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7/17 17:20:38
Name luvnpce
Subject [일반] 유니버셜한 유니크함

멋 부리는 것에 영 관심을 두지 않고 살았더니 몇 년 전부터 팔자에 없는 편집샵에서 일하게 되어 제법 사람처럼은 꾸미고 다닐 수 있게 되었다. 책과도 통 담을 쌓고 살았더니 이번 6월달부터 도서관에서도 일하게 되어 요샌 제법 책도 빌려서 읽게 되는 걸 보면 참 감사한 일이다. 학교 다니며 아르바이트 하기에는 더할 나위 없는 장소지만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에게는 원래 직장만큼이나 이보다 열악한 환경이 또 없다. 먼지가 풀풀 날리는 것 말고는 별로 비슷한 구석이 없어 보이는 잡화점과 책방이지만, 두 곳에서 나는 꽤나 비슷한 일을 하고 있다. 숫자를 메기는 일.

두 곳 모두 보편적인(Universal) 바코드를 사용한다. 보통 어디에서나 쓰이는 바코드를 UPC라고 부르는데 Universal Product Code의 약자라서 풀어서 쓰면 바로 그 뜻을 알 수 있다. UPC는 말 그대로 유니버셜해서, 똑같은 바코드를 어디서든 찍어보면 같은 물건이 나오게 되어있다. 똑 같은 컨버스화를 가지고 백화점에 가던, 편집샵에 가던, 컨버스 직영매장에 가던 신발 상자에 붙어 있는 바코드를 찍어보면 그 박스 안에 어떤 신발이 들어있는지, 사이즈가 어떻게 되는지, 무슨 색깔인지, 가격은 얼마인지를 알 수 있다. 바코드가 겉으로 보기엔 그게 그거 같아 보이지만 그 모양과 담겨있는 숫자가 물건마다 모두 조금씩 달라서, 같은 컨버스화라고 하더라도 색상과 사이즈에 따라 다른 바코드를 가지고 있고 찍어보면 다만 한 자리수라도 다른 숫자가 나타난다. 모든 물건들은 각자 자기의 유니크한, 즉 자기만의 고유한 바코드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책들도 마찬가지로 ISBN이라는 고유 바코드를 가지고 있는데, 책들은 한술 더 뜬다. ISBN은 무려 International Standard Book Number의 약자인지라 국제표준으로 사용한다. (UPC는 국제표준은 아니라 여러 다른 종류의 바코드가 존재한다.)

바코드를 사용하는 이유는 간단하다. 더 쉽게 그 물건을 특정하기 위해서이다. 바코드라는 것 자체부터가 바(Bar)에 코드(Code)를 담고 있는 것이라서 여러 자리의 숫자를 일일이 누르지 않고 스캔 한 번으로 쉽게 입력하기 위해 사용한다. 이 물건의 브랜드는 무엇인지, 이 모델의 이름은 무엇인지, 이 색깔은 무어라 부르는지, 이 사이즈의 기준이 무엇인지 등을 일일이 찾아보지 않아도 되도록 10~15자리 숫자 하나로 그 모든 이름을 대신한다.

숫자로 이름을 대신하는 일을 하다 보아하니 우리가 사람을 대하는 게 꼭 그러하다. 사람은 그 자체로 유니크 하다. 그 유니크 함은 그 사람이 살아온 인생과 그 안의 소회, 그렇게 쌓여온 인격과 길러온 소양, 그 위로 내뿜는 감정과 몸짓들로 자서전 한 권이나 일대기 한 편으로는 써 내려갈 수 없을 만큼의 많은 스토리를 담고 있다. 나 자신조차 정리할 수 없을 만큼 많은 이야기들이 내 안에 담겨 있기에, 우리는 다른 이들의 편의를 위해 겉모습이란 바코드로 자신을 포장하여 보여준다. 유니버셜하게.

허나 사람이라는게 얼마나 게으르면 이 마저도 그대로 못 받아들이고 또 한 번을 줄여낸다. 같은 컨버스화의 같은 바코드라도 매장마다 전용의 바코드를 따로 만들어서 관리한다. 편의를 위해 숫자 자리 수를 줄이고 추가 정보를 더해서. 편의점 다르고 백화점 다르고 온라인 쇼핑몰 다르고 다 다르다. 같은 사람을 보더라도 보는 눈마다 다 다르게 받아들인다. 이미 단편적인 모습만을 스캔하면서도 편협한 생각의 뭉치로 편집해낸 다음 내 편견을 더해 더 편할대로 받아들인다. 이게 끝이 아니다. 심지어 카테고리로 분류하기까지 한다. 락포트 셰익스피어와 콜한 제로그랜드라는 이름들을 단화 카테고리 밑에 두고 뭉뚱그리듯, 우리 회사 매니저나 교회 그 장로의 인생들을 꼰대라는 꼬리표 아래 제멋대로 요약해버리고 뒤에서 욕하는 맛으로 산다.

