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3/29 03:13:39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대한민국 코인이 떡상하고 있습니다 (수정됨)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3/29 03:15
수정 아이콘
여윽시 KRW채굴이 채고시다..
18/03/29 03:17
수정 아이콘
krw 마켓에서 usd나 jpy 사고 떡상기다리면 되는각인가요?!
18/03/29 03:42
수정 아이콘
기재부는 해명 자료를 내고 “4월 미국의 환율보고서 발표를 앞두고 한미 재무당국이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한미 FTA와는 별개의 협의”라고 밝혔다. 미 재무부는 매년 4월과 10월 환율보고서를 내고 환율조작국을 지정하는데, 한국은 현재 ‘관찰대상국’ 명단에 올라있다. 기재부 당국자는 “미국과 환율의 방향성을 합의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미 재무부측에 항의했다”고 전했다.

합의가 있더라 치더라도 달러 환율이 700원 가는건 말도 안되는 상황이죠...
18/03/29 03:58
수정 아이콘
700원은 오바같아서 하단을 800원으로 수정했습니다~
18/03/29 04:00
수정 아이콘
통화는 변동성이 크지 않아 3개월 가량 3% 전후 움직이는 정도가 겨우 기대될 뿐입니다. 좀 많이 움직이면 5%..
달러인버스 레버리지 3X ETF(근데 이런게 아마없죠?)같은걸 정확히 저점/고점 매수매도 하더라도 수익률은 그리 크지 않죠.
지금 달러/원이 1070원 조금 안되고 내일 오전에 1063~1064원에 출발한다고 본다면, 상반기 중 과연 얼마까지 갈까요. 내려가더라도 매우 한계가 있을 것 같습니다.

원화의 아주 빠르고 강력한 강세는 수출과 내수가 동시에 확장이 진행중일때 대개 나타납니다.
심각한 경제위기등으로 원화가 지나치게 폭락한데 대한 회복이 일어날때라면 별 이유없이도 빠르고 강한 강세가 나타나기도 하지만, 지금은 그와 달리 원화가 크게 저평가되었다거나 하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내수에 특별한 호황 여건이 없다면 아주 강력한 원화강세가 나타날 가능성은 당분간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으로서는 그냥 달러약세와 유가상승등으로 인한 점진적인 강세, 등락을 거듭하며 결과적으로는 어느정도 내려가는 정도를 전망하는게 보통이라고 봅니다.

향후 세계적인 경기회복이 좀 더 진행되고 분위기가 좀 더 무르익어야 과거 2004년 즈음에 비할만한 상황이 나타나지 않을까 싶고, 그때는 내수도 어느정도 호황이 시작될 수 있겠죠. 물론 체감과는 크게 상관없는 성격의 호황이겠습니다만..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그게 당장은 아니고 한 2020년 즈음은 되었을때의 일이 되지 않을까 싶고, 그 경우 원화는 꽤나 빠른 강세가 나타날 것입니다.

