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1/12 07:52:41
Name minyuhee
Subject [일반] 비정규 노동자의 일상 (수정됨)
오전
6 : 40 기상
7 : 15 현관문 오픈
7 : 28 통근버스 탑승
7 : 40 통근버스 하차하여 탈의실로 이동
8 : 20 조회 시작
8 : 30 노동 시작

다행인 점은 공장과 집이 가깝다는 점이다. 차로는 10분이면 갈 수 있다. 걸어서는 1시간 이내.
통근버스 하차 시간과 조회 시작 시간이 40분이나 차이 나는데 이 정도면 통근버스 시간을 10분 정도 늦춰도 되겠으나
정문과 공장내부의 거리가 만만치 않고, 환복하고 휴게실에 앉으면 8시를 약간 넘어있다.
휴게실에서 8시 20분까지 쉬고 조회 듣고, 노동을 시작한다.
노동은 정규직 팀장 1인과 비정규직 여럿이 한 조를 이뤄 이루어진다.
정규직은 기계관리와 작업지도를, 생산공정은 비정규직이 맡는다.
노동의 강도는 체력이 완전연소되는 30kg 작업과 체력을 비축할 수 있는 10kg 작업이 몇일 단위로 바뀐다.

10 : 30 휴식시간
10 : 50 노동시작
휴식시간이 20분으로 다른 공장보다 여유가 있는 축이다. 흡연자들은 저 멀리 공장 정문 밖으로 나가야 한다. 그 용도를 위한
자전거 몇개가 비치되 있다.
12 : 00 점심시간
오후
1 : 00 노동 시작
3 : 30 휴식 시간
3 : 50 노동 시작
5 : 30 정규작업 종료, 저녁식사

저녁식사하고 잔업인데 잔업의 선택권은 없다. 잔업을 빠지기 위해선 미리 사정을 설명하고 양해를 구해야 한다.
월 - 금 5일 모두 잔업이 예정되어 있긴 하지만 기계관리 및 생산계획의 문제로 잔업을 풀로 하진 않는다.

6 : 00 노동시작
8 : 30 종료
8 : 45 통근버스 출발
보통은 8 : 20 분 정도엔 종료하고 현장에서 나가 준비한다.  2시간 20분 정도만 근무하면 3시간 시급 x 1.5를 받을 수 있는 셈이다.
출근 <-> 퇴근의 시간은 약 14시간 정도.
다행인 점은 주 5일제가 거의 지켜지고 있다는 점이다. 잔업을 풀로 해도 주당 55시간, 정부가 추진하는 주 52시간 제한에 비해
한 타임만 더할 뿐이다. 달 휴일은 기본 8일에 공휴일 1회 가정하면 9일,
주당 잔업을 하지 않는 날을 1회로 상정하면, 한달 30일중 17일은 오후 9시 이후에 도착하지만 9일은 휴무,
남은 4일은 오루 6시에 도착하는 셈이다. 종합하면 한달의 반 가량은 여유가 있다는 결과를 볼 수 있다.
물론 주중에는 그런 생각은 일절 안 들고, 언제나 죽어나가고 있다는 생각밖에 안 들지만.
야간조의 경우 당연하게도 수면시간과 신체리듬의 문제로 많은 사람들이 고난에 빠지게 된다.
급여는 한달17일 잔업 기준 세후 200을 예상할 수 있으며. 야간 1주에 15만원 추가.
한달 만근시 유급 휴일 1회가 주어지는데 유급 휴일 없이 1일을 결근하게 되면 휴일 + 주말 수당 + 만근 실패로 월차 감소가
생기는 심대한 타격이므로 출근에 민감하다.
도서지역에서 이 정도의 노동강도로 비숙련 노동자에게 이만한 대우해주는 업체는 드물다.
따라서 비수기가 되면 얄짤없이 오늘까지입니다, 를 듣고 헤어지더라도, 성수기가 되면 다시 부탁드립니다를 청하며 들어가게 된다.
10년이 넘게 성수기와 비수기를 오간 연장자도 몇몇 있다.

