 고구려의 정복전쟁이나 세종의 4군6진 개척은 ‘확장’이라는 용어로 자랑스럽게 가르치면서) 국정교과서에서 신나게 배워왔는데 정작 조금만 밖으로 나가도 딱히 그게 아니었을 수도...하하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3490 [일반] 유니클로 제품의 변신과 매출회복? [27] 곰주13574 19/11/21 13574 0
83489 [일반] 빵집 할머니 사건 30대 기소유예로 종결 [16] 라이언 덕후15953 19/11/21 15953 3
83487 [정치] 궁금해서 찾아본 국민과의 대화 내용 요약 [160] 껀후이21258 19/11/21 21258 0
83486 [일반] [역사] 일본은 언제 자국을 상대화했을까? [11] aurelius9691 19/11/21 9691 10
83485 [일반] 미-중 패권 전략 : 일대일로와 우주인터넷 [37] 아리쑤리랑22880 19/11/21 22880 71
83484 [일반] 겨울왕국2 간단 스포리뷰 [41] 치열하게11490 19/11/21 11490 0
83483 [일반] [도서] 프랑스인이 쓴 북한현대사 [8] aurelius9097 19/11/21 9097 6
83482 [정치] 문재인의 국민과의 대화, 황교안의 청년 간담회 및 단식 관련 단상 [99] 유료도로당15340 19/11/21 15340 0
83481 [일반] 제 얘기를 잠시 여기다 적겠습니다 [32] 앎과모름의차이9263 19/11/21 9263 6
83480 [일반] 아이리시맨 - 그리고 남겨진 것들.(스포!) [7] aDayInTheLife7120 19/11/20 7120 1
83479 [정치] 경제이슈를 정쟁에 이용하는 것의 부당함 [55] coyner10674 19/11/20 10674 0
83478 [정치] 민중당 홍콩진압 규탄 성명 [9] 나디아 연대기10347 19/11/20 10347 0
83477 [일반] 스포츠 선수와 연예인은 우리와 다른가?(aka 내로남불) [97] 도뿔이11405 19/11/20 11405 8
83476 [일반] [북한] 최선희, 북러 국제·역내 전략공조 위해 방문 [6] aurelius9179 19/11/20 9179 1
83475 [일반] 한략(韓略) (2) [33] 성상우7383 19/11/20 7383 3
83474 [일반] 난생처음 소송 피고가 되었습니다.(다들 감사합니다.) [45] lux16755 19/11/20 16755 1
83473 [일반] 겨울왕국2 개봉기념으로 쓰는 이야기 - 01. 겨울왕국팬들을 환장하게 만든 동영상 [10] 치열하게11271 19/11/19 11271 2
83472 [일반] 유니클로를 보니 불매운동이 저물어 가네요. [189] 그랜즈레미디19938 19/11/19 19938 6
83471 [일반] [바둑]은퇴를 바라보고 있는 이세돌 9단 [17] 及時雨13502 19/11/19 13502 8
83470 [일반] 한국(KOREA)의 정통성 [36] 성상우9256 19/11/19 9256 3
83469 [일반] 단순 실수로 전과목0점.. 수능4교시 논란 [107] 사악군17320 19/11/19 17320 14
83468 [일반] [역사] 19세기 프랑스인의 눈에 비친 조선 [29] aurelius13529 19/11/19 13529 35
83467 [일반] 디즈니+가 시작 텃날 가입자1000만명을 기록햇네요 [59] 강가딘14800 19/11/19 1480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