그리고 환율이나 금리 등은 대체로 결과지 원인이 아닙니다. 한 국가의 상태가(수출 등의 경제 요인 및 지정학적 요인 등등)가 좋아질때 통화는 강세를 나타냅니다. 통화가 강세라서 수출이 안되는게 아니라, 수출이 잘될때 통화가 강세를 나타냅니다.
금리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경기와 물가 등의 원인으로 금리의 변동이라는 결과가 나타납니다.
18/03/29 04:02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건 일반적인 시장경제 상황아닌가요?
지금은 미국과 원달러 협의과정 때문에 글을 쓴건데...
18/03/29 04:07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얘기가 적용되지 않을 정도로 특이한 상황은 현실에서 거의 없습니다.
뭔 협의를 하건 그것도 결국 큰틀에서는 '일반적인 시장경제 상황'에 포함될 뿐입니다.
18/03/29 04:11
수정 아이콘
플라자합의 같은 특이한 상황은 엔화가 3년동안 반토막이 났는데요?
그래서 저도 본문에 플라자 합의의 예를 들었고요
시뻘건거북
18/03/29 05:21
수정 아이콘
대한민국을 너무 과대평가 하시네요. 우리는 일본이나 중국처럼 대국이 아닙니다. 적당히 떼쓰고 엄살피고 징징대고 또 귀여움 부리고 이래도 미국에 큰영향이 없는국가에요. 미국이 칼을 빼서 칠거면 중국이나 일본을 치겠죠. 대한민국 탈탈 털어먹어도 얼마되지도 않고 인심만 잃습니다.
물론 싸이즈가 적당해서 여러가지 정책을 실험해보기에도 좋은 나라긴 하지요.
18/03/29 04:18
수정 아이콘
만약 그런 특이한 상황이라면 그런 비슷한 일도 가능하겠지만, 지금 저 내용이 그건지는 전혀 모르겠습니다. 환율조작국 지정압박은 하루이틀 얘기가 아닌지라..
그보다는 남북, 북미 정상회담, 북한관련 정세쪽이 좀 더 큰게 아닌가 하는 느낌입니다.
미트파게티
18/03/29 06: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떡상.... 급등....
최소한 한달치 추세도 아니고 하루 변동폭에다 기재부에서는 바로 반박한 건....
너무 성급한 결론 아닌지요.
18/03/29 09:56
수정 아이콘
환율이 1프로 움직이면 떡상얘기 나올만한 변동폭 아닌가요?
다람쥐룰루
18/03/29 07:00
수정 아이콘
당장은 수출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겠네요
일정량 상향조정 후 장기유지된다면 그건 괜찮죠 우리나라는 원자재도 사오는 나라니까요
18/03/29 10:00
수정 아이콘
약달라가 세계적인 기조라 현물 값이 오르는 분위기 아닌가요?
어디서 수출에 최적환율은 1200원대라고 들었습니다
강미나
18/03/29 07:13
수정 아이콘
유럽여행 때문에 환전하려고 했는데 좀 기다려야겠네요.
18/03/29 10:01
수정 아이콘
유로는 오늘도 1프로 움직이네요 히익
보석상
18/03/29 07:35
수정 아이콘
떡상이라고 해서 깜짝놀랐네
저 달러 많이 있다고요
18/03/29 10:01
수정 아이콘
제가 이래라 저래라 할 처지는 아니지만 기사가 사실이면 오늘의 저점이 내일의 고점일 수도..,
La La Land
18/03/29 10:23
수정 아이콘
그래서 100만원 손해보셨나요?
흑태자
18/03/29 07:36
수정 아이콘
문재인정부 외교를 칭찬하기엔 이르다가 글의 주제인가요..

사실 환율조작국이라고 해도 반박하기 어려울 정도로
외환시장을 불투명하게 관리한건 사실이니까요

플라자합의라는 표현은 선동에 가깝다는 느낌이 듭니다
18/03/29 10:05
수정 아이콘
외교 칭찬이 이르다기보다

철광관세를 얻고 환율을 잃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얘기죠
플라자 합의라는 표현이 거슬린다면 본문에서 삭제하는건 문제가 아닌데
오늘도 원화가 떡상하네요
즉 아무 이유없이 타 외화대비 원화가치가 상승하고 있는데(심지어 미금리인상에도) 미국과의 환율 협상이 있어서 그런게 아닐까 싶습니다만
흑태자
18/03/29 10:21
수정 아이콘
합의 내용은 시장에 관여하는 정보를 공개해라. 즉 개입하지 말라는겁니다.
플라자합의는 환율에 개입하는 거구요.

환율협상이라는 말도 사실 시장 개입의 뉘앙스가 있죠.
시장개입정보공개협상입니다. 전혀 다르죠.
18/03/29 10:24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그래서 어떤 협상 내용이 나올지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미국이랑 환율얘기하는데
타국 외화 환율이 요동을 치니 전반적인 원화강세에 대한 내용이 있었던건 아닌가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거슬리신다면 플라자합의 운운한건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18/03/29 07:37
수정 아이콘
원화가치 문제야 하루이틀 전부터 나온게 아닙니다.
당장 작년부터는 4,10월 발표하는 환율보고서에 환율조작국으로 표기가 되네마네 이야기가 많았죠.
중국 일본 대만 독일 한국 이 5개국이 미국 무역 적자의 5대 축이니까 압박은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그래서 작년 1100원대의 환율이 요새 1000원대로 떨어진거구요.
플라자합의를 하면 현재는 중국이랑하지 한국은 그럴 사이즈가 안됩니더
18/03/29 10:06
수정 아이콘
단순히 달러대비 원화만 강세가 아니라서....
김연우
18/03/29 07:40
수정 아이콘
벌써 플라자합의 운운은 시기상조고

