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4/14 23:44:15
Name matthew
Subject [일반] 쉽게 씌어진 시 / 윤동주 (수정됨)
------------------------------------
창밖에 밤비가 속살거려
육첩 방은 남의 나라.
.........
인생은 살기 어렵다는데
시가 이렇게 쉽게 씌어지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
쉽게 씌어진 시 中

(편의상 반말로 쓰겠습니다. 제대로 된 감상이라기보다는 그냥 막 쓴 감정에 가까워서 죄송합니다)


학창 시절에 좋아하지 않던 윤동주였다
굳이 따지자면 나는 문학깨나 읽었다는 축에 속하는
제도와 불합리에 눌려 지내지만 머리는 깨어있다고 믿는
고2병이 단단히 든 학생이었고
그런 나에게 윤동주의 시는 왠지 좀 연약하고, 슬프고, 소위 맥아리가 없게 들렸다

통탄하는 김수영, 덤덤한 백석, 아니면 대놓고 우울하고 아름다운 기형도도 아니고
별이나 세며 거울이나 들여다본다는
너무 쉽게 씌여진 듯한 윤동주의 시가 국민 시의 반열에 든다는 것은 그땐 풀리지 않는 의문이었다
그 부끄럼의 정서는 도대체 어디서 오는지, 시인이 무얼 그렇게 부끄럽다고 하는 건지
성질머리가 체제 순응적이지 못했던 나는 아마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 같다

마음에 안 들면 부수고 박차고 나가지는 못하더라도
뭔가는 할 수 있는 것 아닌가, 모두를 바꾸지는 못하더라도 나 자신은 바꿀 수 있지 않나
아마 그런 생각의 끄트머리에서 윤동주를 바라보았고
수능과 함께 윤동주 시의 기억도 잊혀졌다

그가 절명한 나이를 지나고도 몇 해를 더 살았고
"젊은"이라는 수식어가 상당히 객쩍게 느껴지는 즈음
아직도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밖에서 허리 펴고 당당하게 생활하다
집에 들어와서 불을 켜고 조용히
들어와서 생각한다 이렇게 조그마하고 별거 없는 인생이
오직 한 사람, 나 한 사람에게라도 후회없이 떳떳하게 살기란 이렇게도 어렵구나

책을 읽고 그 안에서 포효하며 온 산 동네를 돌아 쏘다니던
그 때의 나는 사라지고 나도 인제는
인생은 살기 이리도 어려운데 푸념은 왜 이다지도 쉽게 맺히는가
부끄러워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마스터충달
19/04/15 00:09
수정 아이콘
저도 고삐리 때는 윤동주의 시에 감동을 느끼지 못했습니다.

나이가 먹을 수록 느끼고 있습니다.

나는 이토록 순수하게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을까?

윤동주는 아름답습니다. 따라가지 못 할 정도로 아름답습니다.
유열빠
19/04/15 13:24
수정 아이콘
저랑 같으시네요.
수능때도 시문제는 다 틀렸고, 너무너무 싫었는데..
지금은 좋네요..
아재 감성.
알료샤
19/04/15 00:13
수정 아이콘
물론 저도 백석의 '노루' '모닥불' 같은 시를 더 좋아하긴 하지만 저는 참회록에서 "나는 나의 참회의 글을 한 줄로 줄이자."라는 구절을 특히 좋아합니다. 제 생각에 윤동주의 저 구절은 참 혼잣말로라도 입으로 내뱉기가 두려운 구절 같습니다. 이것과 비슷한 느낌을 황지우의 뼈아픈 후회나, 하덕규의 가시나무 같은 것에서 느낍니다.
나와 같다면
19/04/15 00:14
수정 아이콘
저 스스로 제가 진짜 별거 아닌 인간이라고 느끼도록 만드는데 꽤나 기여(!)한 시입니다. 윤동주의 부끄러움이 갖고 있는 클래스와 품격에 비해 저의 부끄러움은 진짜 너무 수준 낮아서 입에도 담기 싫음.
드아아
19/04/15 00:55
수정 아이콘
음..감동이라. 솔직히 시를 읽으면서 감동을 받은적이 없어 뭐라 말하지 못하겠군요.

