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9/25 18:08:39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단상] 로마 역사가 타키투스의 연대기의 첫장 (수정됨)
타키투스는 고대 로마의 가장 유명한 역사가입니다.
그는 [연대기]를 저술하였고, [게르마니아]를 저술하였습니다. 
도미티아누스 치세 당시 활동한 인물이며, 
아우구스투스가 죽은 지 거의 50년이나 지나 태어난 사람입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공화주의자]였으며, 
아우구스투스가 세운 [제정]을 혐오했던 것 같습니다. 
황제들의 권위를 부정한 그의 역사서가 당대 실제로 회람되었을지...
그의 [연대기] 첫장을 대충 의역해서 한 번 공유합니다. 
==================================================================================================

1. 로마는 처음에 왕들에 의해 다스려졌다. 하지만 루키우스 브루투스 때 자유와 집정관제도가 확립되었다. 때로는 독재관이 있었지만, 이는 한시적이었다. 10인위원회의 임기는 2년이었고, 군사통치권의 임기 또한 길지 않았다. 킨나와 술라의 전제정은 짧았다. 그러나 폼페이우스와 크라수스는 카이사르에게 권력을 양도할 수밖에 없었고, 레피두스와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아우구스투스에 권력을 이양해야만 했다. 아우구스투스는 세계를 혼란시켰던 내전을 종식시켰고 "프린켑스"라는 칭호 아래 통치하였다(Imperium). 과거 로마의 성공과 역전은 유명한 역사가들에 의해 기록되었으나, 훌륭한 지성인들은 그의 치세를 기록하길 원치 않았다. 티베리우스, 가이우스(칼리굴라), 클라우디우스, 네로의 역사는 그들의 치세 동안 공포에 의해 위조되었었고, 그들의 죽음 직후에는 증오에 의해 덧씌워졌다. 따라서 나는 그 어떠한 악감정이나 편견없이 아우구스투스의 행적에 대한 몇 가지 사실, 특히 최후의 순간에 행했던 것들을 이야기하고 티베리우스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한다.

2. 브루투스와 카시우스가 파괴된 이후 공화국의 군대는 더 이상 남아있지 않았다. 섹스투스 폼페이우스는 시칠리아에서 대패하고, 레피두스는 굴복하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는 살해당한 후 오직 율리우스 가문의 카이사르(아우구스투스)만 남게 되었고 그는 삼두정치를 버리고 집정권과 호민관의 권한을 유지하였다. 그리고 그는 군인들에게 선물을, 백성들에게는 저렴한 곡물을, 그리고 모든 이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면서 권력을 강화하였고, 궁극적으로는 원로원의 권한, 국가요직의 권한, 그리고 모든 법의 권한을 본인에게 집중시켰다. 그를 막을자는 더 이상 남지 않았다. 가장 용감한 이들은 전투에서 숨지거나 공직을 박탈당했다. 그리고 남은 자들은 기꺼이 노예를 자처할수록 더 많은 승진기회와 부를 얻게 되었다.
==============================================================================================================

이 대목만 봐도 그가 어떤 입장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지요. 
그의 저서들이 살아남은 게 용합니다.   
그리고 아우구스투스 사후 1백년이 넘게 지나서도 공화주의자들이 남았다는 게 한편으로는 흥미롭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9/25 18:27
수정 아이콘
원래 이상주의자들이 글을쓰고, 현실주의자들은 말보단 행동이니까요
닉네임을바꾸다
19/09/25 18:40
수정 아이콘
뭐 명목상으로는 공화정 전통은 유지되었으니까요...
카스가 미라이
19/09/25 19:46
수정 아이콘
최근에는 비잔티움 제국 시기에도 여전히 공화정 전통이 이어졌다는 연구가 많이 나오는 모양이더군요
DownTeamDown
19/09/25 19:54
수정 아이콘
명목상 공화정인데 공화정을 원한다는 이유로 말만하는 사람을 가둘수가 없었죠
아니아니
19/09/25 20:13
수정 아이콘
고대 역사가들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거짓말을 하는 등 신뢰도가 개판 오분전이었다고 합니다. 세네카는 혜성과 관련된 에포루스의 주장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그 사람을 반박하는 것은 간단하다. 그는 역사가다."

