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8/02/23 01:46:08
Name Right
Subject [일반] 나쓰메소세키의 '문' 감상
나쓰메소세키의 대표적 3부작 : 산시로 - 그 후 - 문으로 이어지는 작품입니다. 세 작품이 완전히 이어지는 스토리는 아니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비슷한 주인공들이 나와서 이야기를 만들어갑니다.

'산시로'는 대학시절의 방황과 풋풋함을, '그 후'는 사회로 나아가기전의 내적 갈등과 금지된 사랑을, '문'에서는 죄의식과 평범한 부부생활을 다룹니다. 작품의 재미나 기억에 남는 정도로만 따지면 '문'은 앞선 두 작품에 비해서 좀 떨어진다고 느껴집니다. '산시로'에서의 풋풋한 사랑이야기나, '그 후'에서 처럼 강렬한 갈등요소가 없이 평탄한 이야기가 계속되기 때문입니다. 갈등이라봐야 약간의 돈 문제, 그리고 과거에 본인이 벌인 일에 대한 죄의식 정도입니다. 그 외에는 금슬좋은 부부생활에 대한 서술이 많습니다.

그럼에도 이 작품을 한번쯤 읽어볼만한 이유는, 나쓰메소세키의 생생한 현실 묘사력이라고 생각합니다. 간결하고 힘이 들어가지 않은 문체를 통해 잔잔한 이야기도 술술 읽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이 작품에서 '문'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저는 문이 각 개인이 극복해나가야 할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데미안'의 '알을 깨는 새'처럼요. 누구나 자신만이 갖고 있는, 남들에겐 말할 수 없는 컴플렉스, 약점, 수치스러운 부분이 있을것입니다. 잊고 살려고 해도 시시각각 떠오르는 그것입니다. '문'에서 나오는 주인공의 경우엔 불륜으로 결혼한 과거였습니다. 어떤 행동을 해도 그들이 불륜을 했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었습니다. 마음 속에 평생 가지고 가야할 두려움, 불안, 죄책감으로 남아있었습니다. 이처럼 강렬한 사건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특정 대상, 사건에 대하여 이런 마음을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주인공 소스케는 이 문을 끝내 열어내지 못했습니다.

[그 자신은 오랫동안 문밖에 우두커니 서 있어야 할 운명으로 태어난 것 같았다. 거기에는 옳고 그름도 없었다. 그렇지만 어차피 통과하지 못할 문이라면, 일부러 여기까지 고생 끝에 닿는다는 건 모순이었다. 그는 뒤를 돌아다보았다. 도저히 왔던 길로는 되돌아갈 용기가 없었다. 그는 앞을 바라다보았다. 앞에는 육중한 문짝이 언제까지나 전망을 가로막고 서 있었다. 그는 문을 통과할 사람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문을 통과하지 않고 끝날 사람도 아니었다. 결국 그는 문 아래에 꼼짝달싹 못하고 서서 날이 저물기를 기다려야 하는 불행한 사람이었다.] - 265p

하지만 그 문을 열어내지 못했다고 해서 '실패한 인생'이라고 치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인생의 목표는 '문'을 통과하는 것이 아니라 '문'을 통과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희노애락을 충분히 느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 평범한 노력과 과정 속에서 소스케는 깨달음을 얻은 것 같습니다. 그것은 한계의 극복이 아니라 수용입니다.

["정말로 기뻐요. 이제 봄이되어서".  "응, 그렇지만 또 겨울이 올거야"] - 277p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2/23 12:04
수정 아이콘
나쓰메 소세키... 제가 소설은 많이 않읽지만 예전에 강상중 교수님이 나쓰메 소세키에 대해 쓴거보고 한번 읽어봐야지 마음만 먹고 있는데 한번 참고해봐야겠네요
18/02/23 14:27
수정 아이콘
마음이라는 소설 추천드립니다
18/02/23 13:31
수정 아이콘
저는 예전에 나쓰메 소세키의 『마음』을 읽었는데요. 참 이채로운 소설이라는 생각을 했어요. 특히 20세기초 풍요로운 일본제국의 모습이 그랬어요. 굶어죽을 걱정이 없고 몸이 편하니 잡생각이 들어서 그렇게 마음에 얽매이고 고통받는 거라는 고리타분한 생각이 들더라고요. 일본인들은 남다른 데가 있어요.
18/02/23 14:29
수정 아이콘
바쁘게 살다보면 잡생각이 줄어들기도 하죠. 일본인들만의 집요하게 파고드는 감성이 있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5962 [일반] JTBC가 또 JTBC 한걸까요? [115] 젤리베어22017 18/02/28 22017 36
75960 [일반] 저 같이 군 생활에서 라면 못 먹으신분 계신가요? [38] CastorPollux8498 18/02/28 8498 1
75959 [일반] me too 이제는 시대의 흐름인 것 같습니다. [118] 백곰사마14365 18/02/28 14365 43
75958 [일반] 아파트 분양 특별공급을 아시나요? [29] 완성형폭풍저그13900 18/02/28 13900 8
75955 [일반] 홍익대 소녀상 건립 논란 [46] metaljet13203 18/02/28 13203 7
75954 [일반] 탈모 스트레스가 정말 그렇게 심한가요? [86] 산타의은밀한유혹14090 18/02/28 14090 1
75953 [일반] 배움은 놀이다 - 우리는 왜 공부를 하는가? [19] 마담리프9325 18/02/27 9325 11
75952 [일반] 운동끝! [72] 삭제됨11297 18/02/27 11297 10
75951 [일반] 최저임금인상으로 인해 관리비가 올랐네요.. [115] Gloomy19666 18/02/27 19666 3
75950 [일반] 휴일포함 주52시간 근무 골자로 하는 근로기준법 개정안 환노위 통과 [127] 아유16449 18/02/27 16449 15
75948 [일반] [추천 방송] 염천교 리턴즈 - 의식의 흐름으로 가는 무근본 토크쇼 [34] 렌야14923 18/02/27 14923 8
75947 [일반] 서울시, 미세먼지 비상 저감조치 대중교통 무료정책 폐지 [42] 아유12511 18/02/27 12511 3
75946 [일반] 검찰, 박근혜 전 대통령에 징역 30년·벌금 1185억 구형(상보) [97] 동굴곰18508 18/02/27 18508 9
75945 [일반] 흑자 평창올림픽! [96] 난될거다16175 18/02/27 16175 6
75944 [일반] 미투운동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요? [339] 홍승식19934 18/02/27 19934 3
75943 [일반] 근데 혹시 어디 출신이에요? [201] 놀라운직관21001 18/02/27 21001 19
75942 [일반] [뉴스 모음] 아들도 사위도 소환되는 이명박 집안 외 [29] The xian16586 18/02/27 16586 47
75941 [일반] 그 누구보다 PGR을 사랑하는 그에게 보내는 Love Letter [60] RENTON11034 18/02/27 11034 11
75940 [일반] 전세계 스마트폰 분기 판매량이 처음으로 하락했다고 합니다. [65] 홍승식14948 18/02/26 14948 2
75939 [일반] 서울 노면전차 50년만에 부활하나…경춘선 폐선에 트램 도입논의 [44] 군디츠마라12069 18/02/26 12069 3
75938 [일반] 눈물바다가 된 단일팀 해단식(펌) [31] 틀림과 다름14705 18/02/26 14705 4
75937 [일반] 근데 김어준이 뭐라고 한거야? [126] 히야시20038 18/02/26 20038 8
75936 [일반] 동계올림픽을 한번더 유치해보는건 어떨까요? [83] 마르키아르16090 18/02/26 16090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