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5/19 03:55:55
Name chldkrdmlwodkd
Subject [일반] '지하로부터의 수기'와 '역내청'그리고 일본만화 (수정됨)
'지하로부터의 수기'는 제가 가장 좋아하는 소설입니다. 제 상황과 비슷해서이기도 하고 사실 분량이 짧아서 읽기 편해서이기도 합니다.. 주인공은 친척의 유산을 상속받고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집안에 틀어박혀 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던 주인공은 공무원으로 임용되고 나서도 잘 적응하지 못하고 히스테리를 부립니다. 주인공 스스로도 '자신은 병들었다'는 걸 인정합니다. 병원에 가려고 해도 의사가 자신을 치료할 수 있을지 회의적이라고도 합니다. 이것 말고도 지하에서 있기 싫다며 사람들과 어울리고 싶다가도 자신은 남을 상처입히고 우월한 데서 기쁨을 느낀다며 혼자 있는 게 더 낫다고도 합니다. 소설은 이런 주인공의 심리를 정말 집요하게 파고듭니다. 앞부분 몇십 페이지가 주인공의 독백으로만 이루어져 있을 정도입니다.

'역내청'의 주인공인 하치만도 아싸입니다. 남과 어울리기보다는 혼자 있는 걸 좋아합니다. 물론 나중에는 점점 벗어나지만 기본적으로는 완전히 남을 믿지 않는 걸로 보입니다. 이런 주인공의 심리묘사를 소설은 독백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냅니다.

실은 여기서부터가 본론인데요. 요즘 일본만화가 '그들만의 리그다'라며 오덕만을 위한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아싸들을 위한다고요. 그런데 제가 보기에는 오히려 그 반대인 거 같습니다. 아싸들을 '위하는 척'하기만 한다는 겁니다. 우선 아싸라고 방에 틀어박혀 있기만 하는 건 아닙니다. 일단 '먹고 살아야 하니까' 최소한의 활동은 해야 합니다. '지하로부터의 수기'의 주인공도 공무원이었고 하치만도 남을 믿지 않는다는 거 빼고는 멀쩡하게 행동합니다 . 근데 요즘의 일본만화들을 보면 주인공이 아싸면 능력도 좀 부족하고 인싸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심리묘사도 잘 나타내지 않습니다. 사람들을 믿는 걸 너무 금방 받아들인다는 뜻입니다.(연애물,하렘물이 특히 그렇습니다.) 마치 인싸들이 '아싸는 이러이러할 거야'라고 애초에 단정지은 걸 보는 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싸를 묘사할 거면 심리묘사를 좀 늘렸으면 좋겠습니다. '지하로부터의 수기'처럼 망설임과 갈등을 집요하게 묘사하거나 아니면 '역내청'처럼 사람들을 믿어가는 과정에서의 변화를요. 물론 일개 독자인 제가 이런다고 뭔가 바뀌진 않겠지만 말입니다. 만화를 보면서 대리만족은커녕 허무함을 느끼는 이유를 생각하다 적게 됐습니다. 정말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9/05/19 05:06
수정 아이콘
왜냐하면 그런 라노벨이나 만화, 애니 등등은 히키코모리 오타쿠를 위한 사이다물 이니까요... 현실도피를 위해서 애니나 만화, 라노벨을 탐닉하는 것인데 그런 현실적이고 어두운 방향으로 더 파고드는 컨텐츠는 독자들이 보기싫다 이거지요.
차라리꽉눌러붙을
19/05/19 12:08
수정 아이콘
Nhk에 어서...
ioi(아이오아이)
19/05/19 07:17
수정 아이콘
예전에는 부자가 거지에게 가난도 뺏어갔다면