반면 타키투스는 최소한의 노력을 했던 것 같습니다. 다른 역사가들은 목격자가 아님에도 마치 직접 봤다는 듯 본인의 견해와 왜곡을 섞어서 사실을 진술하듯 기록했지만, 타키투스 연대기에는 "어떤 이들은 이러이러하게 말했다." 또는 "~~라고 기록되어 있다." 라는 표현이 매우 여러 번 나온다고 합니다.

물론 제가 읽은 건 아니고, 타키투스를 좋아하는 해외 기독교인들의 주장을 퍼온 겁니다. 사실인가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2920 [일반] 성인과 미성년자의 연애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45] 삭제됨27219 19/09/30 27219 0
82919 [일반] 국가기후환경회의가 미세먼지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33] 아유7603 19/09/30 7603 2
82918 [정치] 군대에 대한 찌질한 생각 [47] 요조8887 19/09/30 8887 0
82917 [일반] 혹시 다음에서 ID가 쥐도새도 모르게 사라져보셨나요?? [33] 개념은?10406 19/09/30 10406 2
82916 [일반] 하와이안피자교에서 전도나왔습니다. 단종된 하와이안피자먹자 [64] 캠릿브지대핳생11788 19/09/30 11788 21
82915 [일반] (삼국지) 유파, 괴팍한 성격과 뛰어난 능력 [22] 글곰10259 19/09/29 10259 36
82914 [정치] 검찰 개혁은 무조건적 선인가 [418] Danial23561 19/09/29 23561 0
82912 [일반] 인구절벽에 현역자원 급감…軍, 판정기준 낮춰 현역 늘린다 [426] 홍승식22319 19/09/29 22319 6
82911 [일반] 미/중 분쟁의 한 모습 - FBI가 잡은 허위 사증 신청건 [12] 一言 蓋世8917 19/09/29 8917 1
82910 [일반] 서울국제작가축제에서 참여작가들의 대표작을 무료공개중이군요 [3] Yureka8680 19/09/29 8680 5
82908 [정치] 홍콩시위 홍보영상에 등장한 김대중 전 대통령 연설 [147] 나디아 연대기17670 19/09/29 17670 0
82907 [일반] 저축하면 노예가 된다! 책소개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62] i_terran14093 19/09/29 14093 6
82906 [일반] 미니멀라이프와 지질이 궁상 [12] 미사모쯔14993 19/09/29 14993 5
82905 [일반] 니체철학 간단히 알아보기 (1편) [11] 평범을지향6531 19/09/29 6531 16
82904 [일반] [팝송] 리암 갤러거 새 앨범 "Why Me? Why Not." [5] 김치찌개6425 19/09/29 6425 1
82902 [일반] 한강에서 치킨시켜먹은 배달료가 아까웠던 후기..총 2만 8천원인가.. [13] 캠릿브지대핳생9957 19/09/29 9957 1
82901 [일반] 몽골 여행기 2부 : 숙박(게르) / 음식 / 사막 [7] Soviet March8450 19/09/28 8450 11
82900 [일반] 유튜브 자주 보시나요? [115] 삭제됨13449 19/09/28 13449 2
82898 [정치] 조국을 둘러싼 말말말... 말하는 모두가 선의였을까? [166] 마법거북이16601 19/09/28 16601 0
82897 [정치] 28일 오늘 6시 서초동에서 검찰개혁 촛불집회가 열립니다. [602] i_terran27520 19/09/28 27520 0
82896 [정치] 개인적으로 최근의 어처구니 없었던 뉴스 쓰리 탑. [22] 오리아나12616 19/09/28 12616 0
82895 [일반] 군대에서 말라리아 걸렸던 기억 [20] swear7335 19/09/28 7335 3
82894 [일반] 제18호 태풍 미탁이 발생했습니다. (제주 관통, 여수 상륙 예상) [25] 아유9141 19/09/28 9141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