직장에서야 줄이는 게 메기는 게 일이라지만 삶에선 사람들을 마냥 줄여 버리기만 하고 싶지는 않다. 사람이란 보편적으로 고유하니까. 그 고유함으로 아름다우니까.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시드플러스
18/07/17 17:50
수정 아이콘
인식의 관점에서 볼 때,
바코드는 어쩔 수 없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요.

사실 동물도 그렇고요.
포식자다! 먹이다!
가족이다! 적이다!
라고 바코드를 잽싸게 찍어야 그에 따른 반응으로 생존해갈 수 있는 것이니까요.

바코드라 비유할 때, 한 가지 덧붙여 보고 싶은 것은...
가시성이랄까요. 접근성이랄까요.

어떤 바코드는 잘 보이는데 반해...
어떤 바코드는 잘 안 보이는 것 같아요.

어떤 바코드는 쉽게 빠르게 찍어볼 수 있는데 반해...
어떤 바코드는 어렵거나 느리게 찍을 수밖에 없는 것 같고요.

그리고... 인간 사회는 가시성과 접근성이 높은 바코드에 의해
돌아가는 부분이 상당히 큰 것 같고요.

인종차별도 그런 것 아니겠어요.
흑인인지 황인인지 백인인지... 그 바코드는 가시성과 접근성이 매우 높죠.

한편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러한 가시성 높은 바코드와 관련된 분야에...
많은 자본이 쏠려 있는 것 아닌가 싶고요.

인간의 인지 능력의 한계로 인해... 어차피 바코드로 인지하는 것은 피하기가 곤란한 것이고...
결국... 깊이와 다양성이랄까요.

눈에 잘 안 보이는 바코드를 찍어낼 능력을 어떻게 키울 것인가...
얼마나 다양한 바코드를 접근하기 쉽게 만들어 줄 수 있겠는가...

이런 게 중요한 것 같아요.
아크크
18/07/17 21:37
수정 아이콘
그 고유함이 우리의 히스토리 혹은 허스토리이겠지요. 좋은 글 흐뭇하게 잘 읽었습니다.
18/07/19 14:41
수정 아이콘
분류와 배제만이 가득한 새태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었습니다. 좋은 통찰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7710 [일반] 영화) 미션 임파서블 : 폴아웃 보고 왔습니다. (다소 스포일러) [28] empty8094 18/07/25 8094 8
77708 [일반] 학종이 아니라 수능도 문제였군요. [312] 삭제됨13055 18/07/25 13055 0
77707 [일반]  "아버지의 부성애 본능"...불길에 아이 둘 안고 사투 [31] swear9890 18/07/25 9890 26
77705 [일반] 100분 토론 하고 있는데 주제가 여혐 남혐입니다 [195] Go2Universe17750 18/07/25 17750 5
77703 [일반] [추모] 글을 쓰면 눈물이 멈출까 싶어 몇 자 적어봅니다 [75] 소린이10901 18/07/24 10901 52
77702 [일반] 한번은 하고 싶었던 이야기 [174] tannenbaum14594 18/07/24 14594 254
77701 [일반] 라오스에서 댐이 붕괴되었다고 합니다. [94] 홍승식20427 18/07/24 20427 0
77700 [일반] 후추통의 울화통 소식 [39] 후추통14037 18/07/24 14037 15
77698 [일반] 여행자의 밥상 : 전국 먹거리 이야기(스압/데이터) [39] 살려야한다17930 18/07/24 17930 36
77697 [일반] 사람과 괴물 사이의 이야기. [24] Farce12267 18/07/24 12267 66
77696 [일반] [추모] 노회찬 의원을 추모합니다 [19] BBTG7694 18/07/24 7694 27
77695 [일반] 계엄령 문건 전문이 공개되었습니다-빡침 주의 [122] kicaesar18015 18/07/24 18015 35
77694 [일반]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46] 여망8449 18/07/23 8449 8
77693 [일반] 강연재, "그런데 김경수는? 그런데 민주당은" [121] 光海21567 18/07/23 21567 5
77692 [일반] ‘광장’ 최인훈 작가 별세…향년 84세 [32] 라플비8804 18/07/23 8804 8
77691 [일반] [추모] 노회찬 의원의 투신사망이 [83] 두괴즐22154 18/07/23 22154 47
77690 [일반] 이집트 2천년 넘게 봉인되었던 석관을 열고... [24] 타카이14097 18/07/23 14097 1
77686 [일반] 경찰 "정의당 노회찬 의원 투신 사망"(1보) [442] 영혼의공원41889 18/07/23 41889 3
77685 [일반] 오늘의 운동 [19] 동네형8961 18/07/23 8961 1
77683 [일반]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경험에 입각한 비판 [253] truebeatsfear13432 18/07/22 13432 28
77682 [일반] 엠비씨 광장 무한도전팀 핸드프린팅 [31] 공룡14986 18/07/22 14986 2
77681 [일반] 간략한 5주동안의 LCHF 경험기. [32] 등짝을보자9872 18/07/22 9872 5
77680 [일반] 그것이 알고 싶다. 아수라 영화를 뺨칠정도를 느끼게 하네요. [233] 이쥴레이32158 18/07/22 32158 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