요즘은 인싸가 아싸한테 히키도 뺏어가는 게 대세죠
19/05/19 07:2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적어도 만화부문에서는 일본의 영향력이 넘사벽이라..
크레토스
19/05/19 07:34
수정 아이콘
역내청 하치만이 히키는 맞나요? 히키코모리란 단어 자체가 그냥 방안에 오랫동안 틀어박혀 안 나오는 사람 의미하는 거 아니었는지.. 먹고살기 위해서 사회생활 하는 사람은 히키가 아니죠. 멀쩡하게 학교 다니고 제한적이나마 친구랑 교류하던 하치만도 히키가 아닙니다. 그냥 아싸기질 있는 사람일 뿐.
미야자키 사쿠라
19/05/19 11:17
수정 아이콘
좀 오래되서 정확하진 않은데 작중 하치만을 히키코모리라고 한 적은 한번도 없는 걸로 기억합니다. 봇치(아싸)라고 하는 건 많지만요.
히로인이 별명으로 '힛키~'라고 부르긴 하지만 성이 '히키가야'라서 그렇게 부르는 거구요.
아, 그걸 하치만 본인이 '날 히키코모리라고 생각하는건가?' 라는 오해를 하긴 한 것 같네요
chldkrdmlwodkd
19/05/19 11:41
수정 아이콘
생각해보니까 히키로 칭한 건 제가 너무 자극적으로 말했네요. 수정했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BloodDarkFire
19/05/19 07:51
수정 아이콘
본문 대로라면 재미가 없잖아요.
이비군
19/05/19 08:00
수정 아이콘
수많은 웹소설과 라노벨에 비하면 역내청이 그나마 감정 묘사 잘 되는편..
19/05/19 09:02
수정 아이콘
이제 성공담은 지겹습니다. 실패사례를 모은 책 하나정도는 있어야 하지 않을까요?
에 대한 현실은 그런책 내봤는데 [안팔리더라]....였습니다. 사람은 지옥을 보기 싫어하는 법입니다. 보통은요.

그러나 저러나 요즘은 그저 갓세계물입니다. 갓세계에가면 아싸도 인싸하렘을 만들 수 있는 매직!
chldkrdmlwodkd
19/05/19 09:27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갓세계물로 대동단결!!
19/05/19 09:33
수정 아이콘
뭐 약간 다른 이야기지만 '폐인과 동인녀의 정신분석'으로 부터 거의 20년이 흘렀는데
변한건 [포켓몬이 나 대신 싸워준다]에서 [갓세계로 간 전생/전이자가 나 대신 대리만족을 해준다]밖에
달라진게 없는점에서 헛웃음이 나왔습니다.
모든 미디어의 왕도는 돌고 돈다니깐요 크크크
chldkrdmlwodkd
19/05/19 09:58
수정 아이콘
죄송한데,'폐인과 동인녀의 정신분석'이란 게 무슨 말씀이신가요? 포켓몬스터 말씀하시는 건가요?
19/05/19 10:19
수정 아이콘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566345
원제가 따로 있었던것 같은데 국내판 이름은 저렇게 나왔습니다.
은둔형 외톨이 및 오타쿠에 대한 정신분석 책인데 건담 이후 이전세대에 대한 답변이 에반게리온 이었다면
2000년대 초반은 포켓몬의 시대고, 지금은 갓세계 범람기니까요.

본문에 히키코모리 이야기가 있길래 덧붙여 봤습니다. 책 자체는 읽어볼만 합니다.
절판되어서 지금 도서관 아니면 중고책밖에 없겠습니다만.
크리넥스
19/05/19 10:35
수정 아이콘
대부분 라노벨에서까지 실패사례를 봐야하냐는 반응이니까요
cluefake
19/05/19 13:31
수정 아이콘
갓세계물도 주인공이 굴러야 재밌는데
감상란 보면 왜 이 필력으로 이렇게 써~~~~~ 고구마 고통 싫어~~~~ 많이 있더군요.
시린비
19/05/19 09:26
수정 아이콘
NHK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를 친구에게 빌려줘봤는데 읽기 힘들다더군요 흠
chldkrdmlwodkd
19/05/19 14:04
수정 아이콘
추천 감사합니다. 찾아보겠습니다.
시린비
19/05/19 15:05
수정 아이콘
아 번역된 책 제목은 ' NHK에 어서 오세요' 였네요 만화책도 있고 애니도 있지만
심리묘사를 보고 싶으시면 역시 원작소설을 추천드립니다. 일독하실 가치는 있다고 생각해요.
스렉코비치
19/05/19 10:50
수정 아이콘
하치만은 전혀 히키코모리가 아니죠. 부모와도 얼굴을 보지 않고 밥도 문 앞에 두고 가면 방안으로 끌어들여서 먹는 수준은 돼야...
불굴의토스
19/05/19 11:05
수정 아이콘
에로망가 대왕이나 노겜노라 여주인공 정돈 돼야 히키 비벼볼만..
이십사연벙
19/05/19 12:14
수정 아이콘
현실에서 도피하려고 보는 서브컬쳐에서 현실 고발을 해봤자..