10년째 공무원 스파이럴에 빠진 나의 친우는 방세 포함 모든 생활비 총합 50 이내라고 했으니 200이면 4달간의 생활비인가?
개인이 덕후생활을 하기엔 부족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가족과 채무가 더해지면 고행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정부의 3인 가족 최저 생계비는 145만원이며 +  채무 상환 50 = 195.
5천이면 100개월이며, 8천이면 13년이 넘는 기간으로 어린이가 성인이 되는 기간, 학생이 중년이 되는 기간이기도 하다.
또한 무사무난한 기준이라는 것도 크다. 질병이나 사고가 생기면 다시 시작이다.
정직원들은 적게는 1.5배에서 많게는 2배의 임금인데 1.5배의 임금의 경우 채무 상환 기한은 1/3, 2배의 경우은 1/5로 줄어들게 되는 기적이 일어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솔로13년차
17/11/12 08:23
수정 아이콘
조선소 노동잡니다.

07시 30분까지 모든 안전장비 착용완료하고 배 앞에서 집합.
조회, 체조 등등을 한 후에
08시 일과 시작.
10시 10분간 휴식. 보통 몇분정도 더 길어집니다.
12시 점심식사 시작. 줄을 서야 하는데 보통 10분정도 걸리고, 길면 20분이상 걸리기도 합니다.
12시 45분 집합. 중회를 합니다.
1시 오후일과 시작.
3시 마찬가지로 10분간 휴식합니다.
5시 50분. 잔업이 없을 경우 보통 이 때 작업을 종료합니다. 이후 자전거를 타고 탈의실 이동 후 안전장비등을 벗고 퇴근이죠.
6시 30분 역시 거절하기 힘든 강한 권유에 의해 잔업을 합니다. 보통은 두시간이구요. 마찬가지로 10분쯤 전에 마치고 이동합니다.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는 결근이 아니라면 공휴일과 관계없이 출근합니다. 단 토요일과 공휴일은 5시에 종료합니다. 일요일도 필요할 경우 잔업과 마찬가지로 거절하기 힘든 권유가 있으며 5시에 종료합니다.
페이는 저희팀의 경우 신입이 일당 11만원입니다. 다만 조선소 경기가 좋지않아 경력이 쌓여도 거의 오르지않습니다. 휴일 출근도 일당을 똑같이 받구요. 잔업은 일당과 관계없이 시간당 15000원입니다.
전 족장일을 하다 현재는 lng족장이란걸 하고 있는데, 여자가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지만 그 일을 시키기 위해 뽑기도 합니다.
minyuhee
17/11/12 08:41
수정 아이콘
부산에서 보니 조선소 항구 시장 등이 도심지에 전부 붙어있어서 신기하더군요
도들도들
17/11/12 09:40
수정 아이콘
잘 봤습니다. 기자들은 전부 고학력 먹물이고, 인터넷은 자기자랑 하느라 바쁜 공간이다보니, 블루칼라의 일상을 접하기 힘든게 사실이지요. 앞으로도 소소한 일상 소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Been & hive
17/11/12 09:51
수정 아이콘
고생 많으십니다
17/11/12 10:45
수정 아이콘
예전에 공장에서 일하던 때가 생각나네요
가만 생각해 보니 10년이나 됐군요
쉬는 시간에 마시는 믹스커피가 그렇게 맛있을 수 없었는데...
전 겨울이 너무 힘들었었네요 크
날도 추워지는데 수고 하십니다
고분자
17/11/12 10:54
수정 아이콘
살인적이네요 고생많으십니다
도망가지마
17/11/12 10:54
수정 아이콘
계산해봤는데 잔업기준 200만원이면 시간당 9300원 임금이네요. (200/214시간)
아무리 도서지역이라고 하셨지만 페이가 너무 적네요.
돼지샤브샤브
17/11/12 11:02
수정 아이콘
세후니까 한 10퍼센트는 더해야 되지 않을까요?
산체스맨시티와라
17/11/12 11:14
수정 아이콘
주휴수당도 있고 가산수당도 있고 해서 실제 시급은 그것보다 낮을 겁니다
minyuhee
17/11/12 11:46
수정 아이콘
시급은 최저보다 아주 약간 높은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그만큼 주는데도 없다는 사실.
