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11/23 16:12:10
Name 퀀텀리프
File #1 퓨리1.jpg (211.6 KB), Download : 77
Subject [일반] 영화 퓨리


우리는 노르망디 상륙작전으로  나치 독일이 몰리던 1945년으로 타임슬립을 한다.
입대한지 8주된 노먼의 눈으로 참혹한 전쟁을 바라본다. 전쟁에서 만났다는 이유만으로 처음 보는 인간을 죽여야 한다.
시체와 피는 일상의 모습.

포탄은 눈이 달려있지 않다. 아군 혹은 적군이 발사한 포탄은 떨어지면 그냥 사람을 살상한다. 포탄은 선인인지 악인인지 식별하지 않는다.
포탄을 맞은 전차는 불이 붙고 전차병의 몸에 불이 붙는다. 고통으로 비명을 지르며, 고통을 견디다 못해 권총으로 자기 머리를 쏘기도 한다.

나치와 함께 투쟁하지 않았다고 매달린 시신들. "나는 조국(독일)을 위해 싸우지 않았다" 라는 팻말이 걸려있다. 그들을 죽였던 나치 SS대원은 포로가 되지 못하고 사살된다.

히틀러가 6개월 혹은 1년 먼저 항복하거나 제거되었다면 수십만 혹은 수백만명의 목숨이 희생을 피할수 있었을 것이다. 원폭으로 수십만명이 희생되었지만 그로 인해 무조건 항복하고 미군을 받아들인 일본이 차라리 나아보인다.

점령지에서의 짧은 휴식. 살육의 장에서 승리한 점령군은 미군이라고 해서 선하지 않다. 술과 여자를 탐하는 점령군일 따름이다.
전차장은 품위있게 두 독일여자를 대해주고 그럴듯한 식사를 즐긴다. 노먼과 엠마의 짧은 사랑과 이별.

영화는 주인공 퓨리(전차)가 죽을 곳을 마련한다. 보급선을 지키위해 퓨리소대는 교차로를 지키러 간다.
셔먼과 티거의 전투. 셔먼이 날리는 포탄쯤은 가볍게 튕겨내는 티거의 위용앞에 셔먼은 무기력하다. 삶과 죽음은 순간순간 교차한다.
갑자기 나타난 수백명의 독일군. 전차장은 혼자서 사수하겠다고 부하들은 보내지만 부하들도 남는다. 전우애가 빠지면 전쟁영화가
아니지.

전차가 대단하긴 대단하다. 영웅적으로 싸우지만 소대원은 하나씩 장렬히 죽어간다.
홀로살아남은 노먼의 눈으로 소대원의 무덤이된 퓨리를 바라보며 막을 내린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11/23 16:25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론 전투보단 독기넘치던 식사 장면이 인상적이었던 영화네요
지나가다...
18/11/23 16:31
수정 아이콘
그 장면이 영화의 백미였죠. 그리고 마지막 전투보다는 티거 레이드가 더 인상적이었고...
비둘기야 먹쟈
18/11/23 16:55
수정 아이콘
동의요 처음에 말 얘기할때 영어 리스닝이 요새 잘 안돼서 힘들었는데 두번째 보니까 훨씬 전율이었음.
Jedi Woon
18/11/23 16:30
수정 아이콘
봐야지 봐야지 하고 아직 못본 영화인데 꼭 봐야겠네요
界塚伊奈帆
18/11/23 16:41
수정 아이콘
전투장면만 원한다면 진짜 싱거운 영화일수도 있는데, 인간군상을 보면 쩝니다, 쩔어요.