그런건 예술영화나 사회다큐에서 찾아야죠
아유아유
19/05/19 12:28
수정 아이콘
어떤 히키코모리가 여자가 그리 꼬입니까? 껄껄껄
그냥 예전이나 지금이나 [소재]만 바뀐 판타지로 봐야죠.
모리건 앤슬랜드
19/05/19 12:44
수정 아이콘
그런사람들 심리묘사 잘한작품들이 몇 있죠. 우시지마라던가, 폭음열도라던가, 이나중 작가 작품들도 그런 경향이 있구요
chldkrdmlwodkd
19/05/19 13:43
수정 아이콘
찾아보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안초비
19/05/19 13:22
수정 아이콘
저는 90-00년도에 보던 애니-만화보다 요새 애니-만화가 훨씬 재밌더군요.
-안군-
19/05/19 19:37
수정 아이콘
뭐, 잔혹한 현실은 보고싶어 하지 않는게 일반적이니까요.
우리나라라고 뭐 다른가요? 현실대로라면 내부자들 결말은 이병헌은 감방가고, 조승우는 마티즈 타고, 나머지는 룰루랄라~ 로 끝났어야 하고,
마스터의 결말은 결국 이병헌이 해외에서 신분세탁 잘 하고, 잘먹고 잘살았다...로 끝났어야 하고,
스카이캐슬의 결말은, 예서가 서울대 의대병원에서 가운입고 차트를 옆구리에 끼고 지나가다가 카메라를 쳐다보면서 안경을 쓱~ 올려줬어야...

근데 그런식으로 영화나 드라마를 만들면, 사람들이 엄청 불편해 할겁니다;;;
handmade
19/05/19 23:11
수정 아이콘
도스토옙스키가 저런 소설도 썻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229 [일반] 최저임금실책을 쉴드칠려고 이제는 이런 짓도 하네요.(feat 기재부) [182] 차오루21055 19/05/22 21055 37
81228 [일반] 당신의 유감이 오히려 유감스럽습니다. [58] chilling11250 19/05/22 11250 10
81227 [일반] 이제 공익근무요원·산업기능요원·전문연구요원등도 군대를 가게 되었습니다. [157] 카루오스16118 19/05/22 16118 5
81226 [일반] 英 메이, “2차 국민투표 여부 의회표결”…브렉시트 ‘마지막 도박’ [20] 강가딘5916 19/05/22 5916 2
81225 [일반] [기사]'철밥통' 공무원 호봉제 깬다..직무급제 도입 추진 [63] 로켓10306 19/05/22 10306 3
81224 [일반] '경찰 돕다 다쳤지만 치료금 10% 준 경찰' 주장 나와…"원통" [74] AKbizs10036 19/05/22 10036 8
81223 [일반] 대표성의 트릴레마 [5] 아루에6281 19/05/22 6281 18
81222 [일반] 세계 각국의 경찰 연봉 [30] 달과별12110 19/05/22 12110 0
81221 [일반] 경찰과 제압 그리고 주짓수 (조르고 꺾고 굳히고) [14] 삭제됨5575 19/05/22 5575 4
81220 [일반] 최저임금 인상으로 일자리 감소- 정부 첫 보고서 발표 [160] 사악군13527 19/05/22 13527 25
81219 [일반] 냉동실 털어서 먹고 사는 나날들 [29] 비싼치킨9273 19/05/22 9273 14
81218 [일반] 최순실은 진짜 통령이 될 수 있었다? [46] minyuhee12078 19/05/22 12078 4
81217 [일반] 경찰 체력 및 도구사용 논란에 대한 생각 [63] 치느9893 19/05/22 9893 26
81216 [일반] 대한민국의 20대 정치인들 (2) 더불어민주당 신상훈 [21] 삭제됨7503 19/05/21 7503 3
81215 [일반] 고질라 시사회가 방금 끝났습니다. (노스포) [25] 초능력자8469 19/05/21 8469 6
81214 [일반] 작전세력과 프레임 [34] 서양겨자8349 19/05/21 8349 15
81213 [일반] 청와대 “최저임금 인상률 3~4% 적당”… 당정도 “최소 인상을” [74] 고통은없나11993 19/05/21 11993 2
81212 [일반] 공무원들을 선발이 아닌 근무 시 성과에 따른 차별을 강력하게 해야... [82] LanceloT10245 19/05/21 10245 4
81210 [일반] 경찰 체력기준 부족 혹은 훈련강도 부족시 발생할수 있는 스웨덴의 한 상황 [303] grace17708 19/05/21 17708 15
81209 [일반] 대림동 여경 동영상 올린 사람이 고소당했네요. [386] 삭제됨24309 19/05/21 24309 65
81208 [일반] [스포] 스카이캐슬 vs 왕좌의게임? 끝까지 만족했던 미드가 있으신가요? [82] adobe systems9588 19/05/21 9588 1
81207 [일반] 당신에게 PGR21 이란? [44] 전직백수6673 19/05/21 6673 9
81206 [일반] [단상] 유럽의 어제, 유럽의 오늘, 유럽의 내일 [41] aurelius9146 19/05/21 9146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