그저 윤동주의 시는 읽으면서 어떤감정으로 이래 썼나 싶을때가 많아 안타까울뿐..
고양이맛다시다
19/04/15 05:45
수정 아이콘
저는 김수영의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를 좋아합니다.
부끄러움이 절절하게 구체적으로 표현된거 같아서요.
19/04/15 12:59
수정 아이콘
언급하신 시인들 다 좋아하는 시인들이네요. 기형도 시의 처절함, 백석 시의 기교는 없지만, 윤동주 시에는 진실성이 있어서 가슴을 울리는 것 같아요... 그래도 저는 아직까지는 기형도와 백석 시가 더 좋네요..
19/04/15 17:49
수정 아이콘
제가 가장 좋아하는 시입니다.. 쉽게 씌어진 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0843 [일반] 카레라 듀오 추천합니다. [22] 모모스201312127 19/04/19 12127 2
80842 [일반] 십자가에 매달리신 고통과.. [188] 탄이14595 19/04/19 14595 55
80841 [일반] [스포] 영화 미성년을 보고...연출자로서 김윤석은 괜찮았다. [15] Chasingthegoals9333 19/04/19 9333 2
80840 [일반] 황교익 왈 "한우를 먹는 것은 수입곡물을 먹는것이다." [127] 쿠즈마노프18548 19/04/19 18548 16
80839 [일반] 외과 수술로 강박증과 우울증을 치료하는 놀라운 현대의학 [47] AUAIAUAI17625 19/04/19 17625 11
80838 [일반] 동해에서 진도 4.3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25] 홍승식9850 19/04/19 9850 1
80837 [일반] 어느 회사의 영업 변경신고 [34] 13422 19/04/19 13422 23
80835 [일반] 4차 산업혁명은 너무 거창하다... [47] LanceloT13344 19/04/19 13344 2
80834 [일반] 급식과 구내식당의 Quality와 Quantity. [30] April23311778 19/04/18 11778 1
80833 [일반] (이미지)한국의 턱밑까지 다가온 아프리카돼지열병(ASF) [50] 오리공작16301 19/04/18 16301 11
80832 [일반] 인공지능 로봇 도입에 대한 (뻘글) 2 메로마나5040 19/04/18 5040 0
80831 [일반] 변비약 가이드 [55] 의지박약킹 17017 19/04/18 17017 36
80830 [일반] 인공지능 로봇 도입에 대한 (뻘글) [4] 메로마나6506 19/04/18 6506 2
80829 [일반] 인력 90% 감축하고 입고생산성 80배 향상된 유니클로의 자동화 공장 [158] AUAIAUAI24111 19/04/18 24111 13
80828 [일반] 글쓰기의 어려움 [10] 므라노6379 19/04/18 6379 11
80827 [일반] (노스포) 꽤 괜찮은 좀비물이 하나 나왔습니다. [37] OrBef15825 19/04/17 15825 8
80826 [일반] 판타지스릴러 소설 '갑각 나비'가 완결되었습니다. [54] 페스티11511 19/04/17 11511 2
80825 [일반] ‘세월’의 색채 [1] Love.of.Tears.8280 19/04/17 8280 11
80824 [일반] 제왕의 책사 장량 [22] 성상우9933 19/04/17 9933 20
80823 [일반] 진주 아파트 살인 사건, 막을 방법은? [126] Leeka17394 19/04/17 17394 6
80822 [일반] 쿠팡에서 겪은 황당한 경험 [28] 10년째학부생14268 19/04/17 14268 13
80821 [일반] 연금술과 현실인식의 역사. [32] Farce14689 19/04/17 14689 47
80820 [일반] [단상] 노트르담 성당의 화재에 대한 개인적 소회 [29] aurelius10554 19/04/17 10554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