반대로 이명박 시기 너무 환율조작을 심하게 해서 그것에 대한 미국의 항의, 그리고 정상을 찾아가는 정도로 보여요
환율시장에 개입하지 말라 이지 원화가치를 높여라가 아닙니다 이면계약이 아니라면 문제될거 없어요 등락폭도 아직 얼마 안되구요

옛날 박정희시절 말하며 수출만 강조하는데 그러기에 한국은 이제 너무 크고 또 수출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은 국가라 봅니다

급변동은 무조건 나쁘다는건 당연하고, 서서히 자연스레 900원대로 가는게 좋고 정상적이라 봅니다 딴건 몰라도 수입물가 생각하면 서민에게 그게 더 좋아요
18/03/29 10:22
수정 아이콘
넵 연우님 말씀에 동의합니다
전 900원대 오면 좋을 것 같은데

해외업무하는 친구 얘기로는 1200원대가 수출하기 좋은 환율이라고는 하더군요

근데 약달러가 지속되면 원자재 값도 오르지 않습니까?!
스타더스트
18/03/29 07:40
수정 아이콘
플라자합의를 언급할거면 근거가 있어야겠죠?
18/03/29 10:08
수정 아이콘
그 표현이 거슬리신거면 수정을 할까요?
포인트는 그게 아니라 타외화대비 원화가 계속 상승하고 있다는거였는데ㅠ
Multivitamin
18/03/29 08: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표현수정) 섣부르게 확정적으로 말하시는 거 아닌가 생각이 드네요. 등락률 0.5% 하루 나온거에 떡상에 플라자 합의에... 지금까지 환율 차트 찾아보면 하루에 변동폭 심한건 더 많았을 텐데요.
아케이드
18/03/29 08:24
수정 아이콘
FX에서 하루 등락률 0.5%면 떡상 맞죠...
Multivitamin
18/03/29 08:37
수정 아이콘
당장 오늘 어찌 될지도 모르는데 하루가지고 플라자 합의 얘기하긴 섣부르다는 말이었습니다. 지속적으로 변화하면 그런말 할 수 있겠지요
18/03/29 10:13
수정 아이콘
선동이라기보다
타 외화대비 원화가 이렇게 오른다는건 뭔가 있다고 보는게 맞겠죠
오늘도 떡상각이네요...
Multivitamin
18/03/29 10:29
수정 아이콘
네 우선 선동이란 말은 심한거 같아 삭제했습니다. 기분나쁘셨을거 같은데 그점은 죄송합니다.

단지 그냥 플라자 합의같은 큰 걸 던지시려면 1-2일 추세가 아닌 지속적 추세로 봐야 한다고 봅니다. 너무 일희일비하는거 아닌가 싶어요
18/03/29 10:33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원인을 제가 표현을 경솔하게 해서 자극적으로 느껴지신 분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원화가 이상하리만큼 강세
변동폭도 큼

조금 걱정이 되기에 조심스레 글을 올려봤습니다
Been & hive
18/03/29 09:03
수정 아이콘
보통 적정환율 평가가 뜨지 않나요? MB때 환율올렸다가 에그플레이션 잠깐 터졌던 적이 있어서..
파라돌
18/03/29 09:07
수정 아이콘
1000원부근까지 가려면 한참 멀었고 최저점도 아니고 원화가치 급등도 아닌데 현재가격으로 연관짓는건....
18/03/29 10:15
수정 아이콘
결국 지표에 대한 분석은 개개인의 판단에 달렸으니까요

제 글의 요는
저 기사가 나오고 원화가치가 좀 큰 폭으로 상승중이다 입니다
18/03/29 09:24
수정 아이콘
환울조작국 지정 이야기 나온 게 하루이틀일이 아닌데, 갑자기 플라자합의를 언급하는 게 이상하긴 하네요. 다른 사이트에서도 플라자합의 + 8-900원 이야기가 나오던데 원출처가 어디인지가 제일 궁금하네요.
18/03/29 10:15
수정 아이콘
단순히 원달러 환율만 떨어지고 있는게 아니니까요ㅠ
18/03/29 09:25
수정 아이콘
미국이 가지고 가는 전체적인 기조가 맞긴합니다. 약달러로 꿀을 빨겠다라는거죠. 이제 미국에서 소비는 줄일테니 다른나라에서 대신 소비해라. 지금까지하던 수출 그만하고 내수 채워라.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굉장히 우려되는 사안이긴 합니다. 이미 가계부채는 꽤나 쌓였고 서민들 힘들어죽겠다는데 내수로 클 여지가 있나 싶거든요. 다만 꼭 우리나라만 걸고 넘어지는게 아닌 미국 제외한 다른 나라를 다 걸고 넘어지는 모양새이긴합니다. 이번 외교적합의가 꼭 무조건 개꿀이라는 것 만은 아니라는거죠. 트럼프는 기본적으로 사업가입니다. 정말 트력제일리는 없다고 보구요. 정치적으로는 지지하더라도 어느정도 객관화해서 볼 필요는 있는 것 같습니다.
18/03/29 10:18
수정 아이콘
저도 사업가 기질이 다분한 트럼프가 트호구 짓을 할리는 만부하다고 보고요