- 영화관에서 두번을 봤네요. 한번은 티거 레이드에 뿅가서, 한번은 사람에 집중해서요.
DavidVilla
18/11/23 16:51
수정 아이콘
언젠가 봐야지, 하면서 몇 년째 보내고 있습니다.
조조 예매해놓고 늦잠 자서 못 간 유일한 영화..
18/11/23 17:02
수정 아이콘
훗날 보고나면 늦잠 잔걸 고맙게 생각하실겁니다.
RealKyo.
18/11/23 17:00
수정 아이콘
음악이 좋아서 기억되는 영화네요
18/11/23 17:01
수정 아이콘
참 재미없던 영화였죠.
초반부 드라마 장면들은 연기도 못하고 스토리도 유치해서 손발이 오그라듭니다.
이 영화는 World War Z처럼 그냥 전투장면만 보면 됩니다.
BloodDarkFire
18/11/23 17:22
수정 아이콘
별로였어요.
18/11/23 19:37
수정 아이콘
정말 대단한 영화이지요. 전차전의 그 인간냄새 없는 과도한 폭력성과, 그 안의 승무원들의 인간군상의 인간성이 전쟁터에서 비뚤게 터지는 걸 갈등구조로 잡으면서 뻔할 정도로 올곧게 그래도 사람은 착하게 살 수 밖에 없지 않냐? 라고 묻듯이 끝내버리는, 정말 수작입니다. 군부대에서 3번, 사회 돌아와서도 2번 더 찾아봤네요 (공교롭게 친구집에 DVD가 있더라고요.)
18/11/23 20:13
수정 아이콘
최소한 전차전에 있어서는 전쟁영화 중 족적을 남길 만한 영화죠
메가트롤
18/11/23 21:19
수정 아이콘
전 좋았어요.
커티삭
18/11/23 22:50
수정 아이콘
빵형님보고 배틀슈트샀습니다..
덴드로븀
18/11/23 23:50
수정 아이콘
영화관에서 조조로 봤는데 시작부터 끝까지 한숨을 푹푹쉬며 봤었던...
빵형과 셔먼이 캐리하느라 수고가 많았죠.
그리고 2년뒤...
자살닦이를 극장에서 보고 역시나 한숨을 푹푹쉬다가 감독이 어떤놈이야라고 검색해봤더니...
세상에 퓨리 감독이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9038 [일반]  최초의 여신과 고자 아들이 로마제국에 취직한 이야기 - 키벨레와 아티스 [13] Farce15054 18/11/27 15054 32
79037 [일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어영역 출제오류 없어." [29] 아타락시아19843 18/11/27 9843 4
79036 [일반] 중국 연구진 "'유전자 편집' 아기 출산 성공… 에이즈에 면역" [72] 군디츠마라13996 18/11/27 13996 0
79035 [일반] 가정폭력범 즉시 체포 접근금지 어기면 징역형 [28] 미스포츈8343 18/11/27 8343 4
79034 [일반] [역사] 1914년 러시아 각료의 보고서 [47] aurelius9714 18/11/27 9714 15
79033 [일반] 1995년 6월 29일 17시 57분, 그리고 지금. [19] 김유라7895 18/11/27 7895 2
79032 [일반] 미세먼지는 무조건 중국탓? [90] 읍읍16099 18/11/27 16099 6
79030 [일반] [영화] 국가부도의 날 후기(스포X) [34] 키비쳐13981 18/11/27 13981 0
79028 [일반] 마이크로닷과 도끼 사건의 안타까움 [299] entz19745 18/11/27 19745 21
79027 [일반] 무죄추정의 원칙과 연좌제 [61] 소주꼬뿌9785 18/11/26 9785 8
79026 [일반] 소소한 빡침 - 한부모 가족 복지 시설 비정함 논란 [38] blood eagle7604 18/11/26 7604 12
79025 [일반] 내마음대로 이해하는 우주의 근원적 원리 [3] noname117049 18/11/26 7049 0
79024 [일반] 두 달간 추리소설을 읽으며 - 스포 無 [37] 잠잘까10408 18/11/26 10408 5
79023 [일반] 말을 제대로 못 하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31] 나는모른다13966 18/11/26 13966 0
79022 [일반] 한국 바둑계 근황. [58] 탕웨이17159 18/11/26 17159 10
79021 [일반] 여론 참여 심사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31] jjohny=쿠마7896 18/11/26 7896 0
79020 [일반] 대지의 기운 [29] 어강됴리9231 18/11/26 9231 8
79019 [일반] 두번째로 올려보는 제 짧은 이야기 입니다 [13] 태양연어7367 18/11/26 7367 11
79018 [일반] 2019-2020 경제위기가 올까? [90] 플플토18253 18/11/25 18253 3
79017 [일반] KT 통신장애 보상안이 1차로 나왔습니다 [27] 인간흑인대머리남캐13518 18/11/25 13518 0
79016 [일반] 영국과 EU의 합의 이혼은 가능할까? [24] 알레그리9159 18/11/25 9159 0
79015 [일반] 연동형비례대표제가 과연 최선일까요? [103] 소주꼬뿌8936 18/11/25 8936 2
79014 [일반] 현정부와 대통령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273] 삭제됨17001 18/11/25 17001 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