와사비
17/11/12 13:14
수정 아이콘
고생많으십니다
foreign worker
17/11/12 14:32
수정 아이콘
동남아에서 현지채용으로 공장일 잠깐 해봤는데, 직군은 좀 달랐지만(현지인들 관리) 일해보니 하루하루가 전쟁이었네요.
일하시는 내용을 보니 대단하고 고생 많으시다는 말밖에 안나옵니다.
불굴의의지
17/11/12 15:26
수정 아이콘
급여에 비해 너무 힘들게 고생하는거 같아요 살기 너무 힘든듯
페르마타
17/11/12 15:50
수정 아이콘
귀족 강성노조를 떠나 우리나라 비정규지구및 블루컬러 직종 종사자들의 페이 향상에 적극 찬성합니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611 [일반] 11월 13일 열렸던 MBC방문진 이사회 진풍경(부제: 최강욱의 일도양단) [13] SwordMan.KT_T10948 17/11/15 10948 13
74610 [일반] (혐 주의) 이번 귀순한 북한 병사 몸에서 나온 기생충 [60] 라플비17167 17/11/15 17167 0
74609 [일반] 회사에서 찍힌 내부고발자의 생계 고민 이야기 [93] Julia23303 17/11/15 23303 110
74608 [일반] 호러물 이야기 (1): 필연에서 우연으로, 영웅에서 인간으로 [24] TheLasid7073 17/11/15 7073 13
74607 [일반] 공부법 책 몇 권을 읽고 [21] 삭제됨11151 17/11/15 11151 9
74606 [일반] 부친의 성추행 신고가 접수되었군요. [63] minyuhee16655 17/11/15 16655 8
74603 [일반] 경북 포항시 북구 북서쪽 7km 지점에서 지진이 발생했습니다 [307] 초코궁디22121 17/11/15 22121 0
74602 [일반] 안철수 지지율 20.8% [76] 장미자16081 17/11/15 16081 3
74601 [일반] 주주총회와 민주주의 [27] 염력 천만7430 17/11/15 7430 4
74600 [일반] 기다리던 불여우 Quantum 이 출시되었습니다. [40] Quantum2113109 17/11/15 13109 3
74599 [일반] 오늘 개봉하는, 간단한 < 저스티스 리그 > 후기. (스포일러 없음) [32] 산들바람11114 17/11/15 11114 0
74598 [일반] 나뭇잎마을 내인생 vs 황김빛 내인생 [24] 치열하게8216 17/11/15 8216 1
74597 [일반] [뉴스 모음] 누구나 있는 100만원으로 회사 하나 사기 외 [26] The xian19215 17/11/14 19215 47
74595 [일반] 영화 김광석 후기 - 이기적인 인간이라해서 빌런이 될 수는 없다. [29] Alan_Baxter10082 17/11/14 10082 10
74594 [일반] JSA 인근 귀순 병사 향해 북한군 총격, 우리 측 군이 인도하여 대수술(종합) [35] 프리템포16209 17/11/14 16209 4
74593 [일반] 대전시장이 짤렸습니다. [100] 제르19993 17/11/14 19993 10
74592 [일반] 4년만에 에미넴 신곡이 나왔군요.. [30] 네이비킴9489 17/11/14 9489 3
74591 [일반] 인천터미널 백화점 영업권 분쟁, 롯데 최종승소 [42] 삭제됨12405 17/11/14 12405 1
74590 [일반] [공동 번역] 그 무엇도 총기 소유만큼 투표자를 갈라놓지 못했다. [26] OrBef12163 17/11/14 12163 39
74589 [일반] 늦가을 남도여행 3. 6만원 오리고기 한상, 성흥산성 일몰 [9] mumuban7110 17/11/14 7110 6
74588 [일반] 정사 삼국지 관련 인상적인 몇몇 대사들 [49] 신불해14462 17/11/14 14462 20
74587 [일반] 내 생애 첫 NHL 직관 후기 [14] 보통e스포츠빠8983 17/11/14 8983 1
74586 [일반] 보이는 즉시 차단하는 유튜브 영상 유형 [47] Alan_Baxter15346 17/11/13 15346 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