미국이 유지하려는 약달라기조는 예전부터 그래왔는데 철광관세 얘기 나오고부터 원화강세의 모습이 심상치 않아 글을 올려보았습니다

뱀다리로 썼지만
리디미노네이션을 위한 큰그림 일수도 있겠다 생각도 들고요
감전주의
18/03/29 09:26
수정 아이콘
원화 떡상 얘기는 몇 주전부터 들었던 얘긴데 이걸 fta랑 엮는건 좀 오바 아닌가 모르겠네요.
18/03/29 10:19
수정 아이콘
로이터 통신의 보도가 저렇게 나온이상 지금 상황에서 안엮는게 이상한거 아닌가요?
뻐꾸기둘
18/03/29 10:0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화 강세 된지는 꽤 됐습니다. 당장 1년전 대비 환율좀 보고 오시면 아실겁니다.

그리고 플라자 합의 이야기는... 한국을 너무 과대평가 하시는군요.

아침부터 경제지에서 이걸로 난리 치면서 여기저기서 플라자 합의 같은 소리가 나오는데, 한국은 그럴 사이즈가 아닙니다. 한국이 플라자 합의급 사이즈면 통상 압박 이정도로 안 끝나죠.
18/03/29 10:13
수정 아이콘
한중일을 무시하는건 역시 전세계에 대한민국 뿐인가요? 흐흐
저 혼자 너무 '펄럭'이나요?
뻐꾸기둘
18/03/29 10: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이 일본을 플라자 합의로 엿 먹이는 과정에서 미국은 일본에 엄청난 무역압박을 가했습니다. 그러고도 플라자 합의까지 가기에는 여러 진통이 있었죠. 중국도 아니고 한국이 플라자 합의로 엿먹여야 할 대상이었으면 미국의 통상압박이 이정도로 끝나진 않았을겁니다.

한국 국민이니까 트럼프와 미국이 america first를 외치면서 한국 상대로 통상 압박 하는데 부담을 크게 느낄 수밖에 없지만, 과거 일본이나 현재 중국상대로 하는 통상 압박에 비하면 그래도 가벼운 편이죠.

정말 플라자 합의에 준하는 환율 협약이 목표였으면 더 강한 시그널이 있었을거라 봅니다.

환율 가지고 압박하는거야 작년부터 이어져온 미국의 기조라 저런 보도도 새삽스럽게 보이진 않고요. 작년에도 환율 조작국 지정한다고 난리였죠.(기실 한국은 지난 몇 년간 환율조작국 지정 당해도 항변이 쉽지 않을 정도로 외환 시장에 개입해 오기도 했고...) 저 보도도 한국보고 시장에 인위적으로 개입하지 말라는 뉘앙스지 원화 절상하란 소리는 아닌 것으로 보이고요,
유늘보
18/03/29 10:42
수정 아이콘
원화강세인가? -> O
정부가 그동안 달러기준 1050 선에서 방어했는가? -> 아마도
1050 선 밑으로 가면 부정적 영향이 있는가? -> O

결국 이거인데 좀더 지켜봐야죠 뭐...
OvertheTop
18/03/29 1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면합의대한 내용이 나오네요.

이미 미국 로이터통신이던가 그곳에선 환율관련 합의가 있었다고 언급을 했고 한국 정부는 부정하고 있는 상황인데......
(방금 기사를 보니 합의한게 맞는듯. 음.......)

만약 그런 합의가 있다면 철강면세는 그냥 쩌리되는거죠.

대한민국처럼 수출이 먹여살리는 국가에서 원화 강세라........ 난리나는거죠.

아직은 시기상조지만 정부가 그런 합의를 안했길 바래봅니다. 설마요........

미국은 큰걸 가져가네요.
앙겔루스 노부스
18/03/29 11:07
수정 아이콘
한국 원화를 인위적으로 강세로 만드는 게 아니고, 한국 당국이 인위적으로 원화를 약세로 만들지 마라, 라는 정도의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이것은 이미 환율조작국 운운하는 일들로 몇년 전부터 있었던 일인데, 그게 제한적으로 공론화된 정도 이상은 아니구요.

영향이 없지야 않겠지만, 심각하게 볼 일까지는 아닙니다. 솔까 1년에 경상수지 흑자를 1천억달러 가깝게 거둬들이는 나라의 화폐가 지나치게 저평가되었던 부분이 있을 정도인데요.
Lord Be Goja
18/03/29 11:31
수정 아이콘
직구하기에는 조금 낫겠군요
Zoya Yaschenko
18/03/29 11:58
수정 아이콘
환율 개입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에 큰 의미부여를 하지 않습니다.
다만 외부로부터 공격이 있을 때는 모르겠네요.
수미산
18/03/29 13:09
수정 아이콘
잘 모르시고 글을 적으신게 아닌가합니다. 헤프닝정도로 봅니다
18/03/29 18:15
수정 아이콘
올랐다고 해서 찾아보니 2주전 환율하고 같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434 [일반] 계파와 학연에 편승하여 무임승차를 시도하는 민주귀족들의 파렴치함 [96] 20554 18/04/01 20554 68
76433 [일반] ' Cafe ' 궁금한게 혹시 있으신가요?? [56] MelanCholy10547 18/04/01 10547 2
76432 [일반] 곤지암 보고 왔습니다(노 스포) [34] 리스베트11136 18/04/01 11136 1
76431 [일반] 얼마전에 했던 You raise me up 영상 하나 올려 봅니다. [2] 친절한 메딕씨7314 18/04/01 7314 7
76430 [일반] 친척과 정치 이야기를 한 이야기 [61] 류지나14148 18/04/01 14148 26
76429 [일반] 최근 몇년간 자면서 들었던 화이트 노이즈+방송들 정리 [34] VrynsProgidy12096 18/04/01 12096 9
76428 [일반] [뉴스 모음] 벌써 일 년 외 [50] The xian12958 18/03/31 12958 40
76427 [일반] 무한도전이 끝이 났습니다 [58] 들개13620 18/03/31 13620 16
76426 [일반] 일본에서 혐한(?) 칼 찌르기가 있었습니다.(수정) [34] petertomasi13068 18/03/31 13068 0
76425 [일반] 모 패스트푸드점에서 30분전에 있었던 일입니다. [80] HALU15093 18/03/31 15093 1
76424 [일반] 자운위와의 Q&A 입니다 [62] OrBef10075 18/03/31 10075 3
76422 [일반] 사교육의 미래가 궁금합니다 [41] 장바구니10500 18/03/31 10500 1
76421 [일반] 한국 바이오, feat 바이로메드 [32] 미트파게티11945 18/03/31 11945 1
76420 [일반] 한국인 3명이 26일 가나 해역에서 피랍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20] 키스도사10345 18/03/31 10345 0
76419 [일반] 철덕후 & 철도이야기(내용추가) [25] 박루미10862 18/03/31 10862 10
76418 [일반] PGR21 추천게시판엔 누가 많이 올라갔을까 [57] 시드마이어11430 18/03/31 11430 17
76417 [일반] 제주여행 마무으리~ [30] 현직백수9420 18/03/30 9420 14
76416 [일반] 자유한국당, 창원시장 후보에 조진래 전 경남부지사 공천 [151] giants18974 18/03/30 18974 3
76415 [일반] 낮잠중에 만난 지구4. 그는 2011년 서울시장과 2018년 대통령이 됐다. [52] 캠릿브지대핳생11450 18/03/30 11450 5
76414 [일반] 재미있는 사이트가 생겼습니다. 대학원 준비하시는 분들은 꼭 한번 보고 가셨으면 합니다. [44] 회색사과22476 18/03/30 22476 15
76413 [일반] 문재인대통령 " 미세먼지 중국 원인있어, 협력원한다 " [81] 순수한사랑16382 18/03/30 16382 34
76411 [일반] 허사비스 "인간의 상상력을 AI에 심는 연구 중" [59] imemyminmdsad12774 18/03/30 12774 2
76410 [일반] 자유한국당의 세월호 특조위 방해는 계속된다 [70] v.Serum13691 18/03/30 13691 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